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5:08:08

흑색창연환칠식

黑色槍連環七式

용비불패에 나오는 무술.

1. 개요2. 상세3. 기술

1. 개요

대장군부의 밀전무공인 육가창식[1]을 기반으로 공격력만을 위해 개량해 만들어진 창술.

2. 상세

흑색창기병대의 대장인 용비가 만들었으며, 그 휘하의 흑색창기병대원들이 그에게 전수받아 이 창술을 구사한다.[2][3] 용비는 무림에 들어선 이후로 이 아닌 으로 이 기술을 구사하며, 적성 도검으로도 응용하지만 용비의 평을 봐서는 위력이 떨어지는듯하다. 용비가 무림에서 봉으로 이 기술을 사용한 이유는 굳이 살상력이 좋은 창까지 사용하지 않아도 될만큼 무림은 상대적으로 전쟁터보다 평화로운 곳이라 그럴것이다. 그 예로, 외전에서 용비가 대놓고 적들을 죽이려고 작정한 작중 후반에는 일부러 봉이 아닌 창을 골라잡고 나서기도 한다. [4]

군부의 무공인만큼, 중후한 내공을 위주로 하는 무림의 무공과 달리 살상력 위주로 만들어져 있다. 원조 육가창식의 달인 육진강은 지금껏 육가창식을 이렇게 재해석한 전례가 없었다며 "훌륭하다"는 평가를 내렸다.[5]

실제로 흑색창연환칠식은 작중 내로라하는 무공들과 비교해도 별로 꿀리지 않았으며 작중에서 이걸 쓰고도 박빙이거나 밀린 경우는 열두존자급 뿐이었다.

다만, 작중 무림인들은 하나같이 용비의 기술을 육가창식 또는 육가창식 기반이라고만 주로 언급하지, 흑색창연환칠식이라고 언급은 하지 않는다. 용비의 100% 순수한 창조물이 아닌데다가 그 기술이 무림에 처음 선을 보이는 시대였으니 아무래도 역사가 더 깊은 육가창식보다는 상대적으로 무림인들에게 독자적 인지도가 떨어졌을것이다. 아마도 당시에는 흑색창연환칠식이라는 이름조차 모르는 무림인들이 많았을것이다. 반면에 '육가창식'은 그 이름으로 보아, 대장군 육진강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창술로 추정되며, 이것이 대장군부의 밀전무공이니, 육진강의 집안은 대대로 대장군직을 맡아오던 가문이라 추측할수 있다. 그만큼 무림내에서 훨씬 인지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

여담으로 흑색창연환칠식이라는 창술의 이름으로 보아, 용비가 흑색창기병대장으로 부임한 이후에 지어진 이름인듯하다. 대장으로 부임 후, 부대원을 더욱 강하게 단련시켜야 했고, 이들이 사용할만한 강한 창술로 새롭게 무장시키기 위해 기존에 자신이 알고 있던 육가창식을 기반하여 일곱가지 초식으로 개량, 이 부대의 이름을 본떠 흑색창연환칠식이라 명명한것으로 추측된다. 또는 진작부터 육가창식을 개량하여 자신만 사용하고 있다가 이 부대에 대장으로 부임하고 부하들에게 전수하면서 비로소 이름이 지어졌거나... 둘 중 어떤 경우든 부대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그게 아니라면 창술의 이름이 이렇게 지어진 이유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군부 기술이다보니 육가창식보다 습득이 쉬운 듯 하다. 용불m에서 육가창식을 결국 해석 못해 흑월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막힌 연화가 흑색창연환칠식 봉술 버전을 본 이후에 해석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수에 성공한다. 이를 염두에 두면 흑월의 무공도 육가창식보단 용비의 흑색창연환칠식 봉술 버전에 가깝다.

3. 기술



[1] 중원의 무술과 약초, 의학, 조리학 까지 다 꿰고 있는 비도문 소속의 천재 연화조차도 어릴적에는 난해해 다 풀어내지 못했다고 할정도로 복잡하고 어려운 무술이다. [2] 다만, 부하들 전원이 전수받았는지, 부장급인 적성, 귀도 등만 전수받은 것인지는 불분명. 용비 이외에는 적성이 이 기술을 사용하는 장면만 나왔을 뿐, 어떤 회상 장면을 봐도 다른 대원들이 사용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다만, 작가 만화의 특성상 무공을 사용하는 모든 장면에 초식 이름을 넣지는 않으니 확신은 금물. 거기다 용비가 가전무공도 아닌 것을 부하들에게 베푸는걸 아낄 인물도 아니고 변방 최강이라고 불릴 정도로 기병대 전체가 강했다면 모두에게 가르치긴 했을 가능성이 높다. [3] 비도문 흑월도 흑색창연환칠식을 습득했다. 정확힌 작중에선 육가창식을 익히려고 하는 모습만 나오지만 실제론 너무 난해해서 습득을 못했다가 용비의 봉술을 본 연화가 해석하여 습득한거라 흑색창연환칠식 봉술 혹은 아류에 가깝다. [4] 도겸의 숙부가 대마교전의 일화를 언급할 때 잠깐 나온 젊은 용비 또한 창을 들고 있다. [5] 용비와 다른 방식으로 재해석해 사용한 경우는 있을 수 있다. 그중 용비의 것이 살상력 부분에선 독보적인 진취를 이룬 듯. [6] 용비불패 서적판에서는 한자가 黑散爆(흑산폭)으로 오기되었고, 이후 웹툰판에서 '포'의 한자가 '돌쇠뇌 포'로 바뀌었다. [7] 효과음도 대놓고 '위잉~'등으로 자주 나온다. [8] 젊은 시절처럼 긴 준비동작도 없이, 짧은 순간에 바로 기술을 시전하는 능숙함을 보인다. [9] 구룡아는 일단 흑산포 x9개 인데 이쪽은 흑산포를 더욱 강하게 한방 날리는 거라 구룡아에서 나오는 9개중 하나와 비교하면 총체적으로 구룡아가 강하다고 보는 이들조차 단일 대상이나 관통력은 화룡출수가 강하다고 보고있다. [10] 천원진에서 상당히 격하게 움직였으며, 무리하게 필살기급 초식인 화룡출수를 썼기에 체력과 내력소모가 장난이 아니었다. [11] 흑색창연환칠식이 공격에 특화된 걸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방어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