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03 |
|
1905 | 1906 | 1907 | 1908 | 1909 | 1910 | 1911 | 1912 |
1913 | 1914 | 1915 | 1916 | 1917 | 1918 | 1919 | 1920 | 1921 | 1922 | |
1923 | 1924 | 1925 | 1926 | 1927 | 1928 | 1929 | 1930 | 1931 | 1932 | |
1933 | 1934 | 1935 | 1936 | 1937 | 1938 | 1939 | 1940 | 1941 | 1942 | |
1943 | 1944 | 1945 | 1946 | 1947 | 1948 | 1949 | 1950 | 1951 | 1952 | |
1953 | 1954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1960 | 1961 | 1962 | |
1963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
1973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1982 |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
1993 |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2023 | 2024 |
월드 시리즈 일람 | ||||
1965년 월드 시리즈 | ← | 1966년 월드 시리즈 | → | 1967년 월드 시리즈 |
|
|
1966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MVP | 프랭크 로빈슨 |
1. 개요
로스터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짐 바비에리, 짐 브루어, 웨스 코빙턴, 토미 데이비스, 윌리 데이비스, 돈 드라이스데일, 론 페얼리, 알 페라라, 짐 길리엄, 루 존슨, 존 케네디, 샌디 코팩스, 짐 르피버, 밥 밀러, 조 모엘러, 네이트 올리버, 클로드 오스틴, 웨스 파커, 론 페라노스키, 필 리건, 존 로즈브로, 딕 스튜어트, 모리 윌스, 제프 토버그, 돈 서튼
볼티모어 오리올스: 루이스 아파리시오, 폴 블레어, 커트 블레파리, 월리 벙커, 모 드라보스키, 앤디 에체바렌, 데이비 존슨, 데이브 맥널리, 짐 파머, 부그 파웰, 브룩스 로빈슨, 프랭크 로빈슨, 러스 스나이더, 샘 보웬스, 래리 하니, 우디 헬드, 밥 존슨, 빅 로즈노브스키, 프랭크 버타이나, 진 브라벤더, 에디 피셔, 딕 홀, 존 밀러, 스튜 밀러, 에디 와트
2. 경기 진행
2.1. 1차전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선수 | 포지션 | 타순 | 선수 | 포지션 |
루이스 아파리시오 | SS | 1 | 모리 윌스 | SS |
러스 스나이더 | CF | 2 | 윌리 데이비스 | CF |
프랭크 로빈슨 | RF | 3 | 루 존슨 | RF |
브룩스 로빈슨 | 3B | 4 | 토미 데이비스 | LF |
부그 파웰 | 1B | 5 | 짐 레피버 | 2B |
커트 블레파리 | LF | 6 | 웨스 파커 | 1B |
데이비 존슨 | 2B | 7 | 짐 길리엄 | 3B |
앤디 에체바렌 | C | 8 | 존 로즈브로 | C |
데이브 맥널리 | P | 9 | 돈 드라이스데일 | P |
1966년 10월 5일 다저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AL | 데이브 맥널리 | 3 | 1 | 0 | 1 | 0 | 0 | 0 | 0 | 0 | 5 | 9 | 0 |
LAD | 돈 드라이스데일 | 0 | 1 | 1 | 0 | 0 | 0 | 0 | 0 | 0 | 2 | 3 | 0 |
패: 돈 드라이스데일(1패)
첫 우승에 도전하는 오리올스는 데이브 맥널리를, 디펜딩 챔피언 다저스는 돈 드라이스데일을 각각 선발로 내세웠으나 두 명 다 만족스럽지 못했다. 드라이스데일은 1회부터 러스 스나이더를 볼넷으로 출루시킨 후 프랭크 로빈슨과 브룩스 로빈슨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았고, 2회초에도 앤디 에체바렌에게 선두타자 볼넷을 허용하더니 데이브 맥널리가 번트로 2루를 만든 후 러스 스나이더에게 적시타를 맞고 2회말 타석에서 대타 딕 스튜어트와 교체되며 2이닝 4실점으로 쓸쓸히 강판당했다.
