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현고등학교
학교법인 유신학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등학교 | |
유신고등학교 | 창현고등학교 | |
유치원 | ||
배학유치원 |
[clearfix]
1. 법인
학교법인 유신학원은 비영리 학교재단으로 현재 법인 내 교육 기관은 유신고등학교, 창현고등학교, 배학유치원이 있다.
1.1. 역사
설립자는 박창원[1]이다. 유신고속관광주식회사 사장 박창원은 1972년 학교법인 교하학원을 인수하여 재단명을 회사 이름에서 딴 유신학원으로 바꾸고,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1973년, 아주공과대학(現 아주대학교)과 유신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이어서 산상교회(1978년), 배학유치원(1979년), 창현고등학교(1983년), 재단법인 창현교육장학재단(1987년)을 설립하였다.前 2대 이사장이자 명예이사장으로 정무제2장관[2] 과 YWCA 연합회[3] 회장을 지낸 김갑현씨가, 제3대 이사장으로 주식회사 인포뱅크 대표이사인 박태형씨가 있다. 김갑현 前 이사장은 박창원 설립자의 아내이며, 박태형 前 이사장은 그들의 장남이다.
2017년 2월 올라온 130차 사학분쟁조정위원회 회의결과 안건에 학교법인 유신학원(유신고, 창현고) 임시이사 선임안이 올라왔다. 결국, 2017년 5월 11일, 경기도교육청에서 임시이사를 파견하였고, 당시 재임중이던 이사진은 해체되었다. 임시이사 파견사유는 3대 이사장이 학교운영을 파행으로 몰고가서 도교육청의 감사끝에 사립학교법 위반이 중대하다고 판단하고 기존 이사진은 교체되고 임시이사진으로 바뀌게 된것이다. #
2021년 하반기 부터 법인의 이사진 체제가 정상화되었으며, 현재는 권택수 이사장을 포함한 12명의 이사가 취임하여 정상화되었다.
1973년 개교 당시 아주대학교와 같은 재단이었으나, 1978년 아주대학교를 학교법인 대우학원[4]에 넘겨주었다.[5]
1.1.1. 연혁
- 1972년 7월 28일 학교법인 교하학원을 인수하여 재단명을 유신학원으로 변경, 박창원 이사장 취임
- 1973년 3월 12일 유신고등학교 개교
- 1973년 4월 12일 아주공업초급대학 개교, 법인 설립 기념행사 거행
- 1974년 3월 1일 아주공업초급대학, 아주공과대학으로 승격
- 1976년 10월 30일 산상교회 봉헌
- 1977년 3월 아주공과대학 분리 (학교법인 대우학원에 인계)
- 1979년 배학유치원 개원
- 1980년 수익사업체 주식회사 유신 설립
- 1984년 4월 14일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창단
- 1986년 3월 5일 창현고등학교 개교
- 1987년 재단법인 창현교육장학재단 설립
- 1987년 5월 1일 캠퍼스 조경공사 준공
- 1993년 10월 18일 제2대 김갑현 이사장 취임
- 1994년 9월 10일 유집 박창원 이사장 1주기 추모예배 거행 (설립자 동상 건립)
- 1995년 9월 11일 제1회 유집상(裕集賞) 시상식 거행
- 1999년 8월 27일 유신 25년사 화보집 발간
- 2006년 9월 11일 제1회 유신학원의 날 기념예배 거행
- 2011년 9월 유신학원 역사관 개관
- 2013년 4월 12일 설립 40주년 기념예배 거행
- 2013년 9월 11일 교문 및 광장 복원
- 2014년 5월 30일 제3대 박태형 이사장 취임 및 김갑현 명예이사장 추대
- 2017년 5월 11일 임시이사진 체제 전환, 김영후 이사장 취임
- 2019년 5월 27일 임시이사진 재파견, 문성식 이사장 취임
- 2021년 7월 29일 제4대 권택수 이사장 취임
- 2022년 3월 29일 김갑현 명예이사장 1주기 추모예배 거행
1.2. 옛 부지와 정문
아주대학교 전신인 아주공업초급대학의 부지를 선정한 주체는 프랑스였기 때문에 박창원 이사장이 부지를 선점했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당시 아주공업초급대학 설립에 프랑스 정부가 1억5천, 대한민국 정부가 1억을 지원했기 때문에 유신학원의 울타리에 아주공업초급대학이 포함되었을 당시의 재단은 사실 개인 소유가 될 수도 없었다. 또한 원래 아주공업초급대학은 프랑스의 고등교육 단기과정에 따라 2년제 국립을 염두에 두었지만 결국에는 사립재단(교하학원)을 끼고 대학 설립을 추진케 한 것이다.아래와 같은 모습의 정문은 현 아주대학교의 정문 부지에 위치했던 정문[6]이며 이 정문은 1993년에 헐렸다. 헐리기 전까지 유신고등학교 학생들이 맡아서 청소를 했었다. 정문이 헐린 다음 날 설립자인 박창원 초대 이사장이 수면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7]
