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06 11:04:12

큰모음근


💪 근육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보디빌딩의 분류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colbgcolor=#eee,#333> 어깨 어깨세모근 · 돌림근띠 <colbgcolor=#eee,#333> 넓은등근 · 등세모근 · 척주세움근 · 뭇갈래근
가슴 큰가슴근 허리 앞톱니근 · 척주세움근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아래팔근 다리 큰볼기근 · 골반바닥근
배곧은근 · 배바깥빗근 · 배속빗근 · 배가로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얼굴 및 목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머리덮개근육 뒤통수이마근 · 관자마루근
앞귓바퀴근 · 위귓바퀴근 · 뒤귓바퀴근A · 고막긴장근 · 등자근
A : 세 귓바퀴근들은 귀를 들고 올리나 사람에서는 보통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음
얼굴 표정 눈둘레근 · 눈썹주름근
코근 · 눈살근 · 코중격내림근
입근육의 아래머리 입꼬리내림근 · 아래입술내림근 · 턱끝근
입근육의 위머리 입꼬리당김근 · 큰광대근 · 작은광대근 · 위입술올림근 · 위입술콧방울올림근 · 입꼬리올림근
입무리 입둘레근 · 볼근
씹기근육 관자근 · 깨물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눈의 근육 위눈꺼풀올림근 · 위곧은근 · 아래곧은근 · 안쪽곧은근 · 위빗근 · 아래빗근
입 안 턱끝혀근 · 목뿔혀근 · 붓혀근
입천장 입천장올림근 · 입천장긴장근 · 입천장인두근 · 목젖근 · 입천장혀근
후두 반지방패근 · 뒤반지모뿔근 · 가쪽반지모뿔근 · 가로모뿔근 · 빗모뿔근 · 방패목뿔근 · 성대근 · 방패덮개근
인두 아래인두수축근 · 중간인두수축근 · 붓인두근 · 귀인두관인두근
넓은목근 · 목빗근 (복장갈래 · 빗장갈래)
목뿔 위 두힘살근 · 붓목뿔근 · 턱목뿔근 · 턱끝목뿔근
목뿔 아래 복장목뿔근 · 복장방패근 · 방패목뿔근 · 어깨목뿔근
척주 긴목근 · 긴머리근 · 앞머리곧은근 · 가쪽머리곧은근
척주 앞목갈비근 · 중간목갈비근 · 뒤목갈비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팔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앞팔이음​근육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빗장밑근 · 앞톱니근
뒤팔이음​근육 바깥기원​어깨근육 얕은층 : 등세모근 · 넓은등근
깊은층 : 어깨올림근 · 마름근 ( 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자체기원​어깨근육 어깨세모근 · 큰원근 · 돌림근띠 근육 (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작은원근 · 어깨밑근)
위팔 앞칸 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 부리위팔근
뒤칸 위팔세갈래근 · 팔꿈치근A
A : 아래팔 뒤칸 근육으로 보기도 하며, 위팔세갈래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함
아래팔 앞칸 얕은층 : 원엎침근 · 노쪽손목굽힘근 · 긴손바닥근 · 자쪽손목굽힘근 ·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층 : 깊은손가락굽힘근 · 긴엄지굽힘근 · 네모엎침근
뒤칸 얕은층 : 위팔노근 · 긴노쪽손목폄근 · 짧은노쪽손목폄근 · 손가락폄근 · 새끼폄근 · 자쪽손목폄근
