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3:53:18

우칭위안

쿠레 이즈미에서 넘어옴
우칭위안[1]
吳清源(Wú Qīng Yuán)[2]
呉清源(Go Seigen)[3]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3397503647.jpg
출생 1914년 6월 12일
푸젠성 푸저우시[4]
사망 2014년 11월 30일 (향년 100세)
국적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대만|
대만
중화민국
]][[틀:국기|]][[틀:국기|
속령
중화민국
]](1914-1936)

[[일본|]][[틀:국기|]][[틀:국기|]](1936-1946)
무국적(1946-1949)

[[대만|
대만
중화민국
]][[틀:국기|]][[틀:국기|
속령
중화민국
]](1949-1979)

[[일본|]][[틀:국기|]][[틀:국기|]](1979-2014)[5]
입단 1929년
은퇴 1984년[6]
단급 九단

1. 개요2. 생애3. 10번기4. 신포석5. 친일파 논란6.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에서 활동한 바둑 기사.[7]

본명은 오천(呉泉)이며 세간에 잘 알려져 있는 이름인 오청원은 일본 유학 전 중국에 있을 때 스승이 지어준 이름이다. 중국 시절 '소년 오천(吳泉)'의 스승은 고수여(顧水如), 고수여는 북경 어느 기원에서 우연히 소년 오천의 바둑을 구경하게 되고, 소년의 재주에 반해 한판 시험기를 둔 후 제자로 삼았으며, 이후 자기 집으로 출퇴근시키며 소년을 가르쳤다. 하루는 오천의 어머니가 소년과 같이 와서는 소년의 이름을 지어 주십사 요청했다. 그날은 마침 고선생의 형인 淵如(연여)가 함께 있었는데, 연여가 "샘물은 맑지(泉水是的)."라고 말했다. 이어 고선생이 말하기를, "샘물은 아득한 곳에서 솟아 멀리까지 흐르지(泉水是遠流長的)."라고 말했다. 이리하여 오천은 吳淸源(오청원)이라는 또 하나의 이름이 생겼고 이후 이 이름으로 유명해지게 된다.[8]

2. 생애

파일:오청원2.jpg
황금기 시절. 1940년대로 추정
중국 푸젠성 출신으로 세고에 겐사쿠(瀬越憲作) 九단 문하. 그래서 역시 세고에 九단의 문하인 조훈현 九단의 사형(師兄)이 된다. 또한 린하이펑 九단은 우칭위안의 문하이니 조훈현은 나이가 10살 가까이 많은 린하이펑의 사숙(師叔)뻘.

바둑광인 부친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두 형과 함께 바둑 공부를 했다. 두 형과 달리 막내인 우칭위안이 특출난 기재를 보이자 부친은 우칭위안에게 집중적인 교육을 시켰으나 우칭위안이 12세 때 세상을 떠났다.

소년 오천은 9살 꼬마 시절에 고수여 선생과의 시험기에서 5점으로 두어 패하고서 고수여 선생의 제자가 되었는데, 이후 지인의 소개로 북경으로 올라가 여러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하며 불과 이삼 년 만에 바둑계 강자가 되었다.[9] 우칭위안이 12살 때, 일본에서 프로기사 이와모토 六단과 코스기 四단이 중국을 방문했는데, 당시 소문이 자자하던 우칭위안과 지도기를 두었다. 먼저 이와모토 六단에게 석점 치수로 두 판을 연달아 이긴 뒤, 두 점 치수로 두어 패했다. 그리고 코스기 四단과 두 점 치수로 두어 승리했다. 이 대국의 결과가 일본에 전해지자 중국의 바둑천재 우칭위안의 이름이 일본 바둑계에 알려졌다.

그리고 다음해 이노우에 고헤이 五단이 중국을 방문했는데 우칭위안은 정선으로 3판을 두어 1승1패1무를 기록했다. 단의 권위가 대단했던 당시에는 프로 四단 이상이면 바둑고수로 취급하던 시절이었는데, 프로기사를 상대로 고작 13살 소년이 박빙의 승부를 펼쳤다는 소식에 일본 바둑계는 그야말로 발칵 뒤집혔다.[10][11] 더구나 당시의 일본 바둑계 시각에서 보면 중국은 바둑의 불모지나 다름없는데, 그 불모지에서 이런 '천연보물'이 불쑥 튀어나왔으니 일본 바둑계가 얼마나 법석을 떨었을지는 짐작키 어렵지 않다.

