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8 15:37:45

휴대전화 입력기

휴대전화 자판에서 넘어옴
1. 대한민국의 휴대전화 입력기
1.1. 문서가 생성된 입력 시스템1.2. 문서가 생성되지 않은 입력 시스템
1.2.1. 사라진(혹은 예비역) 시스템1.2.2. 개발되었으나 실 적용이 안된 시스템1.2.3. 스마트폰 전용 시스템(현용)
1.2.3.1. 드래그 방식1.2.3.2. Swype 방식1.2.3.3. 기타
2. 로마자를 쓰는 국가의 입력기3. 일본어의 휴대전화 입력기
3.1. 토글 입력3.2. 플릭 입력3.3. 로마자 입력3.4. 그 외
4. 중국어의 휴대전화 입력기5. 외부 링크6. 관련 문서


휴대전화 내에서 문자등을 입력할 때 쓰이는 시스템.

1. 대한민국의 휴대전화 입력기

한글 전산화
<colbgcolor=#dddddd,#212121> 한글 인코딩 조합형 · 완성형( 한글 목록 · 중복 한자 · CP949) · 조합형 완성형 논쟁 · 남북한 한글 코드의 충돌 문제 · 한컴 2바이트 코드 · 한글 채움 문자() · 유니코드 · 옛한글
타자기 키보드 두벌식 · 세벌식( 일반 자판 · 속기 자판) · 휴대전화 입력기 · 한영 키


대한민국에는 2000년대 이전의 휴대전화, 속칭 탱크폰이라고 불리던 시절에 문자 입력 시스템은 거의 대부분 이랬다.
ㄱㄴㄷㄹㅁㅂㅅㅇ...
ㅏㅑㅓㅕㅗㅛㅜㅣ...

즉 초성 선택하고 중성 선택하고 종성 선택하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2000년 초중반부터 각 제조사 별로 각자 입력기를 개발해내어 여러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과거 산요전기나 VK등 여러 폰업체가 있을 때에 비해 그 종류가 줄어들었으나 스마트폰 같은 풀터치폰이 보급되면서 다시 많은 입력방식이 생겨났다. 때문에 정부는 1995년경 부터 전화기 한글자판 표준을 제정하려 했으나 난관에 부딪히고 2010년에는 한글공정으로 알려진 휴대전화 입력기 표준 논란도 있었다.

2011년 3월 8일 방송통신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제조사와 SK텔레콤, KT, LG U+ 등 이동통신 3사는 천지인 자판 피처폰(일반폰) 한글자판 표준 방식으로 합의하였다. 스마트폰에는 '천지인', 'KT나랏글 자판'(ez한글), 'SKY 한글 II'를 동시에 탑재하기로 결정해 한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는 2012년부터 3종의 입력방식 중 원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각의 방식은 서로 다른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어느 쪽이 더 좋고 나쁘고를 판단할 수는 없으며, 자신의 손에 맞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1.1. 문서가 생성된 입력 시스템

한국어 휴대전화 입력기
<colbgcolor=#f5f5f5,#2d2f34> 현역 자판 김민겸키보드 단모음 키보드
딩굴 키보드 모아키
모토로라(新) 천지인 자판
KT나랏글 자판 SKY-II 한글
사장된 자판 모토로라(舊) 승리한글
한돌코드 SKY 한글


1.2. 문서가 생성되지 않은 입력 시스템

1.2.1. 사라진(혹은 예비역) 시스템

ㄱㅏ ㄴㅑ ㄷㅓ
ㄹㅕ ㅁㅂㅗ ㅅㅛ
ㅇㅜ ㅈㅠㅊ ㅋㅌㅡ
ㅍㅎㅣ ⬆️

1.2.2. 개발되었으나 실 적용이 안된 시스템

1.2.3. 스마트폰 전용 시스템(현용)

스마트폰들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며 이전의 기기들보다 화면도 크기 때문에 컴퓨터 키보드의 배열인 2벌식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키보드이기 때문에 자판을 쓰고 싶은 것으로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3.1. 드래그 방식
단모음 키보드처럼 버튼의 수를 줄이고 크기를 키웠으며, 생략한 버튼은 있는 버튼을 누른 후 드래그하는 방식이다. 복잡한 방향을 조합하는 방식은 특허 KR10-1855149 B1, 출원일 2011.08.05로 인해선지 스마트폰 초창기 이후로는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1.2.3.2. Swype 방식
1.2.3.3. 기타

2. 로마자를 쓰는 국가의 입력기

영어를 작성할 때에는 보통 아래의 세 가지 형태다.
1 ABC DEF .QZ ABC DEF 1 ABC DEF
GHI JKL MNO GHI JKL MNO GHI JKL MNO
PQR STU VWX PRS TUV WXY PQRS TUV WXYZ
* YZ # * 0 # * 0 #

예전에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키패드가 배치되어 있고, 각 버튼의 두, 세 번째 알파벳을 입력하려면 일정 시간 내에 그 알파벳이 위치한 키를 반복해서 눌러야 한다. 예를 들어서 "hello"를 입력하려면
4433555(대기)555666
이렇게 입력해야 하는 것이다.