깊은층 : 손뒤침근 · 긴엄지벌림근 · 긴엄지폄근 · 짧은엄지폄근 · 집게폄근
엄지두덩근육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 엄지모음근
새끼두덩근육 새끼벌림근 · 짧은새끼굽힘근 · 새끼맞섬근
짧은 근육 벌레근 · 등쪽뼈사이근 · 바닥쪽뼈사이근 · 짧은손바닥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다리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20px"
볼기 큰볼기근 · 중간볼기근 · 작은볼기근
가쪽​돌림근 궁둥구멍근 · 속폐쇄근 · 위쌍동근 · 아래쌍동근 · 넙다리네모근 · 바깥폐쇄근A
A : 기능적으로는 볼기 부위의 가쪽돌림근들과 유사하지만 위치상으로는 넓적다리 근육에 가까움
넓적​다리 앞칸 엉덩허리근 ( 엉덩근 · 큰허리근) · 작은허리근 · 넙다리근막긴장근 · 넙다리빗근 · 넙다리네갈래근 ( 넙다리곧은근 · 가쪽넓은근 · 중간넓은근 · 안쪽넓은근) · 무릎관절근
안쪽칸 긴모음근 · 짧은모음근 · 큰모음근 · 두덩정강근 · 두덩근
뒤칸 반힘줄근 · 반막근 · 넙다리두갈래근 ( 햄스트링)
관련 구조물 넙다리삼각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 모음근굴 · 거위발
종아리 앞칸 앞정강근 · 긴발가락폄근 · 긴엄지폄근 · 셋째종아리근
가쪽칸 긴종아리근 · 짧은종아리근
뒤칸 얕은층 : 장딴지세갈래근 ( 장딴지근 · 가자미근) ( 아킬레스건B) · 장딴지빗근
B :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모여서 이루는 발꿈치힘줄이므로 작성
깊은층 : 오금근 · 긴엄지굽힘근 · 긴발가락굽힘근 · 뒤정강근
발등 짧은발가락폄근 · 짧은엄지폄근C
C : 짧은발가락폄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하나 여기서는 서로 다른 근육으로 작성
발바닥 1층 : 엄지벌림근 · 짧은발가락굽힘근 · 새끼벌림근
2층 : 벌레근 · 발바닥네모근
3층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모음근 · 짧은새끼굽힘근
4층 : 바닥쪽뼈사이근 · 등쪽뼈사이근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얼굴과 목의 근육, version=17, uuid=99c736e8-18c3-4b14-9e4f-5389dd29525c,
title2=틀:팔의 근육, version2=7, uuid2=a289455d-3589-4635-809c-7c5e35475e9d,
title3=틀:하반신의 근육, version3=15, uuid3=72291e44-c1e6-4299-825d-d35ac4d12ff4)]
adductor magnus
(큰모음근, 대내전근)
파일:바깥폐쇄근앞쪽.jpg [1] 파일:큰모음근.jpg [2]
이는 곳
(origin)
모음근부분: 궁둥두덩가지(ischiopubic ramus)
폄근부분: 궁둥뼈결절(ischial tuberosity)
닿는 곳
(insertion)
모음근부분: 볼기근거친면~거친선, 안쪽관절융기위능선(gluteal tuberosity~linea aspera, medial supracondylar line)
폄근부분: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osity)
동맥
(artery)
깊은넙다리동맥
(deep femoral artery)
신경
(nerve)
모음근부분: 폐쇄신경 뒷가지(posterior branch of obturator nerve)
폄근부분: 궁둥신경의 정강신경 부분(tibial portion of sciatic nerve)
기능
(action)
넓적다리 모음, 굽힘[3], 폄[4]
(adduction, flexion, extension of thigh)

