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20:02:09

현수선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기하학{ 평면기하학( 삼각형 · 삼각비 · · 쌍곡선)} · 해석학{ 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 초월함수 · 특수함수)}
삼각함수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쌍곡선함수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1. 개요2. 유도 과정
2.1. 유도 12.2. 유도 2
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catenary ·

파일:나무_현수선.png

밀도가 균일한 선이 양끝만 고정되어 길이에 비례하는 외력에 의해 처진 선. 또한 이는, 밀도가 균일한 선을 양끝에 고정시켰을 때, 줄의 전체 퍼텐셜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곡선이기도 하다. (단, 줄의 변형은 무시한다.) 한편 수평거리에 비례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포물선 형태가 된다.

직관적인 예시는, 목걸이의 모습이나 체인으로 걸어놓은 출입 제한선 같은 모양을 떠올리면 현수선과 비슷한 모습이 나올 것이다.[1]

현수선의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math(\begin{aligned} y(x) &= a\cosh{\left(\frac xa \right)} \\ &= \frac a2(e^{x/a}+e^{-x/a}) \\ &= a\sum_{n=0}^\infty\frac1{(2n)!}{\left(\frac xa\right)}^{2n} \\ &= a{\left(1 + \frac{x^2}{2a^2} + \frac{x^4}{24a^4} + \cdots\right)}\end{aligned})]
[math(a)]는 상수이며, [math(\cosh)]는 쌍곡코사인 함수이다. 얼핏 모양은 포물선같이 보이지만 다르다.[비교] 위 식에서 [math(\cfrac xa \ll 1)] 즉 [math(x \ll a)]인 경우, 무한급수로 전개한 식에서 4차항 이하를 0으로 근사할 수 있으므로
[math(\begin{aligned} y(x) &= a\cosh{\left(\frac xa \right)} \\ &\approx a{\left(1 + \frac{x^2}{2a^2}\right)} \\ &= a + \frac{x^2}{2a}\end{aligned})]
와 같이 포물선이 꼴이 된다. 실제로 [math(a)]는 줄에 가해지는 장력의 수평 방향 성분 [math(T)], 선밀도 [math(\rho)], 중력 가속도 [math(g)]를 이용하여 [math(a=\cfrac T{\rho g})]로 주어지는데 이 말은 곧 장력이 충분히 크거나 선밀도가 매우 작으면 현수선을 포물선으로 근사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2. 유도 과정

