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1:18:50

프란체스코 4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0622, #c9082a 20%, #c9082a 80%, #a1062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에스테 왕조
보르소 데스테 에르콜레 1세 알폰소 1세
에르콜레 2세 알폰소 2세 체사레 데스테
알폰소 3세 프란체스코 1세 알폰소 4세
프란체스코 2세 리날도 데스테 프란체스코 3세
<rowcolor=#fff> 에스테 왕조 오스트리아에스테 왕조
에르콜레 3세 프란체스코 4세 프란체스코 5세 }}}}}}}}}

<colbgcolor=#c9082a><colcolor=#fff>
모데나 레조 공국 합스부르크에스테 왕조 공작
프란체스코 4세
Francesco IV, Duca di Modena
파일:프란체스코 4세.jpg
이름 프란체스코 주세페 카를로 암브로조 스타니슬라오
(Francesco Giuseppe Carlo Ambrogio Stanislao)
출생 1779년 10월 6일
밀라노 공국 밀라노
사망 1846년 1월 21일 (향년 66세)
모데나 레조 공국 모데나
재위기간 모데나 레조 공작
1814년 7월 14일 ~ 1846년 1월 21일
(31년 6개월 1주, 11,51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9082a><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
어머니 마사 여공작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
배우자 사보이아의 마리아 베아트리체 (1812년 결혼 / 1840년 사망)
자녀 마리아 테레사, 프란체스코 5세, 페르디난도 카를로 비토리오, 마리아 베아트리체
형제자매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아 레오폴디네, 페르디난트 카를 요제프, 막시밀리안 요제프, 카를 암브로지우스, 마리아 루도비카
가문 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
종교 로마 가톨릭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조상3.2. 배우자3.3. 자녀
4. 여담

[clearfix]

1. 개요

모데나 레조 공국의 주권 공작.[1]

2. 생애

합스부르크 제국 산하 밀라노 공국 밀라노에서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카를(Ferdinand Karl von Österreich-Este 1754~1806)과 모데나의 마리아 베아트리체(Maria Beatrice d'Este 1750~1829)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형이 어릴때 죽어 그가 실질적인 장남이었다. 아버지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 합스부르크 가문의 수장 마리아 테레지아의 4남이었고, 어머니 마리아 베아트리체는 모데나 공국을 통치한 에스테 가문의 상속녀였다. 아버지 페르디난트 카를이 연상의 마리아 베아트리체와 결혼한 것도 모데나 공국을 노렸던 할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정략 결혼 덕분이었다.

원래 에스테 가문은 살리카법을 적용했지만 외조부 에르콜레 3세가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에르콜레 3세가 죽으면 아버지 페르디난트 카를이 모데나 레조 공국을 물려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이 터지고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나면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깽판을 치면서 모데나 레조 공국은 나폴레옹의 괴뢰국 이탈리아로 합병되었고 페르디난트 카를도 나폴레옹 전쟁 와중에 사망하면서 모데나 레조 공국을 물려받을 가능성이 요원했으나 나폴레옹의 몰락 빈 회의를 통해서 신생 모데나 레조 공국을 통치하게 되었다.

즉위 후 본가인 오스트리아 제국과 연합하여 극한의 반동주의 정책을 실시했으며 폭압적이고 전제적인 정치를 펼쳤다. 특히 카르보나리 이탈리아 통일과 관련된 운동은 무조건 탄압했으며 자유주의를 외친 대학생의 숫자를 대폭 줄여버리고 산업화도 억압하여 농업 위주의 경제 구조를 만들었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3.2. 배우자

1812년 6월 20일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딸인 사보이아의 마리아 베아트리체와 결혼해서 2남 2녀를 두었다.

3.3.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샹보르 백작부인 마리 테레즈
(Marie Thérèse, Countess of Chambord)
1817년 7월 14일 1886년 3월 25일 앙리 5세
1남 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5세
(Francis V, Duke of Modena)
1819년 6월 1일 1875년 11월 20일 바이에른의 아델군데
슬하 1녀
2남 페르디난도 카를로 비토리오 대공
(Archduke Ferdinand Karl Viktor)
1821년 7월 20일 1849년 12월 15일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프란치스카 여대공
슬하 1녀[2]
2녀 몬티손 백작부인 마리아 베아트리스
(Maria Beatrix, Countess of Montizón)
1824년 2월 13일 1906년 3월 18일 몬티손 백작 후안 왕자
슬하 2남

4. 여담


[1] 그가 재위할 때의 모데나 레조 공국은 속령이 아닌 주권국 상태였다. 북부 이탈리아의 명목상 종주국이었던 신성 로마 제국 이탈리아 왕국이 멸망한 뒤 복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국들이 독립했다. [2] 바이에른의 왕비 마리아 테레지아 [3] 아버지 페르디난트 카를이 마리아 테레지아와 프란츠 1세의 4남이기 때문. [4] 모두 셋째 큰아버지 레오폴트 2세의 아들들. [5] 다섯째 고모 파르마 공작부인 마리아 아말리아의 장남. [6] 프란체스코, 마리아 테레사, 마리아 아말리아 모두 여덟째 고모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왕비 마리아 카롤리나의 자녀들. [7] 마리 테레즈와 루이 17세는 막내 고모 프랑스의 왕비 마리아 안토니아의 자녀들. [8] 첫째 누나 마리아 테레사와 결혼했다. 프란체스코 4세의 아내 마리아 베아트리체의 아버지이니 장인이기도 하다. [9] 둘째 누나 마리아 레오폴디네와 결혼했다. [10] 여동생 마리아 루도비카와 결혼했는데 앞서 서술한 대로 친사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