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3:18:59

59식 전차/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59식 전차

1. 개요2. 아시아
2.1. 중국2.2. 북한2.3. 미얀마2.4. 베트남
2.4.1. 베트남 공화국2.4.2.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2.5. 태국2.6. 캄보디아2.7. 이라크2.8. 이란2.9. 인도2.10. 파키스탄2.11. 방글라데시
3. 유럽
3.1. 알바니아3.2. 영국
4. 아프리카
4.1. 탄자니아4.2. 수단4.3. 차드
5. 오세아니아
5.1. 호주

1. 개요

59식 전차의 도입 국가와 운용 기록을 정리한 문서.

59식 전차는 현재 중국에선 1선급 장비에서 물러났지만, 아직도 많은 제3세계 국가에서는 1~2선급 전차로 사용되고 있다.

2. 아시아

2.1. 중국

파일:Military Museum of the Chinese Peoples Revolution Type 59.jpg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
원조 운용국으로, 현재까지도 도합 2,360대를 운용 중에 있다.

원래 59식 전차는 2차대전 당시의 기술로 만들어진 T-54 초기형에 머무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여러 성능의 문제점을 보였고, 이 때문에 중국측도 새로운 전차 개발에 부심했다.

일단 중국은 1990년대까지는 세계 최빈국의 하나였기 때문에, 59식 전차를 어떻게든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쓰기로 의견이 모아졌고, 서방 세계로부터 받은 기술지원과 중국-소련 국경분쟁 당시 노획한 소련군의 T-62 전차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내놓았다.

이에 69/79식 전차가 개발되었고 이후, 중국은 59식 전차의 계열에서 벗어나는 88식 전차를 개발했고, 드디어 59식 전차와 오래 된 인연에 종지부를 찍었으면 좋겠지만 그러기에 80식 이후의 전차들은 중국 기준에서 너무 비쌌거나 생산량이 부족해서 거대한 인민해방군의 기갑부대를 모두 대체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정 탓에, 전구제 개편이 이뤄진 2017년 이후 중형합성여단의 화력지원차량, 즉 05식 양서돌격차나 스트라이커 MGS, 16식 기동전투차 등의 포지션에 투입되고 있다. 쉽게 말하면 보병 지원용으로 사용하는 국군의 M48A3K / A5K와 비슷한 개념.

2.2. 북한

파일:North_Korean_Type_59.png
평양 열병식 참가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59식 KPVT 장착형
중국에게 도합 175대를 공여받았으며, 현재까지도 1선급의 장비로 운용 중에 있다. 특이사항으로, 공여받은 59식 전차의 54식 중기관총을 탈거하고, KPVT 중기관총으로 부무장을 교체하여 사용 중에 있다.

2.3. 미얀마

파일:Myanmar_Army_Type-59M_tank.jpg
미얀마 육군 소속 WZ-120C
도합 160대 이상을 구매하여 운용 중에 있다.

2.4. 베트남

2.4.1. 베트남 공화국

파일:T-59_VC.jpg
베트남 공화국 육군 산하 제20전차연대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베트남 전쟁 중 부활절 공세 당시에 1대를 노획하여 운용하였다.

2.4.2.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Independence_Palace_Type_59.jpg
독립궁 소장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390번차" 재현 차량[1]
도합 350대를 베트남 전쟁 시기 중국으로부터 공여받아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얼마 안가 중월전쟁이 발발하며 서로 같은 59식끼리 포탄을 주고받기도 했다.

2.5. 태국

파일:thaitype59.jpg
타이 왕립 육군 소속 59식 전차
도합 158대를 구매하여 사용했으며,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파일:external/news.tom.com/1281418057413_41908.jpg
어초 목적으로 바다에 투하되는 59식 전차
퇴역 후, 고철로 굴러다니는 59식 전차가 많다보니 태국 내에서는 물고기 산란을 위한 어초로도 활용한다고 한다.

2.6. 캄보디아

파일:cambodian_type_59.jpg
훈련 중인 캄보디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민주 캄푸치아 시기, 도합 20대를 중국으로부터 공여받아 현재까지도 헌역으로 운용 중에 있다.

2.7. 이라크

파일:Type_59_main_battle_tank_china_640.jpg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소속 WZ-120A
도합 1,500대를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운용하였으나 현재는 전량 폐기 및 퇴역처리를 밟았다.

2.8. 이란

파일:800px-T-59_MBT_pic-022.jpg
개인 소장 이란 혁명 수비대 소속 59식 전차
도합 220대를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이란-이라크 전쟁 시기 사용하였으며, 종전 후 1996년부터 잔존 개체 다수를 "샤피르-74"로 개량하여 현재까지 운용 중에 있다.

2.9. 인도

파일:Captured_T-59.jpg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59식 전차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2대 이상을 노획하였다.

2.10. 파키스탄

파일:Pakistan_Type_59.jpg
파키스탄 육군 소속 WZ-120A
제2차 인도-파키스탄 국경분쟁 이후 중국과 긴밀한 밀월관계를 맺고 1,200대의 59식 전차를 공여받아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등에 투입하였다.

현재는 다수의 차량을 "알-자라르"로 개수하여 운용 중에 있다.

2.11. 방글라데시

파일:FOHq2LLaUAgRhm9.jpg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두르조이
도합 264대를 구매하여 운용하다, 2015년부터 중국에게 기술 지원을 받아 "두르조이"로 개수하여 계속 운용 중에 있다.

3. 유럽

3.1. 알바니아

파일:Albaninan_Tanku_T-59.jpg
알바니아 국군 박물관 소장 알바니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소련 및 바르샤바 동맹국들과의 관계가 단절된 이후, 중국과 손을 잡고 도합 721대를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냉전 시기 내내 운용하였다가 2005년 경에 퇴역하였다.

3.2. 영국

파일:Type_59_(7527876878).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탑재 59식 전차
1대의 59식 전차를 파키스탄으로부터 구매하여 자국산 로열 오드넌스 L7 포로 무장을 교체하여 WZ-120B와 동일하게 개수한 뒤 테스트를 진행 후, 현재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4. 아프리카

4.1. 탄자니아

파일:Type_59G_main_battle_tank_Tanzania_Tanzanian_army_defence_forces_640.jpg
열병식 참가 탄자니아 육군 소속 WZ-120G
도합 30대를 구매하였으며, 현재 전량 WZ-120G로 개수를 마치고 운용 중에 있다.

4.2. 수단

파일:Al-Zubair_tank_II.jpg
수단 육군 소속 알주바이르 II
이란으로부터 샤피르-74 여러 대를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이를 자국 공장에서 생산해 "알주바이르 I"라는 명칭으로 운용하다, 현재는 중국으로부터 WZ-120C의 라이센스 권리를 얻고 "알주바이르 II"라는 명칭으로 생산하여 사용 중에 있다.

4.3. 차드

파일:type-59g-main-battle-tank.webp
차드 육군 소속 WZ-120G
중국으로부터 30대 이상의 59-G식 전차를 구매하여 운용 중에 있다.

5. 오세아니아

5.1. 호주

파일:Puckapunyal-formerNVnamese-Type-59-MBT.jpg
왕립 호주 기갑군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921번차"
남베트남군이 북베트남군으로부터 노획 후, 파월 호주군에게 기증한 단차를 현재 왕립 호주 기갑군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1] 남베트남 대통령궁을 최초로 돌파하여 진입한 전차로, 실제 차량은 다낭의 전차 박물관에서 전시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