2.1. 유도 1

파일:나무_현수선_유도1.png

위 그림과 같이 두 점 [math((x_1,\,y_1))]과 [math((x_2,\,y_2))] 사이에 양끝이 고정되어 매달려있는 길이가 [math(L)]인 선을 고려하자. 이 선을 기술하는 곡선이 [math(y=y(x))]의 그래프를 따르고, 선의 밀도는 [math(\rho)]로 일정하다고 하자. 선의 길이를 [math(s)]로 나타낼 때 중력은 [math(m{\bf g}=-mg{\bf\hat y} = -\rho sg{\bf\hat y})]이며, 지점 [math((x,\,y))]에 걸리는 장력
[math({\bf T}(x)=T(x)_{\bf x}{\bf\hat x}+T(x)_{\bf y}{\bf\hat y})]
로 나타내면, 미소 구간 [math([x,\,x+{\rm d}x])] 사이에 있는 미소 길이 [math({\rm d}s)]의 선에는 세 힘, 즉 양 끝점에서의 장력 둘과 중력이 작용하며 다음과 같이 평형을 이룬다.
[math({\bf T}(x) + {\bf T}(x + {\rm d}x) + m{\bf g} = {\bf0}{\rm\,N})]
각 성분으로 나누어서 운동 방정식을 써보자
우선 미소 구간에 있는 선에 대해 [math(x)]축에 대한 힘의 평형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T(x)_{\bf x}-T(x+{\rm d}x)_{\bf x} = 0{\rm\,N})]
이 조건으로부터 [math(T(x)_{\bf x} \equiv T)], 즉 [math(x)]축 방향의 힘은 상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math(y)]축에 대해
[math(-\rho g{\rm\,d}s + T(x+{\rm d}x)_{\bf y}-T(x)_{\bf y} = 0{\rm\,N})]
인데 [math(T(x + {\rm d}x)_{\bf y} - T(x)_{\bf y})]는 장력의 미소 차이 [math({\rm d}T(x)_{\bf y})]와 같으므로
[math({\rm d}T(x)_{\bf y} = \rho g{\rm\,d}s)]
한편, 장력은 선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기울기를 장력의 성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math(\begin{aligned} y' = \dfrac{T(x)_{\bf y}}{T(x)_{\bf x}} &= \dfrac{T(x)_{\bf y}}T \\ \Rightarrow T(x)_{\bf y} &= Ty' \\ {\rm d}T(x)_{\bf y} &= {\rm d}(Ty') = T{\rm\,d}(y') \end{aligned})]
이때, 곡선의 길이 공식으로부터
[math({\rm d}s = \sqrt{({\rm d}x)^2 + ({\rm d}y)^2} = \sqrt{1 + {\left(\dfrac{{\rm d}y}{{\rm d}x}\right)}^2}{\rm\,d}x = \sqrt{1+(y')^2}{\rm\,d}x)]
이므로 위의 [math({\rm d}s)]를 [math(y)]축에 대한 평형에서 나온 [math({\rm d}T(x)_{\bf y} = T{\rm\,d}(y') = \rho g{\rm\,d}s)]에 대입하고 양변을 [math({\rm d}x)]로 나누면
[math(\begin{aligned} T\frac{{\rm d}(y')}{{\rm d}x} &= \rho g \sqrt{1+(y')^2} \\ \therefore \frac{{\rm d}(y')}{\sqrt{1+(y')^2}} &= \frac{\rho g}T{\rm\,d}x \end{aligned})]
의 미분 방정식이 얻어진다. 좌변은 [math(\operatorname{arsinh}(y') = \ln{\left\{y' + \sqrt{1+(y')^2}\right\}})]의 전미분식이므로 부정적분하면
[math(\begin{aligned} \operatorname{arsinh}(y') &= \frac{\rho g}Tx + C \\ \Rightarrow y' &= \sinh{\left(\frac{\rho g}Tx + C\right)}\end{aligned})]
가 얻어지는데 이 식을 선의 길이에 관한 조건
[math(\displaystyle \int_{x_1}^{x_2}\sqrt{1+(y')^2}{\rm\,d}x = L)]
에 대입해서 [math(C)]를 구한다. [math(\sqrt{1+\sinh^2t} = \cosh t)]이므로
[math(\begin{aligned} L &= \int_{x_1}^{x_2}\cosh{\left(\frac{\rho g}Tx + C\right)}{\rm\,d}x \\
&= {\left[\frac T{\rho g}\sinh{\left(\frac{\rho g}Tx + C\right)}\right]}_{x_1}^{x_2} \\
&= \frac T{\rho g}{\left\{\sinh{\left(\frac{\rho g}Tx_2 + C\right)} - \sinh{\left(\frac{\rho g}Tx_1 + C\right)}\right\}} \\
&= \frac{2T}{\rho g}\sin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cosh{\left(\frac{\rho g}T\frac{x_1 + x_2}2 + C\right)} \\
&\Rightarrow \cosh{\left(\frac{\rho g}T\frac{x_1 + x_2}2 + C\right)} = \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 \\
\therefore C &= \operatorname{arcosh}{\left\{\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right\}} - \frac{\rho g}T\frac{x_1 + x_2}2 \\
y' &= \sin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 + \operatorname{arcosh}{\left\{\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right\}}\right]}\end{aligned})]
이렇게 얻어진 [math(y')]을, 좌변은 구간 [math([y_1,\,y])]로, 우변은 구간 [math([x_1,\,x])]로 정적분하면 된다.
[math(\begin{aligned} y = &\frac T{\rho g}\cos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 + \operatorname{arcosh}{\left\{\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right\}}\right]} \\
&+ y_1 - \frac T{\rho g}\cosh{\left[\frac{\rho g}T{\left(\frac{x_1 - x_2}2\right)} + \operatorname{arcosh}{\left\{\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right\}}\right]}\end{aligned})]
[math(\operatorname{arcosh}{\left\{\d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dfrac{\rho g}T\dfrac{x_2 - x_1}2\right)}\right\}})]은 상수이므로 이를 [math(A)]라 놓으면 위 식은
[math(y = \dfrac T{\rho g}\cosh{\left\{\dfrac{\rho g}T{\left(x-\dfrac{x_1 + x_2}2\right)} + A\right\}} + y_1 - \dfrac T{\rho g}\cosh{\left\{\dfrac{\rho g}T{\left(\dfrac{x_1 - x_2}2\right)} + A\right\}})]
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math(y_1 = y_2)], 즉 양 끝점의 높이가 같을 경우 [math(x = x_2)], [math(y = y_2)]를 대입해서
[math(\dfrac T{\rho g}{\left[\cosh{\left\{\dfrac{\rho g}T{\left(\dfrac{x_2 - x_1}2\right)} + A\right\}} - \cosh{\left\{\dfrac{\rho g}T{\left(\dfrac{x_1 - x_2}2\right)} + A\right\}}\right]} =0)]
이므로 대괄호 부분이 0이 되는데, 합을 곱으로 고치는 공식을 이용하면
[math(\begin{aligned} &\cosh{\left\{\frac{\rho g}T{\left(\frac{x_2 - x_1}2\right)} + A\right\}} - \cosh{\left\{\frac{\rho g}T{\left(\frac{x_1 - x_2}2\right)} + A\right\}} \\
&= 2\sinh A\sinh{\left\{\frac{\rho g}T{\left(\frac{x_2 - x_1}2\right)}\right\}} \\
&= 0\end{aligned})]
[math(x_2 \ne x_1)]이므로 [math(\sinh A = 0 \Leftrightarrow
A = 0)]이다. [math(y')]을 다시 살펴보면
[math(\begin{aligned} y' &= \sin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 + \operatorname{arcosh}{\left\{\frac{\rho gL}{2T}\operatorname{csch}{\left(\frac{\rho g}T\frac{x_2 - x_1}2\right)}\right\}}\right]} \\
&= \sin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 + A\right\}} \\
&= \sin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right\}}\end{aligned})]
위 식과 같이 선의 양 끝점이 같을 경우 그 중심의 좌표 [math(\cfrac{x_1 + x_2}2)]에서 기울기가 0임을 알 수 있고 [math(y)] 역시
[math(\begin{aligned} y = &\frac T{\rho g}\cosh{\left\{\frac{\rho g}T{\left(x-\frac{x_1 + x_2}2\right)}\right\}} + y_1 - \frac T{\rho g}\cosh{\left\{\frac{\rho g}T{\left(\frac{x_1 - x_2}2\right)}\right\}}\end{aligned})]
가 되어 직선 [math(x = \cfrac{x_1 + x_2}2)]에 대칭인 [math(\cosh)] 함수 형태가 얻어짐을 알 수 있다.