결국 이 일본기사들과의 대국이 우칭위안의 인생에 하나의 큰 인연을 만들게 되는데, 그의 평생 스승이 될 세고에 겐사쿠가 우칭위안에 대한 소문을 듣고 자신의 제자인 하시모토 우타로 四단[12] 중국에 보내 시험해 보도록 한 것이다. 1928년 우칭위안은 하시모토 四단과 정선으로 두어 4집승, 6집승을 거두는 파란을 일으켰다. 우칭위안의 기재에 감탄한 세고에 겐사쿠는 그를 일본에 데려오기 위해 온갖 노력을 했고 결국 우칭위안은 14살에 일본으로 바둑공부를 하러 떠났다. 자상하고 좋은 기사

일본으로 건너온 뒤 일본 바둑계는 우칭위안을 몇 단으로 인정하느냐를 두고 논쟁이 오가는데, 아무리 천재라도 초단으로 시작하는 것이 맞다는 대다수의 평에도 불구하고 스승 세고에가 三단 실력이 충분하다고 주장하여 三단격으로 간주하여 정식 단위인정 시험을 치른다. 그리고 그 해 혼인보 슈사이 명인과의 2점 접바둑[13]에서 승리하고, 승단대회 1위를 한 시노하라 四단과 무라지마 四단과의 대결에서도 모두 승리해서 정식 三단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던 탓에 바로 승단대회에 참여하지는 못했고[14] 신문이나 잡지사가 기보연재를 조건으로 내건 임시 바둑대회에 주로 출전했다.

건강이 회복된 1930년부터 정식으로 승단대회에 참가하여 1930~32년까지 승단 대회에서만 무려 44승 4패의 성적을 거두며 五단으로 순조롭게 승단하였다. 이 시기 우칭위안의 성적은 그야말로 엄청난 것이었는데 1932년 시사신보에서 주최한 승발전(이기면 계속 두는 연승방식)에서 무려 18연승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1928~32년까지 4년 동안 온갖 대국에서 기록한 통산 승률이 무려 9할에 육박했다. 천하의 이창호가 프로 데뷔 후 대회를 휩쓸며 가장 활발한 성적을 거둘 당시에 1년 승률조차 9할이 안 됐다.[15]

그 후 20대에 시작한 고수들과의 10번기 승부를 통해 일본 바둑계의 제1인자로 군림하며 쇼와의 기성(棋聖)이라고 불렸다.

다만 전성기 시절 자타공인 일본 바둑의 1인자였음에도 신문사들이 후원하는 프로 기전들이 본격적으로 출범한 이후로는 우승과 별 인연이 없었다. (구)명인전에서는 1~3기 명인전 리그에서 3회 연속 리그 2위에 그쳤고, 4기 명인전 리그에서 8전 전패로 함락당한 후, 본선 리그에 다시는 복귀하지 못했다. 1976년 NHK배에서는 결승까지 올라갔지만, 사카타 에이오에게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사실 이보다 훨씬 전인 혼인보전에도 1~3기에 참가했지만 우승하지 못한걸 보면 타이틀과는 인연이 어지간히 없었다고 할 수 있다.[16][17]

다만 당시 우칭위안의 지위가 너무 우월하여 본인방전에서 우승한 기사들 스스로가 '본인방전에서 우승하면 우칭위안에게 도전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1951년부터 1961년까지 본인방vs우칭위안 3번기가 9차례 열리기도 했다.[18]

1984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문하생은 린하이펑, 루이나이웨이. 이 둘도 바둑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기사들로서 린하이펑은 60~70년대 일본 바둑을 휘어잡던 고수였고, 루이나이웨이는 여성 기사계의 본좌로 자리잡았다.

2007년 그의 인생 역정을 그린 영화 <기성 오청원>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2014년 11월 30일, 10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3. 10번기

치수고치기 10번기란 이 있는 현대적인 프로 기전 제도가 정착되기 이전, 같은 기사와 10번을 두어 승부를 가르는 것을 말한다. 참여하는 기사들은 자신의 명예를 걸고 대국에 임했다. 이는 당시에 '데드 매치'라 불렸는데 10번기 중 4승 차 이상이 나게 되면 상대를 ' 한 수 아래'로 대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호선 10번기에서 4승차를 내면 상대와는 선상선으로 상대하며, 선상선에서 4승차가 나면 정선이 된다.[19] 이 10번기는 초장기전에 체력전이라는 이유로 우칭위안 이후 사라졌다가 2014년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로 부활했다.

