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8:32:09

틀:황실/왕실/설명 문서


이 문서는 설명 문서입니다.

설명 문서는 틀 혹은 그에 준하는 삽입용 문서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기 위한 문서이며, 중복 문서가 아닙니다.
include 문법을 사용하여 해당 틀 문서에 삽입되므로 설명 문서에 링크를 걸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1. 틀 구조 설명2. 중국3. 고려4. 조선5. 일본6. 영국7.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

1. 틀 구조 설명

2. 중국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황제 천자, 성황, 대황제, 마마, 상제
군주의 배우자 황후 중전, 국모, 황태후(황제의 모후), 황태황후(황태후의 퇴위 후 작위)
군주의 후궁 후궁 황귀비, 귀비, 비, 빈, 귀인, 소의, 숙의, 소용, 숙용, 소원, 숙원
군주의 후계자 황태자 태손(황태자의 후계자), 황태제(형제가 후계자가 되는 경우)
군주의 딸 공주, 군주, 현주 공주(정실 소생), 군주(후궁 소생), 현주(신분이 낮은 후궁 소생)
군주의 친족 황태제, 황태손 황자, 친왕, 군왕, 국구(황후의 아버지), 국서(황후의 오라비)
궁인 상궁 궁녀, 내명부, 환관(내시)

3. 고려

봉작 등급 칭호 수여 대상 특징 및 역할
1등작 공(公) 왕실과 밀접한 귀족 또는 고위 공신 가장 높은 등급의 봉작으로, 왕실과의 관계를 상징하며 국정을 자문하거나 감독함.
2등작 후(侯) 주요 공신이나 지역 방어 책임자 군사적·행정적 권한을 맡거나 지방의 방어를 책임졌으며, 공보다 한 단계 낮은 위계.
구분 중국 고려
기원 및 기반 주나라의 봉건제를 바탕으로 함. 초기에는 봉지와 실질 권한을 포함 중국 봉건제를 모델로 삼았으나, 봉지는 주지 않음
봉작 등급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로 구분 공(公), 후(侯) 중심
백(伯) 자(子), 남(男)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봉작의 실질적 권한 초기에는 봉지를 수여하며 통치권을 가짐 봉지는 주어지지 않고 명예적 작위로 부여됨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왕, 국왕 전하, 폐하, 천자
군주의 배우자 왕후, 왕비 중궁, 마마, 대비, 태후
군주의 후궁 후궁 빈(妃), 숙비, 귀비
군주의 후계자 태자, 세자 원자(후계자), 세손(세자의 후계자)
군주의 딸 공주, 왕녀 옹주(후궁 소생), 궁주
군주의 친족 공, 군 친왕, 대군, 장군(큰 공을 세운 군주 계승자), 원군
궁인 상궁, 궁녀 궁인, 환관

4. 조선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임금, 전하, 상감, 성상, 폐하
군주의 배우자 왕비 중전, 대비, 왕대비, 대왕대비
군주의 후궁 후궁 빈(귀인, 소의, 숙의), 궁주, 소용, 숙용, 의빈
군주의 후계자 세자 원손(후계자의 후계자), 대군(정실 소생), 군(후궁 소생)
군주의 딸 공주, 옹주 왕녀(정실 소생), 옹주(후궁 소생), 공비
군주의 친족 대원군 군부인, 부마(왕녀의 남편), 국구(왕비의 아버지), 의빈
궁인 상궁, 궁녀 궁녀, 상의

5. 일본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천황 덴노(天皇), 미카도(帝)
군주의 배우자 황후 고고(皇后), 중궁(中宮)
군주의 후궁 후궁 비(妃), 후히(夫妃), 노부코
군주의 후계자 황태자 태자(太子), 미코(皇子), 신왕
군주의 딸 내친왕 황녀, 여왕
군주의 친족 친왕 방계 황족, 국왕(고대 일본에서 중국 영향)
궁인 상궁 궁녀, 궁중 여관