2.2. 유도 2

이번엔 현수선의 또 다른 정의인 줄의 전체 퍼텐셜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곡선임을 증명해보자. 이 증명에는 변분법이 이용된다.

고려하는 선의 조건은 유도 1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다. 곡선 [math(y(x) )]로 기술되는 선의 미소 구간에 대한 퍼텐셜 에너지는
[math({\rm d}U=\rho gy{\rm\,d}s)]
이때,
[math({\rm d}s=\sqrt{1+(y')^2}{\rm\,d}x)]
를 이용하고, 이것을 줄 전체에 대해 적분하면, 줄의 퍼텐셜 에너지를 얻는다.
[math(\displaystyle U = \rho g \int_{x_1}^{x_2} y \sqrt{1+(y')^2}{\rm\,d}x)]
이때, 범함수
[math(J(y,\,y';\,x) \equiv y \sqrt{1+(y')^2})]
를 얻으며, 이 범함수를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math(\dfrac{\partial J}{\partial y}-\dfrac{\rm d}{{\rm d}x}\dfrac{\partial J}{\partial y'}=0)]
에 대입하면
[math(\begin{aligned} &\sqrt{1+(y')^2} - \frac{\rm d}{{\rm d}x}{\left\{\frac{yy'}{\sqrt{1+(y')^2}}\right\}} \\ &= \frac1{\sqrt{1+(y')^2}} - \frac{yy}{\sqrt{1+(y')^2}^3} \\ &= \frac{1+(y')^2-yy}{\sqrt{1+(y')^2}^3} = 0 \\ &\therefore yy'' = 1 + (y')^2\end{aligned})]
마지막 2계 미분 방정식은 양변을 [math(x)]로 한번 미분해주면 다음과 관은 관계식을 얻으면서 풀린다.
[math(\begin{aligned} &y'y + yy' = 2y'y \\ &\Rightarrow yy' = y'y \\ &\Rightarrow \frac{y'}{y} = \frac{y'}y \\ &\Rightarrow \ln|y| = \ln|y| + C_1 \\ &\Rightarrow |y''| = e^{C_1}|y|\end{aligned})]
그런데 맨 처음 미분방정식 [math(yy = 1 + (y')^2)]을 자세히 보면 우변은 항상 양수이므로 [math(y>0)], [math(y>0)] 혹은 [math(y<0)], [math(y<0)]이어야 하며, [math(y)], [math(y)]의 부호가 다르게 나올 수 없으므로 절댓값을 그냥 벗겨서
[math(y'' = e^{C_1}y = c^2y \quad (c>0))]
라는 조건을 얻고, 이것을 원래 2계 미분 방정식에 대입해서 차수를 낮추고 식을 정리하면 아래의 미분 방정식을 얻는다.
[math(\dfrac y{\sqrt{1+(y')^2}}=\dfrac1c)]
이 미분 방정식의 해는
[math(y = \dfrac1c\cosh(cx+d))]
의 형태이므로 현수선에 해당한다. 단, [math(c)], [math(d)]는 결정해야 할 상수이고, 유도 1에서와 같이 현의 길이에 관한 조건과 장력의 크기 조건을 연립해서 구할 수 있다.[3]

3. 기타

4. 관련 문서



[1] 정작 현수교는 아래쪽에 교각이 걸려 있어서 외력이 길이에만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현수선이 아니다. 외력이 길이 [math({\rm d}s)]가 아닌 [math({\rm d}x)]에 일정하게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면 포물선이 나온다. '현수'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다리 전체를 주 케이블에 매달아서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 [비교] 파일:namu_이차함수_현수선_비교.png [3] 사실 맨 처음에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세울 때 줄의 길이에 대한 구속 조건을 포함시켜서 푸는 게 더 정확한 풀이이다. 라그랑주 승수법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