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3 17:43:19

헤이제이 덴노

헤이제이 천황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rowcolor=#DCA6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rowcolor=#DCA6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rowcolor=#DCA600> 제13대 제14대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rowcolor=#DCA600>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rowcolor=#DCA600>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rowcolor=#DCA600>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rowcolor=#DCA600> 제31대 제32대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rowcolor=#DCA600>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rowcolor=#DCA600> 제58대 제59대 제60대 제61대
<rowcolor=#DCA600>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rowcolor=#DCA600>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rowcolor=#DCA600> 제74대 제75대 제76대 제77대
<rowcolor=#DCA600>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
<rowcolor=#DCA600>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rowcolor=#DCA600>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rowcolor=#DCA600>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93대
<rowcolor=#DCA600> 제94대 제95대 제96대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rowcolor=#DCA600> 제126대
}}}}}}}}}


파일:십육엽팔중표국.svg
상황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원정
]]
제74대 [[인세이|
원정
]]
제75대 [[인세이|
원정
]]
제77대 [[인세이|
원정
]]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원정
]]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제82대 [[인세이|
원정
]]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원정
]]
제86대 [[인세이|
원정
]]
제88대 [[인세이|
원정
]]
제89대 [[인세이|
원정
]]
제90대 [[인세이|
원정
]]
제91대 [[인세이|
원정
]]
제92대 [[인세이|
원정
]]
제93대 [[인세이|
원정
]]
제95대
제96대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제95대
제98대 [[인세이|
원정
]]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제95대
북조 초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제98대
제99대
제100대 [[인세이|
원정
]]
추존
제102대 [[인세이|
원정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원정
]]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원정
]]
제113대 [[인세이|
원정
]]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원정
]]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원정
]]
[[일본|
현대
]]
제125대

}}}}}}}}}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일본 제51대 천황
헤이제이 덴노
平城天皇
파일:양매릉.jpg
야마모모릉 전경
출생 774년 9월 25일
나라현 헤이조쿄
(現 나라현 나라시)
사망 824년 8월 5일 (향년 50세)
나라현 헤이조쿄
(現 나라현 나라시)
능묘 야마모모릉([ruby(楊梅陵, ruby=양매릉)])
재위기간 일본 황태자
785년 11월 25일 ~ 806년 4월 9일
제51대 천황
806년 4월 9일 ~ 809년 5월 18일
일본 상황
809년 5월 18일 ~ 824년 8월 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아테([ruby(小殿, ruby=소전)] → [ruby(安殿, ruby=안전)])
부모 부황 간무 덴노
모후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형제자매 15남 22녀 중 장남
배우자 동궁비 후지와라씨
증황후 후지와라노 타라시코
자녀 4남 4녀
종교 신토
관저 헤이안쿄([ruby(平安京, ruby=평안경)])
헤이조쿄([ruby(平城京, ruby=평성경)])
별호 나라노미카도([ruby(奈良帝, ruby=내량제)])
한풍 시호 헤이제이 덴노([ruby(平城天皇, ruby=평성천황)])
화풍 시호 일본근자천추국고언존
(日本根子天推國高彦尊)[1]
연호 다이도([ruby(大同, ruby=대동)], 806년 ~ 810년) }}}}}}}}}
1. 개요2. 생애3. 기타4.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51대 천황. 시호인 '헤이제이'는 현 나라현 일대인 헤이조쿄에서 따 온 이름이다. ' 나라의 황제'라는 뜻에서 '나라노미카도'(奈良帝)로 불리기도 했다.

2. 생애

774년 간무 덴노와 황후 후지와라노 오토무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785년 숙부 사가라 친왕 대신 태자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병약한 데다가 황태자비의 어머니인 후지와라노 구스코[2]와의 추문이 있어 부황 간무 덴노와의 사이가 원만하지 못했다.

다이도 원년(806년) 간무 덴노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올랐다. 헤이제이 덴노는 치세 초기에 정치에 의욕을 갖고, 각종 정치·경제의 재건을 실시했다. 한편으로는 아버지가 추방했던 후지와라노 구스코를 귀환시켜 궁정 내부의 일을 일임시켰다. 다이도 4년 (809년) 치세 4년 만에 신병으로 인해 동생 사가 덴노에게 양위했다.