T9 방식[3]을 사용하는 2000년대 이후 대다수의 휴대폰[4]은 알파벳이 위치한 키를 누르기만 하면 내부의 사전을 검색해 알맞은 알파벳의 조합을 찾아내서
43556
라고 치기만 하면 바로 "Hello"[5]가 튀어나온다. 그리고 만약 다른 단어가 나온다면 변환 키(보통 *)를 사용해 다른 단어를 적어 넣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단점이 있는데,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나 사전에 들어 있지 않는 말들[6]은 처리하기 힘들어 맨 위의 방식으로 따로 입력해 추가해야 하고 이것 또한 귀찮다...

저것도 제조사별로 바리에이션이 다양하다. 일례로 세계1위 노키아는 1번에 구두점을 넣고 9번에 wxyz, 0번에 빈칸을 넣은 것을 사용하며, ø, ß처럼 추가적인 문자를 쓰느 나라에서는 기본 구성에 이런저런 글자들을 더 할당해서 복잡해진 자판을 쓰기도 한다. 한글이 최고 diacritics가 있는 언어에서는 원래 모음이 있던 곳에 diacritics가 추가된 문자를 할당한다.

위 배열은 유선전화기 때부터 쓰였던 유서깊은 방식이다. 문자도 안 되는 유선전화기에 왜 알파벳 자판이 쓰였냐 하면, 미국을 비롯한 알파벳 사용 국가에서는 저 자판을 통해 회사명, 상호명, 상표명 등의 이니셜을 전화번호로 표현하는 광고 기법이 많이 쓰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555-HERO이라고 광고문이나 홍보판 등에 표시해 놓고, 전화 거는 사람이 그걸 보고 자판을 누르면 실제 전화번호인 555-4376을 누르게 되는 방식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전화번호보다 이니셜이 기억하기 쉬우니 당연히 광고 효과가 클 수 밖에 없다. 이 자판은 나라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거의 유사했다. 이게 휴대폰으로 건너오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자 그대로 쓰이게 된 것이다.

3. 일본어의 휴대전화 입력기

3.1. 토글 입력

*(゛°) わ(をん) #

피쳐폰 시절 일본 휴대전화의 입력기는 보통 이러한 형태로 되어있다. 기종에 따라서 자판에 を나 ん가 각인이 안 되어 있고 *, #에 마침표 등의 부호가 들어가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형태 자체는 이 틀에서 벗어나는 것은 없다.

문자는 50음도 기준으로 각 출 첫 글자가 색인 되어 있고 50음도 해당 줄의 2,3,4,5번째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로마자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い를 입력하려면 あ를 두 번, け를 입력하려면 か를 네 번 입력하는 방식. 그래서 네다섯번째 글자가 많은 문장을 입력하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男(おとこ, 남자)를 입력하려면
111114444422222
이렇게 입력을 하면 맞는 한자가 뜨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해 변환한다. 다만 이 방법 외에 한가지 방법이 더 있어서, 각 행의 몇번째 단의 문자인지에 따라, あいうえお에 각각 12345번을 할당해, 아래와 같이 입력하는 방식도 존재한다.
154525
이 방식을 '2터치 방식(2タッチ方式)'이라고 부른다. 사용 방법은 NTT도코모 키패드 사용법 가이드 336페이지부터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물론 상기 2가지 방법 외에 한가지 방법이 더 존재하는데, 상기 영미권의 T9방식과 동일하게, 아래와 같이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142
이렇게 입력한 후 후보 목록에서 입력할 단어를 선택하는 방식. 이 방법은 T9방식 혹은 모드3라고 부른다. 111114444422222처럼 입력하는건 모드 1, 2터치 방식은 모드 2라고도 부른다. 다만 대부분은 모드 1을 사용하며, 간혹 모드 2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모드 3은 사전에 없는 단어는 입력이 아예 불가능한지라 그렇게까지 자주 사용되진 않는다.

