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1:29:40

DGB금융그룹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c7a9><colcolor=#ffffff> 계열사 DGB금융지주 | iM뱅크 | 하이투자증권 | iM라이프 | iM캐피탈 | iM에셋자산운용 | iM유페이 | iM데이터시스템 | iM신용정보 | iM투자파트너스 | 뉴지스탁
공익 재단 DGB사회공헌재단
}}}}}}}}} ||
<colbgcolor=#00c7a9><colcolor=#ffffff> DGB금융그룹
DGB FINANCIAL GROUP
파일:DGB금융그룹 신로고.png
정식 명칭 DGB금융그룹
DGB FINANCIAL GROUP
창립일 2011년 5월 17일([age(2011-05-17)]주년)
회장 황병우
본사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111 ( 칠성동2가)
국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규모 대기업
업종 금융지주회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고객 센터 대표 전화: 053-740-7900

1. 개요2. 역사3. 계열사4. 공익 재단

[clearfix]

1. 개요

DGB금융지주를 주축으로 하는 대한민국 금융지주회사.

그룹명의 DGB는 대구은행(현 iM뱅크)의 영문 명칭인 DaeGu Bank에서 유래되었으나 2006년에 Daegu Gyeongbuk Bank로 의미를 재부여했으며, 2018년에 경영 슬로건으로 Digital Global Bank를 사용하며 의미를 재부여했다.[1]

2024년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과 함께 계열사들의 사명을 iM(아이엠) 브랜드로 일원화하고 있으며, 브랜드의 의미를 in the Moment로 재부여하며 '고객의 관점에서 가장 필요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그룹'이라는 의미로 소개하고 있다. 단, DGB금융그룹·DGB금융지주·뉴지스탁의 명칭은 현상 유지될 예정이다.

2. 역사

1967년 설립된 대구은행이 기원이다. 1985년 대구리스, 1987년 대구창업투자, 1994년 대은금융경제연구소, 1997년 미래선물 등을 세워 사세 확장을 했다. 1997년 외환 위기 때 일부 자회사를 정리하고 2011년 DGB금융지주를 출범하여 계열사들을 자회사로 두었다. 2015년 우리아비바생명, 2016년 LS자산운용, 2018년 하이투자증권, 2021년 수림창업투자와 뉴지스탁 등을 인수했다.

3. 계열사

4. 공익 재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15년 DGB생명 CF에서는 Do, Good, Better라는 역두문자어 형태의 카피로 활용하기도 했으며, 2016년에는 Do Global Best라는 역두문자어 형태의 슬로건으로도 활용했다. [2] 정확히는 카드넷이 유페이먼트에 합병되었다. 다만 합병 당시 유페이먼트는 비씨카드 계열사, 카드넷이 DGB금융지주 계열사였기 때문에 현재 iM유페이의 실질적인 모체는 카드넷이다. [3] 기존 하이자산운용이 지분 매각 후 브이아이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하자 DGB자산운용을 하이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