우칭위안은 일본 정상급 기사들과 십여 차례의 10번기를 벌였고 치수를 고쳤다. 이를 통해 일본 바둑계의 1인자로 모두에게 인정받기에 이른다.

가리가네 준이치를 제외한 모든 기사의 치수를 선상선 및 정선으로 수정.

더 이상 우칭위안과 10번기 대결을 할 수 있는 상대가 없다고 판단한 주최사 요미우리 신문은 결국 10번기를 종료했다.

10번기 같은 장기 대국은 결국 백번을 누가 승리하느냐 하는 싸움이었는데, 우칭위안은 불리한 백을 쥐고도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다. 현재 한국, 일본에서는 6집 반을 으로 주고도 흑이 조금 유리하다는 게 정론인데, 덤이 없던 우칭위안의 시대에 백번으로 저런 승률을 보였음은 이미 평범한 바둑고수의 실력을 초월한 것이었다.

참고로 당시의 10번기는 승패가 갈린 뒤에도 마지막 10국까지 계속 두는 방식이었는데,[27] 번기승부 종료 후 최종 전적은 막상막하인 경우가 많았다. 이는 4승 차를 달성해 상대의 치수 고침이 확정되면 나머지 대국은 수정된 치수로 두는 방식과,[28] 치수 고치기를 달성한 우칭위안은 나머지 대국에는 온 힘을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4. 신포석

1933년(19세) 우칭위안은 기타니 미노루와의 10번기를 치르게 되었다. 여름에 시작된 10번기는 5국을 두던 도중[29] 30수가 진행된 상태에서 잠시 중지되었는데, 이 때 포석 관련 이론서를 쓰고 있던 기타니가 우칭위안을 나가노현 지고쿠다니 온천(地獄谷温泉)[30]에 초청하여 둘은 함께 포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당시 기타니는 중앙과 세력을 중시하는 새로운 포석을 구상중이었고, 우칭위안 역시 기존의 소목(小目)으로 시작되는 포석을 벗어나 화점이나 3의 3을 두는 방식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이들의 공동 연구는 5국의 진행이 중지된 한 달여 동안 계속되었다.

시간이 약간 지난 후 우칭위안이 기타니의 집을 방문하였을 때 일본기원 편집부장인 야스나가 하지메가 우연히 동석하게 되었고, 그가 두 기사의 연구에 딴지를 건 것이 계기가 되어 세 명은 밤새도록 논의를 진행, 이를 책의 형태로 정리하기로 결정했다. 두 사람은 그해 가을 오테아이(大手合, 승단 대회)에서 이를 실전에 옮겨 우칭위안이 1등, 기타니가 2등을 차지했고, 그들의 연구성과는 『신포석법』이라는 책으로 출간[31], 매진사태를 기록하는 등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 신포석은 그때까지의 바둑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현대 바둑의 성립에까지 이어졌다.

여담으로, 이 시기에 우칭위안은 혼인보 슈사이[32] 명인과의 기념대국에서 3의 3에 첫 착점을 하고, 이어서 화점, 천원으로 이어지는 포석을 시도하여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첫 수 3의3 착점은 신포석에서 시도한 주요 포석이었는데, 하필 일본의 전통 바둑계의 상징이자 당시 바둑계 대원로로 대접받던 혼인보 슈사이 앞에서 두었다는 점 때문에 불경한 행동이라는 비난이 있었던 것. 그도 그럴게 당시에는 첫 수를 소목이 아니라 화점에 두는 것조차 변칙으로 취급받던 시절이었으니…

5. 친일파 논란

중국 출신이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친일파 논란에 자주 말려드는 인물이기도 하다. 옹호론자들은 우칭위안이 바둑 기사일 뿐이므로 정치, 역사적 문제에 말려들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비판론자들은 우칭위안이 일본 군부의 인사들과도 친선 바둑을 두는 등, 적대적이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다만 우칭위안은 애초에 어린 시절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에서 살면서 일본 국적까지 취득한 사람이다.(도중에 중국 국적으로 돌아간 적이 있긴 했지만) 그가 단순히 중국계라고 해서 한간 취급하는건 정당한 비판이라고 할 수 없다. 애초에 친일이라는 근거가 고작 일본 군부 사람들이랑 바둑 몇번 둔게 전부인데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언동을 보인것도 아니고 고작 이 정도로 친일파 취급은 지나치게 엄정한 잣대다.