810년 수도를 헤이안쿄에서 헤이조쿄로 옮기고, 정권을 다시 장악하려고 했다. 그러나, 동생 사가 천황측이 선수를 쳐 구스코의 관직을 박탈하는 등 상황의 세력을 견제했다. 이에 810년 헤이조쿄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여 구스코는 음독 자살하고 상황은 출가했다. 또한, 상황의 아들 다카오카 친왕 대신 사가 천황의 동생 오오토모 친왕( 준나 덴노)이 황태제가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구스코의 변이라 부른다.

824년 붕어했다. 향년 51세.

3. 기타

그의 시호가 '헤이제이'라는 것과 수도를 헤이조쿄로 옮기려 했던 것으로 보아 나라 시대의 정서가 강했던 인물로 보인다. 자신의 아버지인 간무 덴노가 헤이안쿄로 옮긴 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던 당시라 그런 모양.

4. 가족 관계


아들이 여럿 있었음에도 동생에게 황위를 물려준 것으로 보아 이들의 어머니들은 그리 신분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서도 그렇듯, 당시에는 어머니의 신분이 후계자 서열에 크게 작용했다.

==# 천황 계보 #==
<nopad>
초대
<nopad> 진무 천황
<nopad>
제2대
<nopad> 스이제이 천황
<nopad>
제3대
<nopad> 안네이 천황
<nopad>
제4대
<nopad> 이토쿠 천황
<nopad>
제5대
<nopad> 고쇼 천황
<nopad>
제6대
<nopad> 고안 천황
<nopad>
제7대
<nopad> 고레이 천황
<nopad>
제8대
<nopad> 고겐 천황
<nopad>
제9대
<nopad> 가이카 천황
<nopad>
제10대
<nopad> 스진 천황
<nopad>
제11대
<nopad> 스이닌 천황
<nopad>
제12대
<nopad> 게이코 천황
<nopad>
제13대
<nopad> 야마토타케루 <nopad> 세이무 천황
<nopad>
제14대
<nopad> 주아이 천황
<nopad>
제15대
<nopad> 오진 천황
    
    
    
    
    
    
    
    
    
    
    
    
    
    
    
    
    
    
    
    
    
    
    