한편 오리올스의 선발 데이브 맥널리도 헤맨건 마찬가지였다. 2회말 선두타자 짐 레피버에게 홈런을 맞았고, 웨스 파커의 2루타와 짐 길리엄의 볼넷으로 맞은 무사 1, 2루 위기는 실점없이 잘 넘겼지만 3회말 1사에서 갑자기 루 존슨, 토미 데이비스, 짐 레피버에게 모두 볼넷을 내주고 만루를 채운채로 강판됐다. 뒤이어 올라온 모 드라보스키는 웨스 파커를 삼진으로 처리, 짐 길리엄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줬지만 존 로즈브로를 포수 파울플라이로 잡으며 위기를 넘겼다.
4회초 오리올스는 3회초부터 올라와있던 조 모엘러에게서 데이비 존슨의 선두타자 2루타가 나왔고, 이후 1사 1, 3루에서 루이스 아파리시오가 땅볼로 타점을 올렸다. 이후 다저스는 5회부터 밥 밀러와 론 페라노스키가 남은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모 드라보스키가 6.1이닝동안 탈삼진 11개를 잡아내는 압도적인 투구로 다저스의 타선을 무력화시키며 오리올스가 1차전을 승리했다.
2.2. 2차전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선수 | 포지션 | 타순 | 선수 | 포지션 |
루이스 아파리시오 | SS | 1 | 모리 윌스 | SS |
커트 블레파리 | LF | 2 | 짐 길리엄 | 3B |
프랭크 로빈슨 | RF | 3 | 윌리 데이비스 | CF |
브룩스 로빈슨 | 3B | 4 | 론 페얼리 | RF |
부그 파웰 | 1B | 5 | 짐 레피버 | 2B |
데이비 존슨 | 2B | 6 | 루 존슨 | LF |
폴 블레어 | CF | 7 | 존 로즈브로 | C |
앤디 에체바렌 | C | 8 | 웨스 파커 | 1B |
짐 파머 | P | 9 | 샌디 코팩스 | P |
1966년 10월 6일 다저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AL | 짐 파머 | 0 | 0 | 0 | 0 | 3 | 1 | 0 | 2 | 0 | 6 | 8 | 0 |
LAD | 샌디 코팩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6 |
패: 샌디 코팩스(1패)
짐 파머와 샌디 코팩스의 맞대결에서 먼저 기회를 잡은건 다저스였다. 2회말 다저스는 론 페얼리가 볼넷으로 걸어나갔고, 짐 레피버가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루 존슨이 2루타를 치며 1사 2, 3루의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존 로즈브로가 유격수 팝플라이로 허무하게 물러났고, 웨스 파커가 고의4구로 만루를 채웠지만 하필 투수 샌디 코팩스의 타석. 코팩스는 2루수 팝플라이로 물러났고, 이게 다저스의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가 되고 말았다.
한편 샌디 코팩스의 압도적인 투구에 꼼짝 못하던 오리올스 타선은 5회초부터 일어나기 시작했다. 부그 파웰이 안타를 쳤으나 데이비 존슨의 번트 플라이로 1사 1루가 된 상황, 다음 타자 폴 블레어의 타구에 중견수 윌리 데이비스가 실책을 저지르며 2, 3루가 되었고, 다음 타자 앤디 에체바렌의 타구에 중견수 데이비스가 또 실책을 저지르며 2실점, 주자 3루가 되었다. 루이스 아파리시오의 2루타로 한 점 더 뽑아낸 오리올스는 6회초에도 프랭크 로빈슨이 선두타자 3루타를 터트리고 부그 파웰의 안타로 4:0을 만든다. 샌디 코팩스는 이후 데이비 존슨의 안타(우익수 실책으로 2, 3루)와 폴 블레어의 고의4구로 맞은 만루 위기를 앤디 에체바렌을 병살로 처리해 넘겼지만, 6이닝 4실점(1자책)이라는 코팩스답지 않은 투구를 하고 내려갔다.[1]
코팩스의 뒤를 이어 등판한 론 페라노스키는 7회초를 삼자범퇴로 넘겼지만 8회초 프랭크 로빈슨의 볼넷, 브룩스 로빈슨의 안타, 부그 파웰의 희생번트로 1사 2, 3루의 위기를 맞았고, 여기서 데이비 존슨의 타구에 송구실책을 저지르며 점수는 6:0까지 벌어진다. 이후 다저스는 필 리건과 짐 브루어가 8회와 9회를 각각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짐 파머가 완봉승을 거두며 오리올스가 2연승에 성공하고 홈구장인 메모리얼 스타디움으로 향했다. 반면 다저스는 샌디 코팩스라는 최고의 카드를 내고도 수비가 무려 6개의 실책을 저지르며 자멸하고 말았다.
