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6:06:49

패륜(연고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연고지 이전
,
,
,
,
,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패륜에서 유래했다. 말 그대로 구단에 애정을 준 기존의 연고지의 팬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떠나버린 구단을 가리켜 마치 부모를 버린 자식과 같다고 하여 패륜에 빗대어 부르는 것이다.

2. 역사

현재는 축구계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지만 정작 최초로 사용된 쪽은 야구계였다. 2000년 현대그룹 현대 유니콘스의 연고지를 18년간 유지했던 인천광역시에서 서울특별시 로 옮기겠다고 추진하자 "가난과 역경 속에도 애지중지 키워준[1] 인천의 부모(팬)를 버리고 자기 혼자(구단)만 잘 살겠다며 서울로 가버린 패륜아"라고 비난하면서 '패륜 현대'라는 멸칭을[2] 썼다. 이 때문인지 인천 연고의 SSG 랜더스 팬덤은 현재도 여전히 현대를 패륜이라며 비난하는 데에 거부감이 덜한 편이다.[3]

이후 2004년 K리그 안양 LG 치타스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로 연고지를 복귀하는 것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축구 팬덤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자세한 것은 북패, 중패, 남패 문서를 참고.

농구계에서도 가끔 쓰이고 있다. 2011년 대구 오리온스가 말 그대로 고양시로 야반도주를 하면서 당시 대구 농구 팬들이 패륜 오리온스라고 부르기도 했고[4] 2021년 부산 kt 소닉붐 역시 말도 안되는 명분으로 수원시로 연고 이전을 하면서 부산 농구 팬들은 패륜 kt라고 부르고 있다.[5] 다만 축구만큼 연고지가 확실하게 정해진 것이 오래된 것도 아니고 연고지 이전에 대한 여론도 축구만큼은 나쁘지 않기 때문에 패륜이라는 용어가 잘 쓰이지는 않는다.

다만 연고지 이전을 실행했거나 시도한 모든 구단에게 붙이는 용어는 아니다. 연고지 이전이라는 행위가 구단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외부 상황 때문에 타의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 당장 저기 패륜 3인방부터가 서울에 멀쩡히 있었는데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때문에 서울에서 쫓겨난 경험이 있었다. 따라서 이 용어는 이전 연고지에서 어느 정도 흥행을 했는데도 구단이 스스로 하루아침에 그것을 깡그리 포기하고 새로운 곳에서 시작하는 경우에만 쓰인다. 쉽게 말해 '명분 없는 연고지 이전'을 비판하기 위한 표현이다.

