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 전쟁 |
러닝 타임 | 315 분 |
개봉일시(국내) | 1992.02.01 |
개봉일시(본토) | 1974년 |
감독 | 제지 호프먼 |
출연 | 다니엘 올브르스키, 말고자타 브로넥, 알렉산드로 가소브스키, 올라디슬라브 한크자 |
국내등급 | 15세이상 관람가 |
1. 개요
원제: Potop.영제: The Deluge
소련의 지원을 일부 받아 제작된 폴란드의 역사영화. < 쿠오 바디스>로 노벨 문학상(1905년)을 받은 것으로 유명한 헨리크 시엔키에비치(Henryk Sienkiewicz, 1846~1916)의 소설 < 대홍수(Potop)>를 영화화했는데, 본작은 폴란드 역사 3부작 가운데 제 2부에 해당한다.[1]
한국에서는 폴란드에서보다 거의 20년 늦게, 동구권 공산주의 붕괴 이후에야 개봉되었는데, 공산주의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냉전 상황으로 인해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과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서 제작한 영화를 반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2] 하지만 전체 315분 가운데 165분을 잘라내고 150분짜리로 편집한데다 상영관도 많이 확보하지 못해, 서울 관객이 2만 명도 채 되지 않았다. 1992년 12월 12일 토요일 밤 10시 35분에 주말의 명화로 더빙 방영한 버전도 이 150분 버전이었다.
한편 본국인 폴란드에서는 대단한 인기를 끌었던 영화로[3], 재상영까지 포함해 2760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해 폴란드 영화 사상 3번째로 많은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이며, 소련에서도 3000만이 넘는 관객수를 기록해 흥행에 성공했다. 2014년에 제작 40주년을 기념해 화질을 보강, 블루레이로 발매했다.
2. 등장 인물
-
안드레이 크미치스
대령(다니엘 올브르스키, 1945~) MBC판 성우는
양지운.
가운데 흰 옷 입은 장수. 폴란드 군 고위 장교로 타타르군을 여러 차례 물리친 맹장이다.[4] 예수 앞에서 자신의 주군인 헤트만 백작에게 평생 충성을 다하겠다고 서약했지만, 백작이 이를 믿고 반역을 일으키는 바람에 크게 갈등하게 된다. 유쾌하지만 꼴마초 기질이 있으며, 적에게는 용서가 없는 잔악무도한 면모가 있어서 올렝카에게 지적당하는 때가 잦다.
-
올렝카(말고자타 브로넥, 1947~2014[5]) MBC판 성우는
박소현.
여주인공. 루비치 영주의 손녀로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남편감으로 점지해 준 크미치스 대령의 남자다움에 홀딱 반했지만 그의 잔인한 성격과 꼴마초 기질을 뜯어고치지 않으면 절대로 결혼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크미치스의 잔인한 성격을 고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
헤트만 백작
크미치스의 직속 상관으로 루비에즈의 영주. 크미치스의 학살극을 사면하고 직속 부하로 편입한다. 하지만 그 직후 폴란드를 침공해 온 스웨덴군에 붙어서 폴란드 왕을 유폐시켰다.
-
볼로디요프스키 대령
크미치스의 동료 장교.
- 폴란드 국왕
- 스웨덴 국왕
3. 줄거리
#안드레이 크미치스는 타타르와의 싸움터에서 수많은 공을 세우고 영웅이 되어 그의 상관이자 아버지의 각별한 친구였던 영주의 영지인 루비치로 돌아온다. 영주는 싸움터에서 숨을 거두면서 영지와 손녀를 크미치스에게 물려주었던 것이다.
크미치스는 루비치라는 영지가 비록 작았지만 올렝카가 눈부시게 아름답고 신앙이 두터운 처녀임을 알고 몹시 기뻤다. 올렝카 역시 첫 눈에 할아버지가 짝지워 준 크미치스의 사나이다움에 끌렸지만 그의 잔혹하고 거친 언동에는 거부감을 느껴 그런 점을 고치기 전에는 결혼할 수 없다고 잘라 말한다. 크미치스도 올렝카의 요구가 옳다는 것을 인정하고 점잖아지려고 노력했지만 부하들이 이웃 영지 루빈스에서 참살당한 것을 보고는 참을 수 없어 마음을 불사르고 주민들을 학살하고 숲 속으로 몸을 숨긴다.
그 무렵 폴란드는 스웨덴의 침공을 받았고 루비에즈 등을 다스리던 헤트만 백작은 크미치스를 포함하는 영내의 장교들을 소집한다. 크미치스를 데리러 왔던 볼로디요프스키 대령은 루빈스 장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의 죄를 용서하고 헤트만 백작에게 데려갔으며, 크미치스는 자기를 사면해준 헤트만 백작에게 평생 충성을 서약하고 친위대의 지휘를 맡는다.
하지만 백작은 이윽고 폴란드를 배신하고 스웨덴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데, 그의 다른 수하들은 모두 백작에게서 등을 돌리고 스웨덴에 맞섰으나 크미치스만은 십자가에 걸고 충성맹세를 했기에 한동안 괴로워한다. 하지만 백작의 결정에는 아무래도 동의할 수 없었던데다 올렝카로부터 강력한 권고를 받아 마침내 백작의 휘하에서 벗어나 스웨덴군이 납치하려는 폴란드 국왕이 유배된 수도원으로 달려가 왕을 구출하고 스웨덴군과의 혈전을 승리로 이끌어 마침내 폴란드를 위기에서 구하는 데 성공한다.
[1]
1부는 우크라이나 카자크 봉기(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봉기)를 배경으로 한 <불과 칼로써>, 3부는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배경으로 한 <보우오디요프스키 대령>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전성기가 끝나고 쇠퇴해가는 시기가 다루어졌다. 이 소설들은 폴란드에서 모두 영화화되었다.
[2]
이와 비슷한 사례로 비슷한 경우가
해바라기가 있는데, 이탈리아 영화임에도 소련에서 찍었다는 이유 하나로 12년 이상 상영금지당했다.
[3]
시엔키에비치 소설 원작 영화들은 대대로 폴란드 영화 히트작으로 꼽힌다. 다른 대표작인 십자군의 기사도 상당한 히트작이었다.
[4]
역사적으로 이 '타타르' 는
크림 칸국의
크림타타르인들을 가리키는데, 크림 칸국은 이웃한 폴란드나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주민들을 잡아다 종주국인
오스만 제국에 노예로 파는 것이 연례 행사이자 국가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다.
[5]
안드레이 줄랍스키의 전 부인이기도 했다. 남편과 함께 당대 최고의 미인 배우로 유명했다고. 난소암 합병증으로 67살 나이에 사망했다. 어머니 묘소 옆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