<nopad>
제16대
<nopad> 닌토쿠 천황 <nopad> 와카누케후타마타 황자
<nopad>
제17대
<nopad>
제18대
<nopad>
제19대
<nopad> 리추 천황 <nopad> 한제이 천황 <nopad> 인교 천황 <nopad> 오호도 왕
<nopad>
제20대
<nopad>
제21대
<nopad> 이치노헤노오시하 황자 <nopad> 안코 천황 <nopad> 유랴쿠 천황 <nopad> 오이 왕
<nopad>
제24대
<nopad>
제23대
<nopad>
제22대
<nopad> 닌켄 천황 <nopad> 겐조 천황 <nopad> 세이네이 천황 <nopad> 히코우시 왕
<nopad>
제25대
<nopad>
제26대
<nopad> 부레쓰 천황 <nopad> 게이타이 천황
<nopad>
제27대
<nopad>
제28대
<nopad>
제29대
<nopad> 안칸 천황 <nopad> 센카 천황 <nopad> 긴메이 천황
<nopad>
제30대
<nopad>
제31대
<nopad>
제33대
<nopad>
제32대
<nopad> 비다쓰 천황 <nopad> 요메이 천황 <nopad> 스이코 천황 <nopad> 스슌 천황
<nopad>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에 황자
<nopad> 지누 왕
<nopad>
제34대
<nopad>
제35대
<nopad>
제36대
<nopad> 조메이 천황 <nopad> 고교쿠 천황 <nopad> 고토쿠 천황
<nopad>
제37대
<nopad> 사이메이 천황
<nopad>
제38대
<nopad> 덴지 천황
<nopad>
제41대
<nopad>
제40대
<nopad> 지토 천황 <nopad> 덴무 천황
<nopad> 시키 황자
<nopad>
제39대
<nopad>
제43대
<nopad> 고분 천황 <nopad> 겐메이 천황 <nopad> 구사카베 황자 <nopad> 도네리 친왕
<nopad>
제49대
<nopad>
제44대
<nopad>
제42대
<nopad>
제47대
<nopad> 고닌 천황 <nopad> 겐쇼 천황 <nopad> 몬무 천황 <nopad> 준닌 천황
<nopad>
제50대
<nopad>
제45대
<nopad> 간무 천황 <nopad> 쇼무 천황
<nopad>
제51대
<nopad>
제52대
<nopad>
제53대
<nopad>
제46대
<nopad> 헤이제이 천황 <nopad> 사가 천황 <nopad> 준나 천황 <nopad> 고켄 천황
<nopad>
제48대
<nopad> 쇼토쿠 천황
<nopad>
제54대
<nopad> 닌묘 천황
<nopad>
제55대
<nopad>
제58대
<nopad> 몬토쿠 천황 <nopad> 고코 천황
<nopad>
제56대
<nopad>
제59대
<nopad> 세이와 천황 <nopad> 우다 천황
<nopad>
제57대
<nopad>
제60대
<nopad> 요제이 천황 <nopad> 다이고 천황
<nopad>
제61대
<nopad>
제62대
<nopad> 스자쿠 천황 <nopad> 무라카미 천황
<nopad>
제63대
<nopad>
제64대
<nopad> 레이제이 천황 <nopad> 엔유 천황
<nopad>
제65대
<nopad>
제67대
<nopad>
제66대
<nopad> 가잔 천황 <nopad> 산조 천황 <nopad> 이치조 천황
<nopad>
제68대
<nopad>
제69대
<nopad> 고이치조 천황 <nopad> 고스자쿠 천황
<nopad>
제70대
<nopad>
제71대
<nopad> 고레이제이 천황 <nopad> 고산조 천황
<nopad>
제72대
<nopad> 시라카와 천황
<nopad>
제73대
<nopad> 호리카와 천황
<nopad>
제74대
<nopad> 도바 천황
<nopad>
제75대
<nopad>
제77대
<nopad>
제76대
<nopad> 스토쿠 천황 <nopad> 고시라카와 천황 <nopad> 고노에 천황
<nopad>
제78대
<nopad>
제80대
<nopad> 니조 천황 <nopad> 다카쿠라 천황
<nopad>
제79대
<nopad>
제81대
<nopad>
제82대
<nopad> 로쿠조 천황 <nopad> 안토쿠 천황 <nopad> 모리사다 친왕 <nopad> 고토바 천황
<nopad>
제86대
<nopad>
제83대
<nopad>
제84대
<nopad> 고호리카와 천황 <nopad> 쓰치미카도 천황 <nopad> 준토쿠 천황
<nopad>
제87대
<nopad>
제88대
<nopad>
제85대
<nopad> 시조 천황 <nopad> 고사가 천황 <nopad> 주쿄 천황
<nopad>
제89대
<nopad>
제90대
<nopad> 고후카쿠쿠사 천황 <nopad> 가메야마 천황
<nopad>
제92대
<nopad>
제91대
<nopad> 후시미 천황 <nopad> 고우다 천황
<nopad>
제93대
<nopad>
제95대
<nopad>
제94대
<nopad>
제96대
<nopad> 고후시미 천황 <nopad> 하나조노 천황 <nopad> 고니조 천황 <nopad> 고다이고 천황
<nopad>
북조 초대
<nopad>
북조 제2대
<nopad>
제97대
<nopad> 고곤 천황 <nopad> 고묘 천황 <nopad> 고무라카미 천황
<nopad>
북조 제3대
<nopad>
북조 제4대
<nopad>
제98대
<nopad>
제99대
<nopad> 스코 천황 <nopad> 고코곤 천황 <nopad> 조케이 천황 <nopad> 고카메야마 천황
<nopad>
북조 제5대
<nopad>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nopad> 고엔유 천황
<nopad>
북조 제6대
<nopad>
제100대
<nopad> 후시미노미야 사다후사 친왕 <nopad> 고코마쓰 천황
<nopad>
제102대
<nopad>
제101대
<nopad> 고하나조노 천황 <nopad> 쇼코 천황
<nopad>
제103대
<nopad> 고쓰치미카도 천황
<nopad>
제104대
<nopad> 고카시와바라 천황
<nopad>
제105대
<nopad> 고나라 천황
<nopad>
제106대
<nopad> 오기마치 천황
<nopad> 사네히토 친왕
<nopad>
제107대
<nopad> 고요제이 천황
<nopad>
제108대
<nopad> 고미즈노오 천황
<nopad>
제109대
<nopad>
제110대
<nopad>
제111대
<nopad>
제112대
<nopad> 메이쇼 천황 <nopad> 고코묘 천황 <nopad> 고사이 천황 <nopad> 레이겐 천황
<nopad>
제113대
<nopad> 히가시야마 천황
<nopad>
제114대
<nopad> 나카미카도 천황 <nopad> 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
<nopad>
제115대
<nopad> 사쿠라마치 천황 <nopad>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
<nopad>
제117대
<nopad>
제116대
<nopad>
제119대
<nopad> 고사쿠라마치 천황 <nopad> 모모조노 천황 <nopad> 고카쿠 천황
<nopad>
제118대
<nopad>
제120대
<nopad> 고모모조노 천황 <nopad> 닌코 천황
<nopad>
제121대
<nopad> 고메이 천황
<nopad>
제122대
<nopad> 메이지 천황
<nopad>
제123대
<nopad> 다이쇼 천황
<nopad>
제124대
<nopad> 쇼와 천황
<nopad>
제125대
<nopad> 아키히토
<nopad>
제126대
<nopad> 나루히토




