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명
'ㅣ 역행 동화' 또는 'ㅣ 모음 역행 동화'는 한국어에서 ㅏ, ㅓ, ㅗ, ㅜ, ㅡ가 뒤 음절의 ㅣ 또는 반모음 /j/로 인해 각각 ㅐ, ㅔ, ㅚ, ㅟ, ㅣ[1]로 바뀌는 현상이다. 여기서 ㅚ와 ㅟ는 각각 단모음 [ø], [y]를 말한다.2. ㅣ 역행 동화와 표준어의 관계
ㅣ 역행 동화로 인해 생긴 형태는 원칙적으로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위에서 든 예 중 하나인 '애기'는 흔히 쓰이지만 표준어는 아니다. 현행 표준어 규정에서는 극히 일부{'-내기'(서울내기, 시골내기 등), ' 냄비', '동댕이치다' 등}만을 예외로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고, '-쟁이'는 '-장이'에서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나 생긴 형태지만 기술자에게는 '-장이'를 쓰고 그 외에는 '-쟁이'를 쓰도록 하고 있다(예: 미장이, 멋쟁이 등).그런데 사실 ㅣ 역행 동화로 인해 생긴 형태가 표준어가 된 경우는 저 넷만 있는 게 아니다. 예를 들어 표준어 단어들 ' 꼬챙이', '내기'(물품이나 돈을 걸고 하는 승부), '내리다', ' 달팽이', '맨날', ' 뱁새', ' 새끼', '생기다', ' 쟁기', ' 제비'는 각각 곳챵이, 나기, 나리다, 달팡이, 만(萬)날, 볍새, 삿기, 삼기다, 잠기, 져비( 뽑기)/ 져비(새)에서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난 것이다('삼기다 → 생기다', '잠기 → 쟁기'의 경우 자음동화도 포함)
3. 기타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중 문법 파트가 ' 언어와 매체'로 계승되면서 ㅣ 역행 동화는 교육 과정에서 퇴출되었다
- 온라인에서 패드립에 쓰이고 있는 '애미'도 사실 ' 어미'에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나서 생긴 형태이므로 굳이 따지자면 '애미'가 아니라 '에미'로 쓰는 게 더 적절하다. 이는 애미 문서에서도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