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구 종로구 일원[종로]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최재형(崔在亨) | 49,637 | 1위 |
|
52.09% | 당선 | |
3 | 배복주(裵福珠) | 14,602 | 3위 |
[[정의당| |
15.32% | 낙선 | |
5 | 김도연(金度延) | 844 | 5위 |
[[시대전환| |
0.88% | 낙선 | |
6 | 구본철(具本喆) | 483 | 8위 |
|
0.50% | 낙선 | |
7 | 김두환(金斗煥) | 295 | 9위 |
[[독도한국당| |
0.30% | 낙선 | |
8 | 송문희(宋文熙) | 535 | 7위 |
|
0.56% | 낙선 | |
9 | 윤대관(尹大觀) | 113 | 10위 |
[[통일한국당| |
0.11% | 낙선 | |
10 | 서주원(徐柱源) | 1,149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0% | 낙선 | |
11 | 박종구(朴鐘九) | 552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7% | 낙선 | |
12 | 김영종(金永椶) | 27,07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8.4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9,514 |
투표율 76.41% |
투표 수 | 98,967 | ||
무효표 수 | 3,679 |
2.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서초구 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정근(李炡根) | 28,399 | 2위 |
|
24.48% | 낙선 | |
2 | 조은희(趙恩禧) | 84,394 | 1위 |
|
72.72% | 당선 | |
5 | 구주와(丘주와) | 396 | 5위 |
|
0.34% | 낙선 | |
6 | 김소연(金素延) | 2,42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9% | 낙선 | |
7 | 송자호(宋字鎬) | 410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3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8,291 |
투표율 79.47% |
투표 수 | 117,847 | ||
무효표 수 | 1,849 |
그 결과 조은희가 압승을 거두었다. 이정근은 본인의 정치 입문 이후
여담으로 만 18세 이상 역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수 있게 법이 개정되면서 관련 법의 수혜를 받은 최초의 후보인 2000년생 송자호 후보가 이곳에 출마했다. 다만 0%대를 득표하며 상당히 아쉬운 성적을 보였다.
3. 대구광역시 중구·남구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백수범(白修凡) | 27,774 | 3위 |
|
19.41% | 낙선 | |
4 | 권영현(權玲賢) | 30,844 | 2위 |
[[국민의당(2020년)| |
21.56% | 낙선 | |
5 | 도태우(都泰佑) | 26,663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64% | 낙선 | |
6 | 주성영(朱盛英) | 17,128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97% | 낙선 | |
7 | [[임병헌|{{{#373a3c,#ddd 임병헌}}}]](林炳憲) | 32,037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39%[6] | 당선 | |
8 | 도건우(都建佑) | 8,582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0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5,472 |
투표율 76.02% |
투표 수 | 148,606 | ||
무효표 수 | 5,578 |
보수표가 백수범 후보를 제외한 모든 후보들에게로 분산되어 후보자간 득표율 차이가 크지 않았고, 결국 도건우 후보를 제외한 모든 후보가 선거비용을 보전받게 되었다.
4. 경기도 안성시
안성시 안성시 일원[안성]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김학용(金學容) | 61,445 | 1위 |
|
54.18% | 당선 | |
3 | 이주현(李柱鉉) | 22,854 | 3위 |
[[정의당| |
20.15% | 낙선 | |
5 | 이기영(李起榮) | 29,10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6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2,399 |
투표율 71.98% |
투표 수 | 116,898 | ||
무효표 수 | 3,493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경기 안성시 개표 결과 ||
더불어민주당
이규민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는 무죄였으나 항소심에서 당선 무효형에 해당하는 벌금 300만원이 나왔고, 대법원에서 이규민 전 의원의 상고를 기각함에 따라 벌금 300만원형이 확정되면서 이에 재선거가 확정되었다.<colbgcolor=#eee,#353535> 정당 | 국민의힘 | 정의당 | 무소속 | 격차 |
후보 | 김학용 | 이주현 | 이기영 | |
득표수 (득표율) |
61,445 (54.18%) |
22,854 (20.15%) |
29,106 (25.66%) |
△28.52% |
안성1동 | 53.82% | 17.80% | 28.38% | △29.94% |
안성2동 | 50.05% | 20.31% | 29.64% | △20.41% |
안성3동 | 48.02% | 20.58% | 31.39% | △16.63% |
공도읍[8] | 53.67% | 22.10% | 24.23% | △29.44% |
보개면 | 55.20% | 17.09% | 27.71% | △27.49% |
금광면 | 52.52% | 20.53% | 26.95% | △25.57% |
서운면 | 60.45% | 13.07% | 26.48% | △33.97% |
미양면 | 52.76% | 14.57% | 32.69% | △20.07% |
대덕면[9] | 51.10% | 21.26% | 27.63% | △23.47% |
양성면 | 61.94% | 16.48% | 21.58% | △40.36% |
원곡면 | 60.94% | 20.98% | 18.08% | △39.96%[10] |
죽산면 | 63.65% | 17.18% | 19.17% | △44.48% |
일죽면 | 64.47% | 16.28% | 19.26% | △45.21% |
삼죽면[11] | 59.98% | 17.67% | 22.34% | △37.64% |
고삼면 | 54.19% | 18.39% | 27.42% | △26.77% |
후보 | 김학용 | 이주현 | 이기영 | |
거소·선상투표 | 70.14% | 14.03% | 15.84% | |
관외사전투표 | 55.36% | 24.04% | 20.60% |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당초 윤종군 경기도 정무수석, 양승환 고양시 평화미래정책관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1월 25일, 송영길 전 대표가 종로구, 청주시 상당구와 함께 이 선거구에 대해 무공천을 선언했다. 다만, 최고위 추인 등을 받지 않고 독단적으로 발표한 것이기 때문에 당내 반발이 적지 않아서 무공천이 확정된 상황은 아니었으나 2월 초반 무공천이 확정되었다.
