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흔한 형태. 사진의 Y축은 물가 상승률, X축은 실업률이다.
1. 정의
'Phillips curve'뉴질랜드 태생의 경제학자 윌리엄 필립스[1]가 1861년에서 1957년 사이 영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명목 임금 상승률과 실업률에 상충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곡선이다. 명목 임금 상승은 물가 상승과 비례하는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명목 임금 상승률을 인플레이션율로 놓았을 때 물가 안정을 위해선 높은 실업률을, 실업률 감소를 위해선 높은 인플레이션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발표 초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간의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던 상충관계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해 설명력이 약해졌다. 총공급의 감소로 인해 생산량의 감소와 물가 상승이라는 인플레이션이 함께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은 곧 실업률과 물가가 동시에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단기 필립스곡선에서 보여주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기존 개념을 무너트렸다.
2. AD-AS 모형과의 관계
장기 총공급 곡선인 LRAS는 자연 산출량인 Yn에서 수직이다. 단 총공급 곡선 AS는 단기에 시장의 불완전성 및 가격 경직성에 의해 자연 산출량에서 이탈, 우상향하는 형태의 단기 총공급 곡선 SRAS 형태를 띤다. 또한 단기 총공급(Y)이 장기 총공급(Yn)에서 이탈하는 비율은 ' 오쿤의 법칙'에 의해 자연 실업률(Un)에서의 단기 실업률(U) 이탈 비율로 환산된다. 단기 총공급 함수에 포함된 물가 수준(P)과 물가 기대(Pe)에 자연로그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 이를 인플레이션율과 인플레이션 기대율로 환산한 뒤 오쿤의 법칙에 대입하면 현재의 필립스 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3. 역사
필립스 곡선은 1958년에 발표되었고 당시에 이는 완전고용 재정 정책을 중시하는 케인즈주의자들에게 큰 힘을 주었다. 그러나 1970년대 오일 쇼크가 터지자 필립스 곡선의 예측과는 달리 물가는 오르고 실업률도 증가하는 기존의 필립스 곡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였다.이 경우 재정 정책을 위시한 총수요관리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신자유주의자들은 미국의 경제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간주, 그에 맞는 정책을 펼쳐갈 수 있었다.
이때 신자유주의자들의 근거 또한 필립스 곡선이었는데, 적응적 기대 혹은 합리적 기대에 의하여 이미 미국의 경제는 완전 고용 상태에 접어들었다는 NAIRU(자연 실업률)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케인즈학파 계열에서는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의 필립스 곡선은 경기 변동에 따른 외부적 충격에 의해 이동하였을 뿐, 인플레이션율과 실업율 사이에는 단기적으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무엇보다 1980년대 볼커 연준의장이 추진한 급격한 물가상승 억제정책이 케인스 학파에게 힘을 주었다. 자유주의자들의 논리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을 줄임으로서 일정 실업률을 유지한 채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었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합리적 기대 학파는 적응적 기대가 가미된 필립스곡선에서 더 나아가 모든 경제정책은 합리적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예측된 정책은 정책효과가 없음(정책무력성)을 주장하였다. 즉 단기적으로도 예상된 정책에 대해서는 필립스곡선은 우하향하지 않고 수직의 형태를 띈다는 것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 새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1970~1990년대의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