[1] 야마토네코아메오시쿠니타카히코노미코토 [2] '후지와라 식가' 출신의 후지와라노 구스코는 미색으로 헤이제이 덴노를 사로잡아 권력을 전횡했다. 그녀는 9세기 초 후지와라노 타네츠구(藤原種繼)의 딸로 태어났다. 주나곤(中納言, 중납언) 후지와라노 타다누시(藤原縄主)의 부인이 되어  3남 2녀를 두었는데 큰 딸이 아테노 친왕(安殿親王)의 궁녀가 되면서 자신도 도쿠센지(東宮宣旨, 동궁선지. 황태자를 모시는 고급 궁녀)로서 일하게 되었고, 이때 자신의 딸이 모시는 아테노 친왕과 불륜의 사이가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후지와라노 카다노마로(藤原葛野麻呂)와도 사통했다고 한다. 간무 덴노가 이에 격분하여 구스코를 궁에서 내쫓았다. 그러나 806년, 간무 덴노가 붕어하고 아테노 친왕이 헤이제이 덴노가 되자 그는 구스코를 쇼지(尚侍, 상시)에 임명하여 다시 총애하게 되었다. 그녀의 남편 후지와라노 타다누시는 규슈의 다자이후(大宰府, 대재부)로 보내졌다. 이때부터 구스코는 오빠인 후지와라노 나카나리(藤原仲成)와 함께 권력을 전횡하기 시작했다. 809년에 헤이제이 덴노가 병이 깊다는 이유로 가미노(神野) 친왕에게 양위를 했고,  사가 덴노가 등극하게 되었다. 그런데 퇴위하여 상황(上皇)이 된 헤이제이가 병이 나아 양위를 해버린 것을 후회하고 천황으로 복귀할 것을 희망하자 구스코 자신도 오빠 나카나리와 함께 이에 동조했다. 810년, 헤이제이 상황이 헤이조쿄(平城京)가 진정한 수도라며 천도의 조칙을 내리고, 천황에 복귀할 것을 선언하자 사가 천황은 명장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坂上田村麻呂, 최초의 세이이다이쇼군, 征夷大將軍)를 파견하여 이를 제압했다. 헤이제이 상황의 거병이 실패하자 구스코는 10월 17일에 독약을 먹고 자살했다. [3] 황태자비를 뜻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