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17:14:56

황토


파일:external/hwangto21.net/1123044037A.gif
/ Loess[1] / Orchre

1. 개요2. 상세3. 용도4. 여담

1. 개요

함수 산화철과 무수 산화철을 함유한 규토와 으로 이뤄진 자연 상태의 .

2. 상세

황토는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크다. 퇴적층을 수직방향으로 갈라지게 하는 수직한 열극들이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

황토 입자의 크기는 0.02~0.05mm이며, 조립질과 중립질의 먼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의 비율은 무게비로 50% 정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그 중에서도 중위도의 온대 지역이나 반건조 지역에 분포하여 지구 육지의 10%는 황토로 뒤덮여 있을 정도이다. 국가 중에서 가장 황토가 많이 있는 나라는 중국이며 63만km2에 달하는 국토에 황토가 분포하고 있는데, 황하 문명 역시 황토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물론 대한민국도 전 국토의 35%가 황토로 덮여 있는데, 상당수가 몇 만 년 전부터 중국으로부터 황사로 들어온 것이라고 한다.

단, 지역에 따라 황토의 구성 비율에 몇 가지 변이가 일어나는데, 진짜 황토뿐 아니라, 반건조 지역의 황토질 모래, 갯벌의 점토질 황토 등 다양한 계열이 있다. 이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이 서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황토를 구성하는 퇴적물의 유형은 지역마다 다르다.

3. 용도

예로부터 한반도와 중국, 동남아 지역에서 황토가 덮인 지역은 농경지로 활용되어 왔다. 황토는 빗물의 석회질을 흡수할 수 있어 대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여 물과 섞이면 찰흙이 되어 식물의 뿌리를 고정시켜 주고 양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어 농사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비료가 발달한 현재도 황토로 재배한 작물은 수분이 많고 당도가 높아 맛이 더 좋다고 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황토고구마가 가장 유명하며, 이 외에도 감자, 양파, 당근, 알타리 등의 뿌리작물들도 황토를 이용해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황토는 집을 짓는 데 이용되기도 했다. 옛 한옥의 벽은 단열재로서 흙과 을 사용했는데 이 때 가장 많이 쓰인 것이 단연 황토였다. 황토로 만든 벽재는 여름에 바깥의 열을 막아주고, 겨울에 난방을 땔 때 열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해 주어 난방 효율을 높였을 뿐 아니라 습도를 조절하고 통풍도 시켜 주었다. 현재도 도시 근교나 농촌에서 별장과 전원주택을 황토로 짓는 경우가 많은데 황토집이 고풍스러우면서도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설계되어 미적 효과도 있고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어 도시 생활을 청산하고 노년을 준비하려는 장년층들에게 인기가 많다. 또한 선사 시대부터 그림을 그리기 위한 물감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의학에서는 법제의 한 종류로써 토초라 하여 특정 약재와 황토를 볶아 약재의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죽염을 만들 때도 대나무통에 소금을 넣고 황토로 입구를 봉한 뒤 구워 만든다.

황토로 만든 찜질방이 몸에 좋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황토방 또는 황토로 만든 찜질방을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최근 맨발 걷기 열풍으로 황토길 설치가 늘어났다.

한때, 얼굴 미용을 위한 황토팩이 국내에 유행하기도 했으나, 중금속 논란이 일어나서 열기가 식었다.

적조 현상이 왔을 때는 이것을 뿌려 주면 좋다. 1980년대 일본 학자들에 의해 밝혀졌으며 원리는 단순한데, 플랑크톤이 황토에 달라붙어 가라앉는다. 즉, 어디까지나 근본적 해결책이라고 보긴 힘들다.

황토는 인류가 약 4-6만년 전 구석기 말기 시대에 최초로 생산 활용한 물감이자 접착제이다. 붉은색 또는 누른색 나는 황토가루로 벽화를 그리거나 몸을 단장하는 등 여러 용도로 쓰였다. 무덤 등 매장 시에도 장식용으로 쓰였다. 대체로 황토의 생산과 동굴벽화 등 그림그리기에 사용한 것을 인류가 추상적/상징적 사고를 발달시킨 증거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송진 등 과 섞어 화살과 창 등 무기를 접착하는 접착제의 성분으로도 쓰였다. 황토가 자연적으로 퇴적 발견되는 지역이 아니면 황토는 인위적으로 생산을 해야했다. 특정지역에만 발견되는 산화철을 함유한 붉은색 돌을 깨어 부수고 원시적 맷돌/숫돌로 고운 가루로 갈아 내어 생산하는데 이 작업은 황토 생산 시설과 도구와 상당한 노력과 기술이 필요했다. 어쩌면 인류 최초의 공업적 생산품 중의 하나.

과거에 철 제련시 쇳물의 탄소량을 낮추는 데 황토물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황토의 색이 붉은 이유는 산화철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쇳물에 넣으면 산소가 발생하게 되고 이 산소가 쇳물의 탄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로 배출된다. 그런 방식으로 쇳물의 탄소량을 조절하여 철을 용도에 맞게 생산했다.

4. 여담



[1] 어원은 독일어 Löss이며, (風成堆積 : 바람에 의한 퇴적작용) 기원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