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5 15:03:16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우크라이나의 주요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2019년
2019년 4월 21일
차기
미정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최고 라다 선거 2019년
2019년 7월 21일
차기
미정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지방선거 2020년
2020년 10월 25일
미정
미정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파일: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주별 결선 투표 결과 .png
지역별 결선 결과
{{{#!wiki style="margin: -7px -12px" 1999 대선 2004 대선 2010 대선 }}}
선거 일시 1차: 10월 31일
결선: 11월 21일
결선 재투표: 12월 26일
투표율 1차: 74.54%
결선: 81.12%
결선 재투표: 77.28%
선거 결과
후보

[[무소속(정치)|
무소속
]]
빅토르 유셴코


빅토르 야누코비치
1차
39.90%
11,188,675표
39.26%
11,008,731표
결선
46.61%
14,222,289표
49.46%
15,093,691표
결선 재투표
51.99%
15,115,712표
44.20%
12,848,528표
당선인
무소속
빅토르 유셴코

1. 개요2. 배경3. 선거 결과
3.1. 개표 결과
3.1.1. 1차 투표3.1.2. 결선 투표3.1.3. 결선 이후3.1.4. 결선 재투표
3.2. 선거 이후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04년에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2. 배경

제2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던 레오니드 쿠치마는 집권 2기에 들면서 레임덕에 시달려 대통령 선거 출마를 포기하고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자신의 후계자로 밀어주었다. 한편, 레오니드 쿠치마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던 빅토르 유셴코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는 빅토르 유셴코와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대결이 주가 되었다. 한편 이 선거는 동서구도 자체가 이 선거에서부터 확연히 드러나게 되었다. 물론 동서구도는 199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도 잘 드러났지만, 본질적으로 크라우추크나 쿠치마나 딱히 동부나 서부에 한정해서 지속적으로 몰표를 받는 유형의 인물이 아니었고[1] 공산당원 관료 출신이면서도 서방과의 관계증진에 나서고 사유화를 추진한 빅텐트 성향이었던데 반해, 2002년 총선을 기점으로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몰락하고, 동부지역이 지역당의 텃밭이 되었고, 서부와 중부지역에서 친서방 자유주의 정당이 세를 발휘하기 시작했는데 이 선거를 기점으로 갈등 양상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한편 대선을 앞둔 빅토르 유셴코는 다이옥신 테러를 당할 뻔했다. 유셴코는 목숨을 건졌지만 이 테러가 러시아나 친러 세력이 빅토르 야누코비치를 당선시키기 위한 공작이었다는 음모가 우크라이나에서 퍼지기도 했다.

3. 선거 결과

3.1. 개표 결과

3.1.1. 1차 투표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2004. 10. 31.)
순위 후보자 정당 득표수 득표율 결선 여부
1위 빅토르 유셴코 무소속 11,188,675 39.90% 진출
2위 빅토르 야누코비치 지역당 11,008,731 39.26% 진출
3위 올렉산드르 모로즈 우크라이나 사회당 1,632,098 5.82% 탈락
4위 페트로 시모넨코 우크라이나 공산당 1,396,135 4.97%
5위 나탈리야 비트렌코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429,794 1.53%
6위 아나톨리 키나흐 무소속 262,530 0.93%
7위 올렉산드르 야코벤코 농공공산당 219.191 0.78%
8위 올렉산드르 오멜첸코 우크라이나 통합당 136,830 0.48%
9위 레오니드 체르노베츠키 무소속 129,066 0.45%
10위 드미트로 코르친스키 무소속 49,961 0.17%
11위 안드리 초르노빌 무소속 36,278 0.12%
12위 미콜라 흐라바르 무소속 19,675 0.07%
13위 미하일로 브로드스키 무소속 16,498 0.05%
14위 유리 즈비트네우 새로운 힘 16,321 0.05%
15위 세르히 코미사렌코 무소속 13,754 0.04%
16위 바실 볼하 비정부기구 "공공통제" 12,956 0.04%
17위 보흐단 보이코 우크라이나 통일을 위한 인민운동 12,793 0.04%
18위 올렉산드르 샤우스키 통합가족당 10,714 0.03%
19위 미콜라 로호진스키 무소속 10,289 0.03%
20위 블라디슬라브 크리보보코우 예금자와 사회보장을 위한 인민당 9,340 0.03%
21위 올렉산드르 바질류크 우크라이나 슬라브당 8.963 0.03%
22위 이호르 두신 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 8,623 0.03%
23위 로만 코자크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 8,410 0.02%
24위 볼로디미르 네치포루크 무소속 6,171 0.02%
선거인수 37,613,022명 투표수 28,035,184표 -
무효표수
(백지표+무효표)
1,391,388표 투표율 74.54% -

3.1.2. 결선 투표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rowcolor=#373a3c,#dddddd>이름 득표수 순위
<rowcolor=#373a3c,#dddddd>정당 득표율 당락
빅토르 유셴코 14,222,28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61% 낙선
빅토르 야누코비치 15,093,691 1위

49.46% 당선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37,613,022 투표율
81.12%
<rowcolor=#373a3c,#dddddd>투표 수 30,511,289
<rowcolor=#373a3c,#dddddd>무효표 수 1,195,309

3.1.3. 결선 이후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결선투표에서 당선되자, 빅토르 유셴코는 결선 투표에서 대규모 선거 부정 정황이 있었다는 증거자료들을 입수하며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였다. 이에 키이우 등지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니 이것이 바로 오렌지 혁명이다. 결국 우크라이나 대법원과 우크라이나 중앙선거위원회가 개입하면서 12월 26일에 재투표를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당시 빅토르 유셴코의 러닝메이트로 선거에 등판했던 인물이 훗날 빅토르 유셴코와 정적으로 돌변하는 율리야 티모셴코였다.

3.1.4. 결선 재투표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rowcolor=#373a3c,#dddddd>이름 득표수 순위
<rowcolor=#373a3c,#dddddd>정당 득표율 당락
빅토르 유셴코 15,115,712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99% 당선
빅토르 야누코비치 12,848,528 2위

44.20%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37,613,022 투표율
77.28%
<rowcolor=#373a3c,#dddddd>투표 수 29,068,971
<rowcolor=#373a3c,#dddddd>무효표 수 1,104,731

3.2. 선거 이후

빅토르 유셴코 후보가 당선되자 지역당 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 역시 부정선거 증거를 입수해 법원에 선거 무효를 요청했으나 법원이 전부 기각했다.

4. 관련 문서



[1] 크라우추크는 1991년 대선에서 동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고, 쿠치마는 1999년 대선에서 서부지역에서 몰표를 얻은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