제1야당 국민의힘에서는 이전 선거에서 패했던 김학용 전 의원을 단수 추천했다.
정의당에서는 이주현 지역위원장이 2022년 1월 28일 당의 공천을 받으면서 출마를 확정지었다.
선거 결과 3선 의원을 역임한 김학용이 재보궐선거 지역구 중에서 제일 먼저 당선을 확정지어 원내로 복귀하였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 안성시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앞서 1위를 기록했지만, 재보궐선거에서는 범민주진영 무소속 이기영 후보와 정의당 이주현 후보의 단일화가 불발로 돌아가고 여론조사가 1번도 진행되지 않아 범민주 및 진보 진영 유권자가 결집하지 못하면서 김학용 후보가 여유있게 당선에 성공하였다.
선거 단위를 보면 김학용 후보가 모든 선거 단위에서 승리했고, 안성3동을 제외한 모든 선거 단위에서 과반의 득표율, 20%~40%대의 격차를 보이며 압승했다. 대부분의 면 단위 선거 단위에서는 60%가 넘는 득표율을 올리고, 이기영 전 시의원의 지역구인 안성3동, 미양면, 대덕면, 고삼면에서도 모두 승리했으며, 대학교가 위치해 있어 젊은층 표심이 상당히 있을 법 한 삼죽면에서도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올리며 승기를 잡았다. 본인의 고향이자 지난 국회의원 선거에서 가장 크게 패했던 공도읍에서는 대통령 선거는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에 4천표 뒤졌지만, 김학용 후보 본인은 과반을 넘게 득표하였다. 이기영 후보의 경우 시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안성3동, 미양면 등에서 선전했으나 그마저도 30% 초반이라는 허약한 득표율을 거두며 단 1곳에서도 1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이주현 후보는 진보 표심이 강한 사전투표에서는 2위를 기록했으나 본투표까지 합산한 결과 2위를 기록한 원곡면을 제외하면 모든 선거 단위에서 10%~20%대의 득표율을 보이며 3위를 기록했다.
5.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청주시 상당구 상당구 일원[상당]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정우택(鄭宇澤) | 67,033 | 1위 |
|
56.92% | 당선 | |
5 | 김시진(金詩眞) | 38,63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81% | 낙선 | |
6 | 박진재(朴珍載) | 2,12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0% | 낙선 | |
7 | 안창현(安昶玄) | 9,95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4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2,901 |
투표율 74.77% |
투표 수 | 121,806 | ||
무효표 수 | 4,057 |
김시진 후보는 무명임에도 민주당, 정의당 지지층에 모두 호소하는 선거 전략으로 선거비 전액 보존선인 15%를 훨씬 상회하는 30%대의 득표를 하며 선전했다.
[종로]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청운효자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가회동, 사직동, 삼청동, 이화동, 혜화동, 무악동, 부암동, 평창동, 교남동. [2] 2002년 재보궐선거와 다른 점은 이번에는 범여권 후보끼리가 아닌 친여 무소속-진보야권 후보끼리 표 분산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3] 이정근의 최저득표수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얻은 27,031표이다. 단 득표율은 28.48%를 기록하여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때 얻은 24.48%보다는 높았다. [대구중구] 중구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구남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6] 1987년 직선제 개편 이후로 지역구 국회의원 최저 득표율 당선 기록을 경신했다. 기존 기록은 15대 총선에서 김종학이 기록한 24.19%. [안성]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 공도읍,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원곡면, 고삼면, 죽산면, 일죽면, 삼죽면. [8] 김학용 후보의 고향. [9]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가 있는 동네. [10] 유일하게 이주현 후보가 2위를 기록한 선거 단위. [11] 동아방송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 [상당] 중앙동, 용암1동, 용암2동, 용담·명암·산성동, 탑·대성동, 금천동, 성안동, 영운동, 가덕면, 남일면, 낭성면, 미원면, 문의면.
가회동, 사직동, 삼청동, 이화동, 혜화동, 무악동, 부암동, 평창동, 교남동. [2] 2002년 재보궐선거와 다른 점은 이번에는 범여권 후보끼리가 아닌 친여 무소속-진보야권 후보끼리 표 분산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3] 이정근의 최저득표수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얻은 27,031표이다. 단 득표율은 28.48%를 기록하여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때 얻은 24.48%보다는 높았다. [대구중구] 중구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구남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6] 1987년 직선제 개편 이후로 지역구 국회의원 최저 득표율 당선 기록을 경신했다. 기존 기록은 15대 총선에서 김종학이 기록한 24.19%. [안성]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 공도읍,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원곡면, 고삼면, 죽산면, 일죽면, 삼죽면. [8] 김학용 후보의 고향. [9]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가 있는 동네. [10] 유일하게 이주현 후보가 2위를 기록한 선거 단위. [11] 동아방송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 [상당] 중앙동, 용암1동, 용암2동, 용담·명암·산성동, 탑·대성동, 금천동, 성안동, 영운동, 가덕면, 남일면, 낭성면, 미원면, 문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