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9 02:07:35

허풍선이 과학쇼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bgcolor=#F15B5B><colcolor=#fff> 허풍선이 과학쇼 (2014~2017)
Mind Blowing Breakthroughs
파일:허풍선이 과학쇼.jpg
장르 교육, 코미디, 액션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제작 EBS, Grafizix, Abstrolab Motion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BS 1TV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ViuTV
방영 기간 1기: 2014.02.24. ~ 2014.05.06.
2기: 2017.02.27. ~ 2017.05.23.
화수 시즌 2, 52부작[1]
심의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1. 개요2. 등장인물3. 특징4. 고증 및 오류5. 기타

[clearfix]

1. 개요

빅토리아 극장에서 여러 역사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여러 과학 원리와 인물, 발명품들을 관객들에게 유쾌하게 전달하는 EBS 교육용 애니메이션이다.

한국과 아르헨티나에서 합작으로 만들어졌으며 약 3년 주기로 작품이 방송된다. EBS와 한국의 그래피직스 http://www.grafizix.com, 아르헨티나의 Astrolab Motion의 3자 공동제작 작품이다.

애니메이션은 한국의 그래피직스가 주도적으로 Astrolab Motion과 함께 제작했다.[2]

주로 주인공인 허풍선이 뮌하우젠 남작의 극장에서 진행되고 극장 장치 감독인 머독이 극장의 장치를 다루며 무대의 장면을 바꾸는 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극장에서 다른 차원으로 진행자가 이동하거나 극장 자체가 날아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매 시리즈 역사와 과학을 다루는 과정에서 서양의 역사와 함께 한국과 아시아 소재를 동시에 제공하여 동서양의 균형잡힌 시각을 갖게 하는 주제를 갖고 있다.

여러 편의 뮤지컬이 제작되고 오랫동안 유지 될 만큼 나름 인지도가 있다. 리모컨으로 채널을 돌리다 보면 EBS에서 간간히 나오거나 교과서나 교육 콘텐츠 시청각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해외에는 크게 인지도가 있진 않지만 아르헨티나내 시청자와 일부 Astrolab Motion의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유익하다는 호평이 적지 않다.

이후 허풍선이 음악쇼(2020년), 허풍선이 미술쇼(2023년)도 제작되어 방영되고 있다.

이 시리즈들은 극장 내에서 진행되기 보다는 중요한 발견이나 발명이 이루어진 시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허풍선이 미술쇼에서는 직지, 고려 청자, 고구려 벽화 등 한국과 관련된 소재가 이전 시리즈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등장인물

해당 문서 참고.

3. 특징

어린이 애니메이션에 어울리지 않을 법한 기괴한 연출[3]이 자주 나오며 에피소드에서 소개하는 인물에 대한 사소한 부분을 작품 내 오마주하기도 한다. 여러 패러디가 많이 적용되어 있으며 [4] 또한 위인들의 어두운 면도 숨기지 않고 고발하는 등 블랙 코미디 부분이 에피소드의 다수를 차지한다.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방식으로 디자인을 제작했는데, 실제 인물 사진이나 초상화를 기초 소스로 리터치 한 컷아웃 기법을 사용한다. 아무래도 애니메이션 팀이 아르헨티나에 있기에 사진 자료들도 대부분 백인들의 사진을 사용하여 인물들의 외형이 상당히 이국적이다.[5] 사진을 중복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로 인해 주연 캐릭터를 제외한 인물들의 외형이 겹칠 때도 있다. [6]

4. 고증 및 오류

허풍선이 과학쇼/고증 및 오류

5. 기타


[1] 1기: 26화 + 2기: 26화(27화~52화) [2] Astrolab Motion 애니메이션 팀 링크 http://astrolabmotion.com.ar/media/index.php [3] 관객들이 무언가를 깨닫거나 감탄할 때 머리가 열린다.( 킹스맨에서 영감을 받은 듯 하다.) [4] 에디슨편에서 에디슨과 테슬라가 광선검으로 싸우는 장면이 있다. [5] 아시아인, 심지어 한국인도 백인 사진자료를 사용하였다. [6] 장영실편에서 세종대왕 옆의 내시와 베네데토 카스텔리의 외형이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