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2:49:55

한국항공대학교/학부/AI융합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항공대학교/학부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의 단과대학 · 독립학부
공과대학 AI융합대학 항공·경영대학 자유전공학부 인문자연학부
1. 개요2. 전공
2.1. 인공지능전공2.2. 컴퓨터공학전공2.3. 반도체시스템전공2.4. 전자 및 항공전자전공2.5. AI융합ICT전공
3. 학과
3.1.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1. 개요


파일:3cdd7f0dcd76b.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 신한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관동권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미래) ·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1.png 한림대학교
호서권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세종)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동남권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대경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호남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사업 종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 재선정 대학 }}}}}}}}}
AI융합대학
1952년 <colbgcolor=#f5f5f5,#191919>교통부 산하 교통고등학교 2년제 특설 통신과로 발족
1958년 통신과를 통신전자과로 학과명칭 변경
1959년 통신전자과를 분리하여 통신관제과,응용전자과로 학과 명칭 변경
1968년 통신관제과,응용전자과를 항공통신공학과,항공전자공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
1984년 항공통신공학과를 항공통신정보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1987년 전자계산학과 증과
1994년 전자계산학과를 컴퓨터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2000년 항공전자공학과, 항공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를 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로 통합
2005년 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를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1]로 학부 명칭 변경
2015년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2]에서 항공전자정보공학부[3]로 개편. 소프트웨어학과 분리
2024년 항공전자정보공학부[4]에서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로 학과 분리 독립
2025년 전기전자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컴퓨터공학과를 AI융합대학 제1전공[5]으로 개편

2. 전공

2.1. 인공지능전공

SW중심대학에 선정된 이후, 항공대 소프트웨어학과는 산학연계 교육과 기업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으며, 대학원 과정으로 별도의 인공지능학과를 운영하고 있었다. 최신 기술 및 산업체 동향을 교육에 반영해 기업체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방식을 설계해왔고, 이렇게 쌓아온 역량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전공을 도입하였다.

전공 과정별 주요 과목은 다음과 같다.
주요과목
분야 전공과목
인공지능 분야 AI입문, 딥러닝, 딥러닝 응용,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 플래닝
소프트웨어 분야 프로그래밍 입문, AI 프로그래밍, 운영체제, 알고리즘, 문제해결기법, SW공학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컴퓨터네트워크

2.2. 컴퓨터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은 컴퓨터하드웨어, 컴퓨터소프트웨어, 데이터 모듈의 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하드웨어 모듈은 컴퓨터 시스템 및 임베디드 시스템의 구성과 설계 등에 대한 분야를
컴퓨터소프트웨어 모듈은 코딩, 웹/앱 소프트웨어 개발, 알고리즘 및 문제해결 등에 대한 분야를
데이터 모듈은 데이터과학 및 공학, 빅데이터, 기계학습, 인공지능 등 데이터에 컴퓨터 기술을 적용하는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 과정별 주요 과목은 다음과 같다.
주요과목
분야 전공과목
컴퓨터하드웨어 디지털시스템설계, 컴퓨터구조,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 임베디드시스템설계
컴퓨터소프트웨어 시스템프로그래밍, 운영체제, 알고리즘, 문제해결, 정보보호, SW공학
데이터 기계학습,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컴퓨터네트워크

2.3. 반도체시스템전공

전기전자공학과(舊항공전자정보공학부)시절 시스템반도체 트랙을 운영하였으며, 반도체 융합전공을 개설하여 재학생들이 반도체 분야로 나아갈 수 있는 커리큘럼을 운영해 왔다. 또한 대학원 과정으로 반도체학과를 개설해 역량을 쌓아왔던만큼 반도체 분야에서 활약할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

반도체시스템전공은 반도체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반도체시스템을 구현하는 설계 부분,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하드웨어가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반도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하드웨어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부분, 반도제를 제작하는 가장 최적의 방법을 찾는 분야로서 반도체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 물질과 이를 이용해 반도체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소자·공정 부분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2.4. 전자 및 항공전자전공

항공대의 전신인 교통고등학교 부설 2년제 항공과부터 이어진 유서깊은 학과이다.

학교 건물 중 전자관 전체를 사용한다. 다른 건물들에서 학생회관 쪽을 바라보면 전부 AI융합대학 전공 실험실일 정도이다.

2015년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에서 컴퓨터정보공학전공이 빠져나와 소프트웨어학과로 분리하면서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는 항공전자정보공학부로 학과명이 변경되었다.

2021년 학부 이름 변경 추진을 위한 설문조사를 하였다.[6] 재학생 여론을 살펴보면 항공전자정보공학부를 유지하거나 전자정보공학부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2024년 항공전자정보공학부는 전기전자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로 개편되었다.

전자공학 분야인 센서 시스템, 자동제어,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관련 내용과 항공전자 분야인 위성항행시스템(GPS), 레이다, 전파항행, 항공기전자장치, 항공통신시스템, 자동항행시스템, 차세대 항행시스템, 무인기, UAM 등과 관련한 이론 교육과 실험 실습을 병행하게 된다.

전자공학의 기초 전공과목을 토대로, 미래 모빌리티 핵심기술인 레이다/라이다 등의 비접촉 센서 기술, 위성항법 및 영상복합항법 기술, 스마트모빌리티 구축을 위한 환경 인식 및 인공지능 자율운행 제어기술, 국방 선도기술인 전자파 간섭완화/보안강화 기술, 4차산업 확장을 위한 미래 위성체, 도심항공교통(UAM), 전기추진 수직이착륙기(eVTOL) 등의 응용 기술을 학습하기 위한 교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대학원에서는 차세대 합성개구레이다(SAR) 특화연구실, 전자파보안 특화연구실, 우주핵심기술개발 우주기초연구실, 우주쓰레기제거 핵심기술 개발(스페이스챌린지), 다중모드 스마트레이다용 지능형반도체 개발(기초 연구실)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5. AI융합ICT전공

ICT는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ology의 약자로, ICT하드웨어, ICT소프트웨어, AI융합응용시스템 분야로 구성된 전공이다.

ICT하드웨어 분야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통적인 ICT 시스템을 넘어 로봇, 자율주행 이동체 등 ICT시스템의 구성과 설계, 컴퓨터구조, 시스템반도체, 임베디드시스템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다룬다.

ICT소프트웨어 분야는 다양한 ICT 시스템 구동 및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알고리즘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다룬다.

AI융합응용시스템 분야는 통신,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AR/VR, 로봇/자동차/무인기 등 다양한 ICT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는 분야다.

산업계의 최신 기술과 연구 동향을 반영한 실무 교육과정, 심화 연구교육을 바탕으로
미래 AI시대를 선도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현 능력을 모두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전공이다.

3. 학과

3.1.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Department of Autonomous Vehicle Engineering
FM : 금의주행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2021년 <colbgcolor=#f5f5f5,#191919>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신설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소개 영상 1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소개 영상 2

자율주행 기술은 미래 모빌리티, 교통 산업 발전의 핵심 기술이다. 자율주행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인지, 판단, 제어의 프로세스를 위해 각각 AI/SW, 전기전자, 기계 등의 공학 이론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을 녹여 담을 임베디드시스템과 데이터 공유를 위한 통신공학까지,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융·복합해서 배우게 된다.


[1] 전자 및 항공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 [2] 전자 및 항공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컴퓨터공학전공 [3] 전자 및 항공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4] 전자 및 항공전자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5] 인공지능전공, 컴퓨터공학전공, 기계공학전공, 반도체시스템전공, 전자 및 항공전자전공, AI융합ICT전공 [6] 전자공학부, 전자정보공학부, 항공전자정보공학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