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9-11 23:18:07

한산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사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학교에 대한 내용은 한국공학대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漢山記

1. 소개2. 상세

1. 소개

전(傳)과 기(記) 몇 권을 지었다. 그 가운데 《 고승전(高僧傳)》, 《 화랑세기(花郞世記)》, 《 악본(樂本)》, 《한산기(漢山記)》가 아직 남아 있다.
삼국사기 김대문 열전 中

신라 중대의 진골 역사학자 김대문이 저술한 .

2. 상세

김대문이 704년 한산주(지금의 경기도 일대)의 도독( 장관)을 역임한 적이 있으므로 이 책은 한산주 지역의 지리지 혹은 역사서로 추정된다. 약 400여년이 지난 고려 중기 김부식 삼국사기를 쓸 때까지는 분명히 남아있었으나 이후 어느 시점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신라 중대 대외 발전의 전진기지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기 위하여 쓰여졌으리라는 견해도 있다.[1]

편찬자들이 서명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학계에서는 도미 부부 설화 등을 《한산기(漢山記)》내용에서 일부 인용한 것으로 본다.


[1] 정구복 외,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77~7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