1.3. 법인 정문
원래 유신학원은 정문이 없었다.[8]▼ 과거 사진
2013년부터 공사를 시작하더니
▼ 기공식
2014년 9월, 재단에서 몇억을 들여 타 학교와는 급을 달리하는 크고 아름다운 정문과 광장을 준공하였다.[9]
▼ 현재 사진
법인 및 학교 관계자들이 정문의 교명판을 제막하고 있다. 왼쪽의 안쪽부터 김갑현 명예이사장, 김성신 당시 유신고 교장, 이정미 배학유치원 원장이며 오른쪽의 안쪽부터 박태형 이사장, 한정원 휘경교회 원로목사, 김철환 당시 창현고 교장
2. 역대 이사장
- 초대 박창원 이사장(설립자)(1924~1993) : 육군사관학교를 졸업, 육군 준장으로 복무하였고, 5.16 군사정변과 관련이 있다. 1960년대 초반, 군정시절 경기도지사를 지냈으며, 60년대 후반부터는 사업을 시작, 유신고속관광주식회사[10]의 사장을 역임했다. 유신고속의 수익금을 바탕으로 1972년 학교법인 유신학원 설립하였고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93년 9월 11일, 돌연 타계[11]하기 직전까지 이사장 직을 수행하였다. (이사장 재임기간 : 1972~1993)
- 제2대 김갑현 이사장(1932~2021) -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였으며, 박창원씨와 결혼하였다. 8~90년대 여성계에서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전국 YWCA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노태우 정부시절 정무제2장관(現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다. 박이사장의 부인으로서 법인 설립당시 부터 학교경영에 이사(理事)로서 관여하였으며, 박이사장 타계 직후인 1993년 10월 18일, 학교법인 유신학원 제2대 이사장으로 선임되었다. 이사장 퇴임이후 별세 전까지 명예이사장으로 재임했다. (이사장 재임기간 : 1993~2014) (명예 이사장 재임기간 : 2014~2021)
- 제3대 박태형[12] 이사장(1957~) - 서울대 공대를 졸업하였으며 서울대에서 산업공학으로 석사학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스쿨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원래 외국계 은행에서 수석부지점장으로 근무하다가, 돌연 퇴사 후 1997년 주식회사 인포뱅크[13] 를 창업하여, 지금까지 대표이사 사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고령인 김갑현 이사장(당시 83세)을 뒤이어, 2014년 5월, 유신학원 제3대 이사장으로 선임되었다. (이사장 재임기간 : 2014~2017)
- 1기 임시 이사진 체제 김영후 이사장 - 임시이사진 체제의 이사장으로 現 안용중학교 교장이다. (이사장 재임기간 : 2017~2019)
- 2기 임시 이사진 체제 문성식 이사장 - 2기 임시이사진 체제의 이사장으로 창현고등학교 1회 졸업생이며 現 문성식법률사무소 변호사이다.(이사장 재임기간 : 2019~2021)
- 제4대 권택수 이사장 (1955~) -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였으며 사법시험(25회)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15회)를 수료했다. 대법원 재판연구관, 특허법원 수석부장판사를 거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직했다. 지적재산권 분야의 권위자이며 現 법무법인 태평양의 대표 변호사이다.
3. 아주대학교와의 관계
학교법인 유신학원은 1965년 체결된 ' 한국/ 프랑스 간 문화 및 기술에 관한 협정'의 일환으로 세워진 김의준 이사장의 교하학원을 인수하면서 역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교하학원은 대한민국 정부와 프랑스정부 합작 대학의 중간 완충재 역할을 했던 학교법인이었다.대학 설립당시 프랑스정부는 아주대학의 국립화를 강하게 주장했었다. 하지만 대학의 운영을 국가에서 하게 될 경우, 교육체계나 방침등에서 갈등이 불거지면 이 사항이 프랑스와 대한민국정부의 갈등으로까지 비화된다는 의견이 만만치 않아 대한민국정부에서 사립대 설립 의향을 프랑스정부 대표단에 전달했다. 그때 극대노한 프랑스정부를 설득하는데 많은 애를 먹었다고 한다. 이후 최초의 학교법인을 세워 초급대학 설립에 박차를 가하는데 아주대학교의 초창기 학교법인은 교하학원이었다. 그러나 교하학원의 재정이 힘들어지고 김의준 이사장도 병이나면서 문교부가 대학 인수자를 물색하던 중 박창원 이사장을 만나게 되었다.