2.3. 3차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구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선수 | 포지션 | 타순 | 선수 | 포지션 |
모리 윌스 | SS | 1 | 루이스 아파리시오 | SS |
웨스 파커 | 1B | 2 | 커트 블레파리 | LF |
윌리 데이비스 | CF | 3 | 프랭크 로빈슨 | RF |
론 페얼리 | RF | 4 | 브룩스 로빈슨 | 3B |
짐 레피버 | 2B | 5 | 부그 파웰 | 1B |
루 존슨 | LF | 6 | 데이비 존슨 | 2B |
존 로즈브로 | C | 7 | 폴 블레어 | CF |
존 케네디 | 3B | 8 | 앤디 에체바렌 | C |
클로드 오스틴 | P | 9 | 월리 벙커 | P |
1966년 10월 8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LAD | 클로드 오스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0 |
BAL | 월리 벙커 | 0 | 0 | 0 | 0 | 1 | 0 | 0 | 0 | - | 1 | 3 | 0 |
패: 클로드 오스틴(1패)
5회말 2사에서 폴 블레어의 뜬금포가 터졌고, 이게 결승점이 되어 그대로 오리올스가 0:1로 승리했다. 다저스 선발 클로드 오스틴은 7이닝동안 단 한번도 오리올스에게 득점권 찬스를 제공하지 않는 굉장한 투구를 펼쳤고, 필 리건 역시 8회말을 삼자범퇴로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선발 월리 벙커의 완봉승으로 시리즈 3패를 당하며 수세에 몰리게되었다.
2.4. 4차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구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선수 | 포지션 | 타순 | 선수 | 포지션 |
모리 윌스 | SS | 1 | 루이스 아파리시오 | SS |
윌리 데이비스 | CF | 2 | 러스 스나이더 | CF |
루 존슨 | RF | 3 | 프랭크 로빈슨 | RF |
토미 데이비스 | LF | 4 | 브룩스 로빈슨 | 3B |
짐 레피버 | 2B | 5 | 부그 파웰 | 1B |
웨스 파커 | 1B | 6 | 커트 블레파리 | LF |
존 로즈브로 | C | 7 | 데이비 존슨 | 2B |
존 케네디 | 3B | 8 | 앤디 에체바렌 | C |
돈 드라이스데일 | P | 9 | 데이브 맥널리 | P |
1966년 10월 9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LAD | 돈 드라이스데일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BAL | 데이브 맥널리 | 0 | 0 | 0 | 1 | 0 | 0 | 0 | 0 | - | 1 | 4 | 0 |
패: 돈 드라이스데일(2패)
실망스러웠던 1차전 선발들이 다시 나선 경기에서 경기의 결과는 3차전에 이어 또 다시 홈런 한 방으로 갈렸다. 이날 결승포의 주인공은 4회말 1사에서 홈런을 터트린 프랭크 로빈슨이었다. 다저스는 마지막 9회초, 대타 딕 스튜어트가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대타 알 페라라의 안타가 나오자 페라라를 대주자 네이트 올리버로 교체, 다음타자 모리 윌스의 볼넷으로 1, 2루를 만들며 기적을 꿈꿔봤지만 윌리 데이비스가 좌익수 직선타, 루 존슨이 중견수 플라이로 아웃되었고, 그렇게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구단 역사상 첫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데이브 맥널리는 완봉승을 거두었고, 돈 드라이스데일은 8이닝을 완투했으나 결국 타선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시리즈 2패째를 떠안고 말았다.
시리즈 MVP는 14타수 4안타 2홈런 3타점 2볼넷, 1차전과 4차전 결승홈런을 터트린 프랭크 로빈슨이 선정되었다.
3. 여담
- 월드 시리즈에서 패한 팀이 최저 득점[2]을 냈던 시리즈이며[3], 오리올스 투수진의 33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은 포스트시즌 단일시즌 최다 연속 이닝 무실점 기록이다. 그리고 58년 뒤 2024 NLCS 1차전에서 드디어 타이 기록이 만들어졌는데, 공교롭게도 기록을 달성한 팀은 이 기록을 오리올스에게 허용한 상대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