6. 기타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3365593999.jpg
두 제자( 린하이펑, 루이나이웨이)와 함께한 100세 생일 기념 촬영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3515723644.jpg
미디어 웹툰 바둑 삼국지에 등장하는 세고에 겐사쿠의 천재에 대한 평

수백년이나 되는 프로 바둑 역사 속에서도 불세출의 천재 기사로 평가된다. 바둑은 보통 노력을 중시하는 다른 스포츠에 비해 재능의 유무를 굉장히 크게 여기는데, 타고난 기재가 없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대성하기 어렵다고 한다. 그런 면에서 일명 '노력하는 천재'의 전형을 보여준 인물이 우칭위안으로 그의 사제 조훈현은 이런 말을 남겼다.
바둑은 일단 천재가 나와야 한다. 그 다음, 그 천재가 피나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런데 그런 재목이 보이지 않는다. 이세돌은 천재가 아니라 독특한 기풍을 가진 '천재형'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사형 우칭위안은 천재이면서도 엄청난 노력가였다. 어린 시절 얼마나 바둑 책을 한 손에 들고 많이 보았으면, 왼손 손가락이 기형으로 굽었겠는가. 한 번은 세고에 선생님이 우칭위안을 머리 좀 식히라며 야구장에 보냈다고 한다. 그런데 우칭위안은 야구장에서 야구는 보지 않고, 고개를 젖혀 하늘만 보더라고 했다. 하늘을 바둑판 삼아 바둑 공부를 했던 것이다. 그 분은 올해 우리 나이로 백 한 살이지만, 지금도 검토실에서 '이렇게 둬야지.' 하며 자신의 의견을 밝힌다고 한다. 바둑은 천재가 아니면 아무리 키워봤자 소용없다. 죽어라 공부해도 안되는 게 바둑이다.

이런 천재를 제자로 둬서인지 그의 스승 세고에 九단은 어지간한 천재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고 한다. 일본기원에서 우칭위안의 뒤를 잇는 천재니, 신동이니 떠들어대면 가소롭다는 듯이(…) 위 이미지에 나온 대사와 비슷한 뉘앙스의 언급을 했다고.[33] 그리고 실제로 오청원 이후 30년 동안 제자를 들이지 않았으니 세고에 九단의 눈높이가 얼마나 높아졌는지 알 수 있다. 결국 우칭위안 이후 30년 만에 세고에의 마지막 제자가 된 천재가 바로 조훈현이다.

