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2:31:02

화전

불화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호탄으로도 불리는 중국 서부 위구르 자치구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호탄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learfix]

1. 전통 무기

1.1. 불화살, 화전(火箭)

이름 그대로 화살에 타르나 송진, 기름 등 휘발성이 낮은 가연성 물질을 달아 쏘아 불을 붙이는 화살. 흑색화약이 개발된 이후로는 화약뭉치를 달고 천이나 종이를 감은 뒤 불을 붙여 쏘는 일종의 폭탄화살로 변했으며, 이런 형태의 화전은 석류화전(石硫火箭)으로 부르기도 한다.

불을 쓰는 만큼 당연히 화공을 하기 위해 주로 쓰였으며, 야간 전투를 하는 경우 시야를 확보하거나 아군에게 신호를 보낼 때, 혹은 적들에게 경고의 목적으로 불화살을 쓰기도 했다.


사극 등에는 화살촉 부근에 불이 붙어 활활 타오르는 모습으로 묘사하곤 하는데 이는 화약이 발명되기 전인 조선시대 이전의 불화살의 모습으로, 조선시대의 불화살은 화살 끝 작약통 부분 심지에 작은 불길이 붙어서 날아가는 모습이어야 한다. 조선시대의 불화살은 날아서 목표물에 박힌 후 작약통이 터지면서 불길이 번지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조선시대 때 사용된 각궁으로 화살을 날릴 경우 약 초속 65m의 속도로 날아가며, 단순히 기름으로 불을 붙여서 쏘는 식으로 불화살을 날린다면 날아가는 도중 불길이 꺼져버릴 것이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식으로 화살을 쏠 경우, 송진이나 타르 등의 잘 타면서도 불이 잘 꺼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서 불화살을 쐈다. 다만 사극 등에서는 실제로는 빈도가 극히 드문 야간전투가 많이 나와 시청자들에게 공격 장면을 잘 보여줄 수 있게 불이 활활 타오르는 불화살을 쓰곤 한다. 물론 실제 전투에서는 어디서 쏘는지 다 보여줘서 야습의 효과가 떨어지는 이런 짓은 하지 않는다. 대신 야간에 신호용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

1.2. 탄도 병기, 화전(火箭)

말 그대로 을 붙인 화살을 뜻하기도 하나, 중국에서 13세기 무렵 개발한 로켓 병기 체계를 뜻하기도 한다. 사실상 가장 '로켓'에 근접한 한자어.

최초의 화전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당나라 말기인 904년 사용된 비화이며, 940년 편찬된 호령경에는 화전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남아있고, 그외에도 송나라 초기 기록에 화전에 대한 몇몇 기록이 남아있다.

초기의 화전 중 하나인 금나라의 비화창을 보면 몽고 침입시 사용한 길이 2.4미터의 대형 로켓이다. 그러나 후대의 중국 화전들은 점점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최종적으로는 일반적으로 고문헌에 나오는, 한국의 소신기전보다 약간 작은 수준의 소형이 정착되어 많이 사용하였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kasen2.gif
명나라의 다양한 화전의 모습. # 왼쪽부터 비창전, 비도전, 비검전이다. 화살촉의 모양이 각 창검처럼 생긴 게 특징이며,[1] 이는 화전의 위력을 조금이라도 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나온 실험작들이다.

파일:external/www.cpcjapan.com/hisou001.jpg
또다른 화전들의 모습. # # 하지만 가장 많이 쓰인 것은 일반 화살형태였다.

한국 주화(走火)나 신기전(神機箭)도 이 계열 무기다. 다만 일반적인 화전은 신기전 같은 받침대가 없는 단순한 모양이었고, 이 때문에 당파에 걸쳐놓고 쏜다는 기록도 있다. 최초의 개발자에 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으며, 화창의 화약통에서 착안하여(혹은 화창에 화약통을 실수로 거꾸로 매달아 화창이 날아가는 것을 보고) 만들었다는 설과, 화살의 사거리 향상을 위해 만들었다는 주장이 있다. 다만 화전이나 파생형이라 할 수 있는 한국의 주화, 신기전은 자체 추진력에 의존해 날아갔지 활로 쏘지는 않았다. 조선전역해전도에서 활로 신기전을 쏘는 것은 고증오류. 뭐 이 물건이 그것만 잘못된 건 아니지만...

임진왜란 이후로는 조선 명나라와의 교류탓인지 신기전을 종종 화전이라고도 불렀다.

현대에 와서도 중국은 로켓을 한자로 火箭이라 표현한다. 이는 군용미사일이나 로켓 뿐만 아니라 우주로 쏘아올리는 이동수단으로서의 로켓도 포함한다.

파일:external/hk.chiculture.net/0818d10.jpg
파일:external/hk.chiculture.net/0818e09.jpg
여담으로 명나라때에는 적에게 날아가 한방 먹인 뒤 역추진기에 불이 옮겨붙어 아군 진영으로 돌아오도록 고안된 것으로 추정되는 비공사통(飛空砂筒)이라는 화전도 있었다. 당연하지만 이론만큼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금방 사라졌다. 다만 다른 글에서는 되돌아오는 설계는 잘못 해석한 것이며, 1번 로켓으로 추진후 끝의 가시로 적의 선박에 달라붙고, 모래가 든 2번 화약통으로 주변의 적의 시야를 방해하고, 마지막으로 거꾸로 붙인 3번 로켓은 추진용이 아닌 적의 선박에 불을 붙이는 용도라고 한다.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도 한자로 화전군이라고 쓴다.

2. 농사 방법, 화전(火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전(농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요리, 화전(花煎)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전(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꽃밭의 한자 표기, 화전(花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꽃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꽃밭의 한자 표기.

5. 중국의 전통 화장법, 화전(花鈿)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전(미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화살촉이 삼지창처럼 생긴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