실례로 실업 리그나 세미프로를 포함한 아마추어 리그의 경우 프로 구단이 아니기 때문에 잦은 연고 이전에도 리그와 구단의 특성상 패륜으로 지칭하지는 않는다.[6] 연고 이전의 끝판왕격인 고양 자이크로 FC의 경우[7]도 일단 실업 리그인 내셔널리그에서 연고 이전한 경우고 포교 목적이 더 크기 때문에 연고 이전보다는 종교적인 이유로 욕을 먹었다. 또한 프로 리그에 참가한 군경 구단( 김천 상무, 경찰 축구단)의 경우 연고 이전의 경험이 있는데도 연고 지역의 축구단 창단에 일조한다던가 군경 구단이라는 특수 목적 구단이라는 이유로 패륜으로 불리지 않는다. 연고 이전이라는 정의가 내려지려면 일단 기존 연고지에 팬이 많고 연고 정착이 잘 이뤄진 게 우선인데 연고지에 구단이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인기가 없으니 관심도 없고 실업 리그의 특성상 실업 체육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프로 리그처럼 팬을 위한 목적이 아닌 말 그대로 선수가 뛸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만든 리그이기 때문에 실업 리그에서 연고는 허울일 뿐이고 연고 이전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어쨌든 북패, 중패, 남패를 상대하는 경기는 정벌(예시: 수원 삼성과 FC 안양의 북벌)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이 구단으로부터 승리할 경우 정의구현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3.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현대의 전신인 삼미-청보-태평양은 가난한 구단 살림과 저조한 성적으로 인해 만년 꼴찌로 꼽히던 약체이자 빈곤 구단이었다. 그럼에도 구단을 향한 인천 지역 팬의 충성도는 남달랐다. [2] 다만 '패륜 현대'보다 더 자주 쓰였던 멸칭은 빈대였다. 이 명칭은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우선 기존 서울 구단에 서울 입성 관련 대금 54억 원을 내지 못해 새 인천 구단 SK 와이번스의 광역 연고권이던 수원에 무단으로 눌러앉았는데 '남의 땅에 빈대처럼 기생해서 산다'는 의미 때문에 기생충 빈대를 그대로 썼다. 또 다른 의미는 '가난한 현대'라는 표현인데 모기업 현대전자의 몰락 후 오늘 내일을 걱정해야 하는 구단 살림을 비하하는 뜻으로 가난할 빈(貧)에 현대의 '대(代)'를 덧붙여서 빈대라는 멸칭을 썼다. 공교롭게도 모기업 현대의 자금 사정이 풍족했던 1990년대 후반에는 삼성 라이온즈와 함께 구단명에 '돈'이 붙어 삼성에는 돈성, 현대에는 '돈대'라는 별명이 쓰였다. [3] 정확히는 과거 현대의 연고지 이전 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인천 지역 SSG 팬들 한정이다. 이들 중 다수는 현대의 후신인 키움 히어로즈에 대해서도 여전히 반감이 크다. [4] 이후 10년이 지나서 전자랜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한국가스공사에게 매각하면서 대구에 다시 농구단이 생겼다. [5] 부산은 2년만에 새 팀을 얻었다. [6] 사례를 보면 舊 K3리그의 광주 광산 FC가 강원도 평창군으로 사실상의 연고 이전을 하여 평창 FC가 되거나 천안 FC를 인수해서 청주로 이전한 청주 시티 FC 등의 사례도 있다. 본 구단은 청주 FC라는 기존 구단이 있는데도 이전했다. 그런데 2019년에 청주 시티 FC와 청주 FC가 통합했다. 남자 축구에 국한하지 않을 경우, 단일 리그에서 이 분야의 최강은 스포츠토토 여자 축구단이다. 내셔널리그의 경우 공기업을 모기업으로 둔 구단은 모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지역을 연고지로 삼고 본사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같이 이전한다. 대전 코레일이나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이 이에 해당한다. 지자체 구단의 경우 말 그대로 시청 소속 운동부이기 때문에 연고 이전이 불가능하고 시군청에서 운영 의지가 없으면 해체하거나 선수단 자체를 타 운영 주체에 매각한다. [7] 익산 → 김포 → 안산 → 고양 [8] 하지만 시민 구단으로 전환했다고 해도 일화 천마 시절의 역사를 계승하기 때문에 자유롭지는 않다. [9] 당시 서울시장 이명박이 이왕 오는 거면 현대산업개발(부산 아이파크의 모기업)보다는 LG가 낫지 않느냐라고 해서 안양 LG의 서울 입성이 가능했다. [10] 부산 아이파크가 가지고 있는 우승 기록은 FA컵을 제외하고는 전부 대우 로얄즈 시절의 기록으로 현대산업개발 인수 이후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11] 경남권인 울산에서 충남 서산까지의 거리는 약 290km로 서울~광주의 260kㅇm 보다도 멀다. [12] 팬이 울산 현대 홈페이지에 "차라리 홈경기를 두바이에서 열면 어떠느냐?"하고 비꼬는 질문을 올리자 구단의 답변은 "참고하겠습니다."(...) 불난 집에 기름을 부은 꼴이다. [13] 노원구 시절에 다른 의미로 연고지 논란이 있었다. 다른 실업 구단의 연고지가 시단위인데 반해 아무리 실업 리그라지만 일개 '구'를 연고지로 한다는 것. 허나 인구면에서 노원구가 54만 명인데 반해 의정부시 44만 명, 충주시 21만 명으로 더 많고 서울특별시의 자치구라 일반시와는 다르게 구청장을 선거로 선출하며 자치구청장의 급수도 시의 규모에 따라 일반시장과 동일하거나 더 높기 때문에 단순히 일개 구라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