゛, ゜ 등의 탁점과 반탁점은 *를 누른다. 가타카나, 히라가나 변환은 해당 버튼이 있다면 그 버튼으로, 스마트폰의 경우는 한자와 동일하게 변환 버튼을 통해 변환한다.[7]

3.2. 플릭 입력

스마트폰과 터치패드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이후로는 이렇게 하나하나 누르는 방식보다는 버튼을 누른 뒤 특정 방향으로 끌어서 입력하는 방식(플릭 입력)이 애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あ버튼을 그냥 누르면 あ가, 누른 뒤 왼쪽으로 당기면 い가, 위로 당기면 う가, 오른쪽으로 당기면 え가, 밑으로 당기면 お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즉 누르는 방식에 따라 각 행의 あ단(-a), い단(-i), う단(-u), え단(-e), お단(-o)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딩굴 키보드의 자음 입력 방식과 유사하다. [8] 물론 스와이프 기능을 끄고 상술한 것과 같이 키를 여러번 눌러서 같은 행의 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두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9]

3.3. 로마자 입력

이것 외에 PC의 자판과 동일하게 로마자를 입력해서 일본어로 바꾸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こんにちは를 입력할 경우 k-o-n-n-n-i-c-h-i-h-a의 순서로[10],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의 경우 a-r-i-g-a-t-o-u-g-o-z-a-i-m-a-s-u의 순서로 입력하는 식. 한자어의 경우 이렇게 입력하면 목록에 한자가 뜨고 그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 된다. 이렇게 입력할 경우 화면 상에는 아래와 같이 표기된다.[11]
k - こ- こn - こん - こんn - こんに - こんにc - こんにch - こんにち - こんにちh - こんにちは

1가정 1데스크탑이 보편화된 한국과 달리 일본의 경우 가정집 컴퓨터는 대부분 노트북 위주이며, 젊은 세대들은 아예 이것조차 안쓰고 스마트폰으로 모든 일을 해결하려는 경향이 상당히 강하다.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모든 일을 하려다보니 휴대전화 입력기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오히려 컴퓨터의 자판 사용이 서툴거나 심지어는 아예 사용할줄 모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일본의 기업에서도 채용 공고를 낼 때 '기초적인 PC 사용이 가능한 사람'이라는 조건을 걸어놓거나, 입사 후 한동안 PC, 특히 자판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교육하는 등의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3.4. 그 외

다른 방식은 구글 재팬에서 개발한 고단 키드가 있다.

4. 중국어의 휴대전화 입력기

중국어/입력기 문서 참조.

5. 외부 링크

6. 관련 문서



[1] ㄻ받침은 ㄹ+가획으로, ㄶ받침은 ㄴ+가획으로, ㄾ받침은 ㄹ+ 가획 2번, 초성 ㅍ은 ㅁ+가획으로 입력한다. [2] 하드웨어 버튼을 시뮬레이트하는 방식이어서 컴퓨터와 같은 단축키로도 사용이 가능했다고 한다. [3] Cliff Kushler란 사람이 설립한 회사인 Tegic에서 개발한 입력방식. 참고로 요즘 외국에서 인기 좋은 입력방식인 Swype도 이 회사에서 개발했다. [4] 외국에서의 휴대폰을 말한다. 삼성 휴대폰에서도 사용중이며, 참고로 처음으로 T9의 개발사와 계약한 휴대폰 제조사가 삼성이기도 하다. 한국 내에서의 스마트폰은 이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5] 맨 앞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바꾸어 주는 것은 서비스 [6] 일상생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은 어휘,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은어 혹은 채팅용어, 줄여 쓰는 말, 신조어 등 [7] 한국어 키보드에 있는 추천어 목록에 변환 후보 목록이 나오는 형태다. [8] 버튼을 드래그한다는 특성 때문에 스마트폰용 한글 자판인 모아키나 로즈키와 같이 쓰면 헷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아키/로즈키는 초성+ㅗ를 입력하려면 자음 문자를 위쪽으로 당겨서 입력하는데, 이 일본어 가상 키보드로는 お단(-o)을 입력할 때는 반대로 아래쪽로 당기는 식이기 때문. 따라서 한글과 가나 문자를 모두 아는 사람이 두 입력기를 번갈아가며 쓸 경우 헷갈리기 쉽다. [9] 즉, 스와이프 입력도 지원하는 동시에 같은 키를 여러번 눌러 입력할 수도 있는 방식 [10] は의 원래 발음은 '하(ha)'이지만 '~은/는'의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와(wa)'로 발음된다. こんにちは의 경우 어원상으로는 '今日は'로, '오늘은 (어떠십니까)'와 같은 의미에서 온 인삿말이기 때문에 '콘니치하'가 아니라 '콘니치와'로 발음된다. [11] 예시는 쿼티 자판을 이용해 입력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