박창원 이사장은 재정난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당시 2년제였던 초급대학설립에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문교부가 4년제 대학으로의 전환을 차후 추진하겠다고 설득해 대학을 인수케 했다. 박창원 이사장이 새롭게 모집한 이사진 회의에서 학교법인 교하학원의 이름을 유신관광고속버스의 유신을 따 유신학원으로 바꾸고, 서교공과대학이었던 대학 이름은 아주대학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대학의 규모가 커졌지만 이를 따라잡지 못했던 유신관광고속버스의 회사사정은 좋아질 기미를 보이질 않았다. 회사사정이 열악해지며 학교재정에 타격을 입자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프랑스정부의 눈치를 살필수밖엔 없었다. [14] 그래서 부랴부랴 새로운 인수자를 찾게 되었는데 그게 대우실업 김우중 회장이었다. 김우중 회장은 당시 대우실업 창립 10주년을 맞이해 사업을 통해 기업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 인력을 키우기 위해 직접 사재를 출연하여 학교를 인수했다.
4. 소속 학교 특징 및 건물
4.1. 언덕 위의 학교(고등학교 두 군데의 경우)
산을 깎아서 만든지라, 학교가 크고 아름다운 언덕 위에 있다. 그러나, 창현고에 비하면 약과 수준. 유신고는 정문에서 3~4분 정도 걸어야 하고, 창현고는 7~8분 정도 걸어야 한다. [15] 보통 학교들은 정문에서 학교건물까지 멀어야 1분, 빠르면 30초이지만, 유신고와 창현고는 급을 달리 한다.경사가 가파른데다 브레이크가 될 만한 곳도 없다. 특히 겨울철에 바닥이 얼어버리면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려버리니 요주의가 필요하다.
4.2. 법인 사무실
1층에는 이사장실과 법인 사무실이 있다. 2층에는 유신학원 역사관이 있다.
행정실은 원래 학교 건물에 있는게 보통인데, 최근에 (2015년에) 유신고, 창현고 행정실을 통합해서 이 건물 지하 1층으로 옮겼으며 2017년 6월부로 통합행정실은 폐지되었고, 각 학교로 다시 이전하였다.
2층에 있는 역사관에는 40여년간의 유신학원의 역사와 박창원 이사장, 김갑현 이사장의 업적에 대해 전시해 놓았다. 두 명의 이사장 모두, 행정가로 일한 경력이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훈장이나 업적 같은 것이 많다고 한다. 웬만하면 학교 다니면서 들어갈 일은 전혀 없다.
12월 초 저 건물 입구 옆에 기업은행 ATM기가 설치되었다! 매점에 가고 싶은데 현금이 없다면 쉬는 시간이나 점심 시간에 카드를 가지고 달려가도록 하자.
임시이사진 체제에서 이 건물 사용에 대해 의문[16]을 제시했다. 결국, 지하로 옮겨왔던 통합행정실이 폐지되었고, 2층의 법인 역사관이 공중분해될 듯 하다.
4.3. 배학유치원
1979년 세워진 유신학원의 부속 유치원. 김갑현 명예이사장의 어머니인 이배학씨의 이름을 따, ‘배학’유치원이라고 이름을 지었다.수원지역에서 학부모들이 상당히 선호하는 유치원 중의 한 곳이다. 교사진과 교육프로그램이 우수하며, 야외 학습장이 넓게 마련되어 있어 학습환경이 훌륭한 편이다.
4.4. 산상교회
유신학원에서 1978년 설립한 개신교 교회.전설에 의하면 학교를 설립하기 전, 이 동산에서 박창원, 김갑현, 이배학씨가 기도를 하였고, 그곳을 교회로 만들었다고 한다.
건축미가 상당하다. 당시 홍익대학교 교수인 나상기씨가 설계하였으며, 제25회 국전에서 추천작가상을 받았다.
평소에는 유신고·창현고·배학유치원의 강당으로 이용되며, 주일에는 다른 교회들처럼 예배가 드려진다.
담임목사로 이종필 목사가 재직[2022년부터 시무] 2012부터 시무하던 조규방 목사는 원로목사로 추대되었으며, 현재는 장로교나 감리교가 아닌, 한국독립교회 및 선교단체연합회(한독선연)에 가입되어있다.[17] 홈페이지에서는 교회 정보 및 설교영상이 제공 중이다.
