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34년 제정된 최초의 일본도형 군도.2. 상세
본래 메이지 유신 이후로 일본군의 군도는 프랑스의 제식을 모방한 세이버였으며, 양손으로 사용하도록 길어진 손잡이를 가진 것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쇼와 시대 이르러 군국주의 파시즘 열풍이 강해지면서, 이러한 세이버 방식의 구군도의 디자인에도 일본 고유의 양식을 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에 최초로 부사관용 세이버 군도였던 32년식 을(乙)버전의 손잡이가 일본도 형식으로 교체되는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소화 9년( 1934년) 2월 14일 육군복제중개정령이 발효되어 제식이 정해지고, 2월 15일 과거의 타치(太刀)를 현대적으로 어레인지한 디자인의 소화9년제정육군제식군도(昭和9年制定陸軍制式軍刀) 즉 통칭 94식이 채택된다.3. 특징
우선 가장 큰 특징으로는 당시 군도류 기본 형태였던 유럽식 세이버 형태에서 일탈하여 전통 타치 형식을 가졌다는 점이다. 또한 이후의 후속기인 98식 군도나, 과거의 세이버형 구군도와 비교해도 패용 고리가 2개나 달려있는, 완전한 타치형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모델이 된 타치. 고도 양식으로 검명은 데와다이조 쿠니미치(出羽大橡國路). 날길이 66.5cm, 휨 2.5cm)
(데와다이조 쿠니미치를 토대로 만들어진 94식 군도. 철제칼집, 흑갈색코팅, 광택. 날길이 67cm, 휨1.6cm)
과거의 타치에 비해 가장 큰 변화는 칼집이 철로 만들어졌으며, 잠금장치가 추가되었다는 점이다. 또 당시의 복식 규정을 고려하여 2번째 패용 고리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패용 고리를 2개씩이나 달아놓은 이유는 예식 때에는 2점식 세이버 벨트를 사용하기 때문이었으며, 전투복에서는 피탈방지끈 1개만 연결하고 그 고리를 다시 갈고리에 걸어 차고 다니므로 1개밖에 필요하지 않아 탈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훗날 새롭게 제식화되는 98식과의 차이점 중 하나로 이 탈착 고리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손을 많이 들여 만들어지는 도장구가 있다.
가장 왼쪽의 것이 내부를 절삭해서 텅 비게 만드는 이른바 스카시 쯔바(透かし鍔)로써 94식과 98식 초기형의 쯔바인데, 손이 많이 가는 만큼 장식적인 면이 크다. 이는 94식이 비교적 소량 생산되었고, 예식, 지휘도로서의 장식성을 매우 중시했기 때문에 굳이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 이후 94식은 중일전쟁 개전으로 인해 제복규정에서 정복과 예복이 사실상 폐지되면서, 예식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2번째 패용 고리를 완전 폐지한 98식 군도로 넘어가게 된다. 94식은 말하자면 일종의 시작점, 과도기 정도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실질적인 실전 사용과 대량 생산은 98식이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94식과 98식이 공유하는 특징, 변화, 세세한 부분은 98식 군도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하게 된다.
4. 관련 문서
- 일본군도(日本軍刀)
- 구군도(旧軍刀)
- 신군도(新軍刀)
- 그 외
- 일본군도의 라이벌 항일대도(抗日大刀)
- 공업도/실용군도(工業刀/室用軍刀)
- 무라타도(村田刀) - 총기설계자 무라타 소장이 제조한 칼날
- 만철도/ 흥아일심도(滿鐵刀/興亞一心刀) - 남만주철도공사에서 제조한 칼날
- 미카사도(三笠刀) - 전함 미카사의 파괴된 포신으로 만든 칼날
- 조병도(造兵刀) - 육군조병창에서 생산된 칼날
- 진무도(振武刀) - 금속공학을 통한 타바드강(鋼)으로 만들어진 칼날
- 군수도(群水刀) - 군마수전사의 사장인 미야구치 타케히데가 만든 칼날
- 스테인리스도(耐錆鋼刀) -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칼날
- 일본군도를 사용하는 검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