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흡충(폐디스토마) 肺吸蟲 | Lung fluke |
|
|
|
학명 |
Paragonimus Braun, 1899 |
분류 | |
<colbgcolor=#fc6,#382810>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편형동물문 Platyhelminthes |
강 | 흡충강 Trematoda |
목 | 사고흡충목 Plagiorchiida |
아목 | ✲칼꼴흡충아목 Xiphidiata |
상과 | 주포흡충상과 Troglotrematidea |
과 | 폐흡충과 Paragonimidae |
속 | 폐흡충속 Paragonimus |
[clearfix]
1. 개요
폐흡충( 肺 吸 蟲, lung fluke)은 Paragonimus속(폐흡충속)에 속하는 주포흡충류( 住 胞吸蟲)로, 물 속에서 생활하다가 게나 가재와 같은 중간숙주를 통해 인간 등에 감염되는 기생충이다.폐흡충속에는 여러 종이 있는데 본 문서에서 주로 다루는 Paragonimus westermani는 사람에 해를 끼치는 반면 이락촌폐흡충(Paragonimus iloktsuenensis)은 사람 대신 유해조수인 쥐에 기생하는 익충이다.[1]
2. 형태
|
성충기 폐흡충 해부도 ●: 난소 | ●: 자궁 | ●: Mehlis샘[2] | ●: 고환 |
전체적으로는 타원형 구조를 하고 있으며, 크기는 보통 1~2 cm 정도이다. 자세한 구조는 위 사진을 참고.
|
폐흡충 알 |
알의 길이는 대략 0.1mm 전후이다. 흡충류의 충란에 존재하는 뚜껑 모양 구조물인 난개(operculum)가 폐흡충 충란에도 존재하며, 난개의 반대편은 조금 두꺼운데 이 부분을 난각후단비후(abopercular thickening)라고 한다.
3. 종류
- 인체 기생성 폐흡충
- 웨스텔만폐흡충 P. westermani
- 이형폐흡충 P. heterotremus
- 스크랴빈폐흡충 P. skryabini
- 미야자키폐흡충 P. miyazakii
- 아프리카폐흡충 P. africanus
- 대칭자궁폐흡충 P. uterobilateralis
- 고양이폐흡충 P. kellicotti
- 멕시코폐흡충 P. mexicanus
4. 생활사
|
폐흡충의 생활사 |
물 속에서 알로 존재하던 폐흡충은 다슬기 등을 1차 중간숙주로 삼아 그 안에서 스포로시스트(sporocyst), 레디아(redia), 세르카리아(cercaria)의 발생 단계를 거친다. 이후 2차 중간숙주인 참게나 가재와 같은 갑각류로 이동하여 메타세르카리아(metacercaria) 단계를 거치며, 이때 주혈흡충(schistosoma)을 제외한 다른 흡충류들처럼 두꺼운 주머니로 자신을 보호하며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감염원으로 변한다. 즉, 제2 중간숙주인 게나 가재를 함부로 날로 섭취하면 그 안에 있던 폐흡충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인간이 폐흡충 알에 감염된 중간숙주를 섭취하면, 주머니에 싸인 채 소화 기관들을 통과한 메타세르카리아 단계의 폐흡충 알은 십이지장 부근에서 소화 기관의 벽을 뚫고 복강으로 진입한다. 복강에서 폐흡충은 대개 폐로 이동하여 성충이 되며 다양한 문제들을 일으킨다.
5. 폐흡충증
5.1. 역학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나 동아시아 3국, 대만 등에서 유행한다.5.2. 전파
위에서 언급된 주요 제2 중간숙주인 게나 가재를 날로, 혹은 설익혀 먹다가 감염되는 사례가 굉장히 많다. 특히 중요한 감염원이 민물 게장이다. 그 외에는 멧돼지 고기를 보양식이라고 먹다가 설익혀 먹어 감염되는 사례도 있다.이외에도 조리도구로 전염되는 경우도 있으나 흔한편은 아니다.
5.3. 병리 및 증상
폐흡충증(paragonimiasis)의 원인이 되며, 증상은 다음과 같다.- 폐에 감염된 경우: 대체로 폐에 일어난 결핵(tuberculosis)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실제로 진단 과정에서 둘을 헷갈리기도 쉽다. 기침, 가래, 흉통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기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폐 이외의 장소에 감염된 경우: 이런 경우엔 '이소(ectopic) 폐흡충증'이라고 부르며, 십이지장에서 폐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있는 장내 벽, 복강, 횡격막 등에 감염될 수 있다. 드물게는 뇌나 척수와 같은 중추신경계, 또는 난소에 침범하는 경우도 있다.
5.4. 진단
X-ray나 CT, MRI 같은 영상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결핵 등의 다른 폐 관련 질환과 혼동하기 쉽다. ELISA와 같은 효소검사법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확성이 가장 높으며, 가래나 폐 조직 검사 등에서 알과 성충을 확인할 수도 있다.5.5. 치료 및 예방
프라지콴텔(praziquantel)을 이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25mg/kg씩 1일 3회, 총 2~3일 복용한다.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민물 갑각류, 특히나 참게를 날로 섭취하는 것은 폐흡충을 고려해서라도 금물해야하고, 갑각류를 손질한 조리도구는 깨끗하게 소독하여 쓰는것이 폐흡충을 예방하는 중요한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