5. 주변 시설
-
버스 정류장
정문 앞에 하나가 있고 길 건너에 하나가 더 있으며 수원 삼성 경기가 끝나면 경기장 쪽 정류장이 굉장히 혼잡해지기 때문에 귀가할 땐 근처 효성초 정류장이나 이곳을 이용하는걸 추천한다. 버스도 상당히 많이 다니는 편이라 편리하다.(단, 5~10분 정도는 걸어야 한다.) 대신 학생들을 제외하면 거의 쓰지 않는 데다가 굉장히 외진 곳에 소재한 탓에 사람은 거의 가지 않는다.
6. 사건 사고
- 2015년 11월 5일 2교시에 창현고등학교 복지관 쪽 변압기가 터져 버리는 사고가 일어났다. 원인은 학교 청설모였다. 변압기의 고압선 사이에 낑겨 버리는 바람에 즉사하고 말았다. 배가 폭발해 죽고 말았다고 하며 변압기가 유신고등학교 쪽으로도 연결되어 있어 창현고도 함께 정전 크리를 먹었다. 덕분에 교직원과 학생들 모두 야자를 안 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설렜으나 전기가 7교시 초에 복구되어 실패했다.
- 2017년 2월 올라온 130차 사학분쟁조정위원회 회의 결과 안건에 학교법인 유신학원(유신고, 창현고) 임시이사 선임안이 올라왔다. #
[1]
대령 계급으로
5.16 군사정변에 참여했다. 前 경기도지사,
육군준장으로 예편했다.
[2]
現
여성가족부 장관
[3]
Young Women's Christian Associ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기독여자청년회'이다. 대표적인 여성단체이며 기독교단체이다.
[4]
당시
대우그룹의
김우중 회장이 세운 학교법인, 현재는 추호석 전 대우중공업 종합기계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법인이사장으로 있다.
[5]
인수를 당한 이유로는 유신학원의 수익사업체인 유신고속의 경영난, 박창원 이사장의 정치적인 문제 등이 있다고 한다. 공식적으로는 유신고속의 경영난이라고 언급된다.
[6]
사진 뒤에 산상교회가 가깝게 보인다.
[7]
산상교회에서 장례식을 하였으며
노태우도 왔었다고 한다.
[8]
역사 항목에 각주로 언급되어 있다시피 원래는 42번 국도에서 아주대로 들어오는 도로 입구(아주대3거리)에 커다랗게 당시 유신학원 소속이였던 아주대학교, 유신고등학교, 창현고등학교가 같이 적힌 정문이 자리하고 있었다가 80년대 말 철거되었다. 원래는 거기까지가 유신학원 부지였던 것. 만약 유신학원에서 아주공업초급대학을 계속 운영했더라면 현재 상가로 변해버린 진입로 좌우로 캠퍼스가 조성될 예정이였다고 한다.
아주대학교 항목의 각주에 관련내용이 약간 있다.
[9]
실제로 보면, 그렇게 멋있지는 않다. 사실 잘 안어울린다. 이곳에 다니는 사람들이야 익숙해져서 그렇다고 치지만, 이곳을 왔다갔다 하는 사람들은 이 탑을 굉장히 부담스러워 한다.
[10]
지금 고속관광회사라고 하면 별볼일이 없지만, 6~70년대에는 고속관광산업이 잘나가는 사업이었다. 유신고속관광은 1977년에
코오롱그룹이 인수하여
코오롱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05년에
금호고속에 흡수합병되어 사라졌다.
[11]
1993년 9월 11일 새벽에 잠든 상태로 자택에서 사망했다.
[12]
박창원씨의 장남
[13]
인포뱅크가 뭐하는 회사인고 하니, 문자메시지 투표시스템을 처음으로 개발한 회사라고 한다. 현재도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고, 2015년 12월 기준으로 시가총액 550~600억 정도 하는 중견기업이다.
[14]
왜 국립으로 하자고 할때 안했냐고 프랑스쪽에서 불만이 많았다고 한다.
[15]
안 보이는 건 맞지만 막상 가보면 그다지 먼 편은 아니다. 준족의 학생들은 대강 2분 내로 주파할 정도다.
[16]
아마 이 건물이 교육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사실상 법인의 본부(headquarter)처럼 사용된 점을 지적한 듯 하다. B1F에 통합행정실, 1F에 법인 사무실, (주)유신 사무실, 이사장실, 이사회실, B2F에 유신학원 역사관
[17]
본래는 장로교였다가 모종의 이유로 교회 자체를 장로교에 빼앗길 위기에 처하여 장로교를 탈퇴하여 현재는 교단(敎團)이 없는 교회로 전환했다고 한다.
[18]
근처 육교로 올라가면 유신고까지 살짝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