1. 개요2. 구조
2.1. 모음근부분2.2. 폄근부분
3. 기능

[clearfix]

1. 개요

큰모음근(adductor magnus muscle)은 넓적다리 안쪽칸(medial compartment)에서 가장 큰 세모꼴의 근육으로, 모음근부분(pubofemoral; adductor part)과 폄근부분(ischiocondylar; hamstring part)으로 나뉜다.

2. 구조

큰모음근이 닿는 넙다리뼈 뒤쪽면의 긴 선(볼기근거친면~넙다리뼈 거친선~안쪽관절융기위능선[5])을 따라서, 큰모음근은 널힘줄(aponeurosis; 건막)[6]이 되어 붙는다. 이때, 모음근부분 닿는곳의 널힘줄에서는 보통 세네 개의 뚝뚝 끊긴 구멍들이 보이는데, 이 구멍들로 깊은넙다리동맥(profunda femoris; deep femoral artery)의 관통가지들(perforating braches)이 지나간다. 한편, 모음근부분의 널힘줄이 끝난 부분과 폄근부분이 닿는곳인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cle)[7] 사이의 다른 구멍들보다 큰 틈새를 모음근구멍(adductor hiatus)이라고 부른다. 이 부분은 모음근굴(adductor canal)을 빠져나온 넙다리동맥 넙다리정맥이 뒤쪽으로 빠져서 오금(popliteus)으로 가기 위해 지나가는 틈새이다.

2.1. 모음근부분

모음근부분(adductor part)은 큰모음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이는곳은 궁둥뼈와 두덩뼈가 만나는 부분인 궁둥두덩가지, 닿는곳은 볼기근거친면부터 안쪽관절융기위능선까지 이어지는, 넙다리뼈의 거친선을 포함하는 매우 긴 일련의 선이다. 이 부분을 영어로 부르는 adductor part 외의 다른 용어인 pubofemoral part는 이 부분이 두덩뼈(pubis) 근처에서 일어나서 넙다리뼈(femur) 뒤쪽면에 길게 닿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 부분의 닿는곳은 상술했듯 막 형태의 힘줄인 널힘줄로 이루어져 있다. 역시 앞에서 얘기했듯, 이 모음근부분에 존재하는 작은 세네 개의 구멍들로 깊은넙다리동맥의 관통가지들이 통과한다. 신경의 지배는 폐쇄신경의 뒤쪽가지가 와서 붙는다.

2.2. 폄근부분

폄근부분(hamstring part)[8]은 모음근구멍의 밑쪽에 존재하는 큰모음근의 부분이다. 폄근부분은 모음근부분이 일어나는 궁둥두덩가지보다 안쪽인 궁둥뼈결절에서 일어나고, 닿는곳은 넙다리뼈의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에 존재하는 모음근결절이다. 이는곳이 궁둥뼈(ischium)이고, 닿는곳이 융기(condyle)이므로 ischiocondylar part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이 부분을 지배하는 신경은 궁둥신경, 그 중에서도 다리 뒤쪽칸으로 주행하는 정강신경 성분이다.

3. 기능

모음근부분이든 폄근부분이든 두 부분이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은 넓적다리의 모음이다. 이름에 모음근이 붙는 것은 이 근육이 긴모음근, 짧은모음근과 함께 넓적다리 모음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굽힘/폄에 있어서는 두 부분의 작용이 다르다. 이름 그대로, 폄근부분은 넓적다리를 펴는 데에 도움을 주고, 모음근부분은 넓적다리를 굽히는 작용을 한다.
[1] 그림에서는 오른쪽 큰모음근만 나타내었다. 큰모음근이 짧은모음근(adductor brevis m.)이나 긴모음근(adductor longus m.)보다 깊이 존재하므로, 두 근육에 덮여서 큰모음근이 둘로 나뉜 것처럼 보인다. [2] 초록색 표시된 게 오른쪽 큰모음근으로, 겉에 있는 긴모음근과 짧은모음근을 제거한 뒤의 모습이다. 같이 있는 근육들은 가쪽에서 안쪽의 순서로 넙다리근막긴장근, 가쪽넓은근, 두덩정강근이다. [3] 모음근부분만 [4] 폄근부분만 [5] 이 선이 표에도 나와있듯 모음근부분의 닿는곳이다. [6] 힘줄이 막처럼 매우 얇고 넓게 펴진 것. [7] 그림에서 큰모음근 닿는곳 중 혼자 뚝 떨어진 부분이 폄근부분 닿는곳인 모음근결절이다. [8] 햄스트링 근육인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두갈래근 모두가 넓적다리 뒤칸(posterior compartment)에서 넓적다리를 펴므로 햄스트링 부분이 곧 폄근부분이 되는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