6. 영국

계급 명칭 의미와 특징
Duke 공작 귀족 계급 중 최상위, 국왕에 의해 수여되는 최고 작위.
Marquess 후작 두 번째로 높은 귀족 작위
Earl 백작 중세 영국에서 가장 흔한 귀족 작위.
Viscount 자작 작은 지역의 관리 및 사법권 담당.
Baron 남작 귀족 계급 중 최하위 , 왕에게 충성을 맹세한 봉건 영주에게 부여된 작위.
작위 이름 (Duke of) 설명 및 현재 상태
Cornwall 1337년 설립. 전통적으로 잉글랜드 왕세자가 보유. 현재 윌리엄 왕자가 보유.
York 1385년 설립. 전통적으로 왕실의 둘째 아들이 보유. 현재 비어 있음.
Gloucester 1385년 설립. 현재 리처드 왕자가 보유.
Lancaster 1351년 설립. 잉글랜드 왕실이 직접 보유하며, 랭커스터 공작령으로 관리.
Clarence 1412년 설립. 역사적 작위로 현재 비어 있음.
Norfolk 1483년 설립. 현재 하워드 가문이 보유 중.
Suffolk 1448년 설립. 현재는 역사적 작위로, 소멸 상태.
Somerset 1443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Bedford 1414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Albany 스코틀랜드의 작위. 스코틀랜드 왕실의 일원에게 주어졌으며, 현재 비어 있음.
Edinburgh 1726년 설립. 현재 찰스 3세의 동생인 에드워드 왕자가 보유.
Cambridge 1664년 설립. 현재 윌리엄 왕자가 보유.
Kent 1710년 설립. 현재 에드워드 왕자가 보유.
Sussex 1801년 설립. 현재 해리 왕자가 보유.
Richmond 1675년 설립. 현재 레녹스 가문이 보유.
Burgundy 역사적 작위로, 현재는 비어 있음.
Hamilton 스코틀랜드 귀족 작위. 현재 더글라스 해밀턴 가문이 보유.
Wellington 1814년 설립.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웰링턴 공작. 현재 웰슬리 가문이 보유.
Marlborough 1702년 설립. 블렌하임 전투의 영웅 존 처칠 공작이 초대 공작. 현재 처칠 가문이 보유.
Buckingham 1444년 설립. 현재 역사적 작위로 소멸.
Devonshire 1694년 설립. 현재 캐번디시 가문이 보유.
Northumberland 1551년 설립. 현재 퍼시 가문이 보유.
Portland 1716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Grafton 1675년 설립. 현재 피츠로이 가문이 보유.
Beaufort 1682년 설립. 현재 서머셋 가문이 보유.
Leeds 1694년 설립. 현재 역사적 작위로 소멸.
Rutland 1703년 설립. 현재 맨너스 가문이 보유.
Fife 스코틀랜드 작위. 현재 더글라스 가문이 보유.
Argyll 스코틀랜드 작위. 현재 캠벨 가문이 보유.
Abercorn 1606년 설립. 현재 해밀턴 가문이 보유.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King, Queen Sovereign, Majesty, His/Her Majesty
군주의 배우자 Queen Consort Duchess(공작부인), Princess Consort
군주의 후계자 Prince of Wales Duke of Cornwall, HRH Prince, Duke of Cambridge
군주의 딸 Princess HRH Princess, Duchess(결혼 후 작위), Lady
군주의 친족 Duke, Earl Baron, Viscount, Marquess
궁인 Courtier Chamberlain, Lady-in-Waiting

7.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

전 세계 군주별 별칭 및 용어 표를 모아놓은 문서이다.

[1] 신분, 지위, 또는 공로를 나타내기 위해 개인에게 부여되는 공식적인 칭호나 지위 [2] 예를 들어 청 태조 누르하치의 아버지 탁알타이는 황제가 아니었다. 따라서 탁알타이는 상황이나 태상황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만 누르하치가 후금(청나라의 전신)을 건국한 후 그를 추존하여 현조 헌황제(顯祖憲皇帝)라는 시호를 부여했다. 그 외에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의 아버지 주세진은 황제에 오른 적이 없다. 다만, 나중에 홍무제는 자신의 아버지 주세진을 황제로 추존하였다. [3] 정실 소생 [4] 황제의 딸 전체를 아우르는 포괄적 표현이지만 주로 후궁 소생이나 서열이 낮은 딸에게 사용됨 [5] 왕자들에게는 공(公) 작위를 부여하였고, 공신들에게는 공(公) 또는 후(侯) 작위를 부여하였다. 백(伯) 자(子), 남(男)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작위들은 중국의 봉건적 지방 분권 체계를 상징하며, 고려의 중앙집권적 체제와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6] 메이지 시대의 황실전범(1889년 제정)에서 여성 천황의 즉위는 황실의 정치적, 군사적 역할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되었다. 이는 일본 황실전범(1947년 개정)에서 여전히 남계 남성만이 천황이 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7] 고교쿠 천황의 두번째 재위 [8] 고켄 천황의 두번째 재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