우칭위안 본인도 바둑의 재능, 즉 기재에 대해 흥미로운 언급을 남겼다. 무려 100세를 살았기에 이창호가 세계 바둑계를 휩쓸고 다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우칭위안이 바둑계에서 갖는 위상은 당시에도 여전했기 때문에 어떤 인물이 역대 최고의 기재는 이창호가 아니냐고 물은 적이 있었다. 이에 우칭위안 본인은 "이창호의 기재는 노력으로 쌓아올린 기재로 정말 타고난 기재는 조훈현이 최고다" 라고 답했다. 그리고 조훈현 뒤로도 이창호가 아닌 린하이펑과 오타케 히데오를 꼽았다고 한다.
[1] 한국어 독음은 오청원. [2] 중국식 발음 표기. [3] 일본식 발음 표기. [4] 푸젠성 푸저우시 [5] # [6] 마지막 대국은 1975년. [7] 일본기원 소속이었으나, 1947년에 우칭위안의 스승 세고에 겐사쿠가 우칭위안을 일본기원에서 탈퇴시켰다. 1949년에 일본기원으로부터 명예 객원 기사 칭호를 받았고 은퇴할 때까지 일본기원 명예 객원 기사로서 활동하였다. [8] 이 일화의 출처는, 고수여의 훗날 제자인 진조덕(陳祖德 - 전 중국기원원장, 2012년 작고)의 자서전인 초월자아(超越自我). [9] 당시 중국에는 프로기사라는 개념은 물론 정식 기전조차 없었고 바둑 애호가나 부자들이 주회하는 일반 대회만 성행했다. [10] '바둑기술의 조기교육'이 대세가 된 요즘 기준으로 쳐도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11] 당시에는 프로들도 접바둑을 두었는데, 2단 차이가 나면 정선, 5단 차이가 나면 2점 접바둑, 8단 차이가 나면 3점 접바둑이었다. 천하제일고수 취급되던 명인(9단)과 3점으로 둘 수 있으면 1단이라는 뜻. 대강 말해 5단과 정선으로 1승1무1패면 프로 3단 실력이라는 뜻이었다. [12] 이전에는 세고에의 첫 제자라 적혀있었으나, 세고에 겐사쿠에게 제자는 더 있었고, 첫 제자는 마츠자와 츠루지로이다. [13] 당연히 이 당시는 우칭위안이 흑을 잡고 2점을 먼저 깐 대국이었다. [14] 단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당시에는 승단대회가 모든 기사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큰 대회였다. 단위의 높고 낮음으로 그 신분의 높낮이도 결정된다고 할 만큼 중시되던 시합이었기에 기사들의 부담감이 장난이 아니었다. 게다가 시간 제한이 없는 것과 다름없는 룰 덕분에 엄청난 초장기전이 대부분이어서 기사들의 체력 소모가 엄청났다. [15] 물론 이런 엄청난 성적은 당시 우칭위안의 단위가 기력에 비해 저단이었던 탓에 흑번으로 대국한 경우가 많아서 가능한 일이었다. 덤이 없던 당시에는 흑번이 백번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했다. [16] 1기 (구)명인전 리그에 참여하던 시기에 이미 우칭위안은 40대 후반이었다. 게다가 이 시기에 교통사고를 당해 오른쪽 다리와 오른쪽 엉덩이에 골절상을 입고 2개월간 입원했는데, 후유증으로 한동안 두통에 시달리기도 했다고 한다. 나이로 보나, 몸 상태로 보나, 전성기 시절의 압도적인 실력을 계속 보여주는 건 힘들 수 밖에 없었다. [17] 다만 우칭위안이 기전 우승을 한 번도 못했던 건 아니다. 명인전의 전신 대회였던 일본 최강 결정전에서는 2차례 우승했다. [18] 이 기간 동안 우칭위안과 3번기를 치른 본인방은 다카가와 가쿠와 사카타 에이오 2명이었으며, 다카가와는 7승 17패, 사카타 에이오는 2승 1패를 기록했다. [19] 선상선은 호선과 정선의 중간 치수로 하수가 3국 가운데 1, 3국에서 흑을 쥐고 이는 一단 차이에 해당하며, 정선은 하수가 1·2·3국 모두 흑을 쥐며 二단 차이에 해당한다. [20] 가리가네마저도 승부를 계속했다면 치수를 고쳤으리란 의견이 거의 확정적이다. 단의 권위가 컸던 그 시절에 하수가 상수보다 높은 치수로 둔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것이었다. [21] 본명은 후지사와 쿠라노스케. [22] 이후 10번기 도중 七단으로 승단하지만 마지막까지 정선으로 둠. [23] 묘하게도 이 대결에서 기록한 1무 1패가 모두 관서기원 소속 기사들과의 대결에서 나온 것이었는데, 당시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의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고, 우칭위안도 일본기원과 사이가 껄끄러웠기에 일부러 져줬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24] 三단 차이에 해당하며 하수가 2번 흑, 1번 두 점을 깔고 둠 [25] 훗날 조치훈 九단이 10연패를 하기 전까지 혼인보전 최고 연패 기록이었다. [26] 마지막 대국은 반집패. 이 반집패를 지면 우칭위안의 집에 가일수 해야 해서 반집패를 이기는 사람이 이기는 대국이었다. 우칭위안은 팻감이 많기 때문에 반집패를 이겼다고 했지만 당시 관례상 다카가와가 이을 수 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입회인은 '다카가와 가쿠가 이긴 것'으로 선언하고 우칭위안을 설득해서 다카가와의 승리로 결정됨. 이 판은 '바꿔치기의 명국'으로 불리며 바꿔치기만 서로 다섯 차례나 나오는 난타전이었다. [27] 이세돌과 구리의 10번기는 이세돌의 승리가 확정되자 8국에서 종료했다. [28] 호선으로 시작해 한명이 1~4국을 연속으로 잡아 4승차가 될 경우, 바로 상대의 치수가 고쳐지고 나머지 5~10국은 상대가 선상선으로 둔다. [29] 당시 프로의 중요한 대국은 며칠에 걸쳐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그 날의 대국이 끝날 때 ' 봉수(封手)'를 한다. [30] 지명의 뜻을 해석하면 지옥의 계곡, 세계에서 유일하게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원숭이가 온천욕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31] 세 명이 공저자로 올라갔다. [32] 세습 바둑가문이었던 혼인보 가문의 21대이자 마지막 당주. [33] 아마 세고에 九단이 일본기원과 굉장히 척을 지어서 그런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