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8:44:02

코발트 드래군 2-60C

코발트 드라군 2-60C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
{{{#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베이블레이드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3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드랜 소드 3-60F, 샤크 엣지 3-60LF, 코발트 드레이크 4-60F
드랜 대거 4-60R, 피닉스 페더 3-60F, 피닉스 소어 9-60GF
밸런스 타입 헬즈 사이드 4-60T, 레온 클로우 5-60P, 헬즈 체인 5-60HT
스태미너 타입 위저드 애로우 4-80B, 바이퍼 테일 5-80O, 와이번 게일 5-80GB
디펜스 타입 나이트 실드 3-80N, 나이트 랜스 4-80HN, 라이노 혼 3-80S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4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드랜 버스터 1-60A, 티라노 비트 4-70Q, 코발트 드래군 2-60C
에어로 페가시우스 3-70A, 베어 스크래치 5-60F
워리어 세이버 2-70L, 프테라 스윙 7-70RA
닌자 나이프 4-60LF, 임팩트 드레이크 9-60LR
밸런스 타입 유니콘 스팅 5-60GP, 헬즈 해머 3-70H, 펄 타이거 3-60U
웨일 웨이브 5-80E, 크림슨 가루다 4-70TP
맘모스 터스크 2-80E
스태미너 타입 위저드 로드 5-70DB, 피닉스 러더 9-70G, 실버 울프 3-80FB
고스트 서클 0-80GB
디펜스 타입 스핑크스 카울 9-80GN, 닌자 섀도우 1-80MN, 블랙 터틀 4-60D
레온 크레스트 7-60GN, 나이트 메일 3-85BS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025년 발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어택 타입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밸런스 타입
스태미너 타입
디펜스 타입 골렘 록 1-60UN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크로스오버 프로젝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탑블레이드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드랜져 스파이럴 3-80T, 트라이피오 3-60N
드라이거 슬래시 4-80P, 드래셀 실드 7-60D
드라군 스톰 4-60RA
메탈 베이블레이드 라이트닝 엘드라고 1-60F, 스톰 페가시스 3-70RA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빅토리 발키리 2-60RA, 제노 엑스칼리버 }}}}}}}}}
그 외 베이블레이드는 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 문서 참조 }}}}}}}}}}}}
<colbgcolor=#000><colcolor=#4bbccc> 코발트 드래군 2-60C
コバルトドラグーンㆍツーシクスティーㆍシー
Cobalt Dragoon 2-60C
파일:코발트 드래곤 2-60C.png
제품 분류 <colcolor=#000,#fff>BX-34 스타터
시스템 파일:베이식 라인.png 베이식 라인
타입 좌회전 어택 타입
파츠 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군
래칫: 2-60
비트: 사이클론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7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9월 25일

1. 개요2. 파츠
2.1. 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군2.2. 래칫: 2-602.3. 비트: 사이클론
3. 미디어 믹스에서
3.1. 작중 행적3.2. 사용 기술
4. 기타

[clearfix]

1. 개요

베이블레이드X 베이블레이드. 4세대 최초의 좌회전 베이블레이드로, 블랙 터틀 4-60D와 함께 베이블레이드X 1주년이자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25주년을 기념하는 베이다.

2. 파츠

2.1. 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군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좌회전.png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어택.png
코발트 드래군
コバルトドラグーン | Cobalt Dragoon
파일:베이블레이드X/파츠/코발트 드래곤.png
끝부분이 두꺼운 4개의 어퍼 날을 이용한 튕겨내기 공격에 특화된 좌회전 블레이드.
청룡을 모티브로 한 어택 타입 블레이드. 개요에서 전술하듯 4세대 최초의 좌회전 파츠다. 코발트 드레이크를 반전시킨 듯한 형태로 4개의 드래곤 모양 칼날을 가지고 있다. 무게는 약 37~38g.[1]

무게가 무겁고 날이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무게 배분이 외중심도 내중심도 아닌 애매한 디자인으로, 네 개의 타격점중 한 점은 꽉 차있고 한 점은 반만 차 있으며 나머지 두 점은 비어있어 편중심을 띄는 구조이다. 때문에 배틀 중 기울어지는 경우가 잦고 한번 균형을 잃으면 회복이 어려워 3-60등의 안정적이고 얇은 칼날을 지닌 저중심 래칫으로 무게 중심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좋다.

상술한 블레이드의 단점 때문에 출시 초반에는 높은 체급과 4세대 최초 좌회전이라는 유니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채용률이 높진 않았으나[2], 이후 발매된 피닉스 러더의 글라이드(G)를 시작으로 채용률이 조금씩 생기다가 웨일 웨이브의 엘리베이트(E)와의 궁합으로 당당히 최상위 티어를 차지할 정도로 채용률과 평가가 올라갔다.

추천 조합은 코발트 드래군 5-60E

탑블레이드의 드래곤을 오마주했으며, 그 중에도 드래곤 빅토리나 갤럭시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3] 기어칩 일러스트의 아바타에 탑블레이드 로고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2.2. 래칫: 2-60

2-60
파일:베이블레이드X/파츠/2-60.png
베이를 낮게 세팅하는 파츠. 좌회전 시 상대를 튕겨내는 2개의 날을 사용.
2개의 칼날을 가진 래칫. 우회전시 공격을 흘려보낼 수 있는 형태로 버스트 리스크를 최대로 줄일 수 있으나, 좌회전시 역날 형태로 작용되며 카운터력과 동시에 버스트 리스크가 상당히 올라가는 파츠다.

평가는 버스트가 잘 터져서 쓰기 어려운 래칫. 쓸데없이 큰 2개의 역방향 날로 인해 공격을 가하는게 아닌 버스트 약점만 노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하로 두꺼운 형태를 지녀 베이의 뒷심을 약화시키고 아래로 툭 튀어나온 돌출부가 익스트림 라인에 걸려 자멸하는 등 단점이 많다. 무엇보다 상술한 블레이드의 무게 중심 문제로 인해 더욱 채용할 이유가 없다.

2.3. 비트: 사이클론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어택.png
[ruby(사, ruby=C)]이클론
サイクロン | Cyclone
파일:베이블레이드X/파츠/사이클론.png
회오리 모양의 평평한 축 끝이 좌회전시 스타디움과의 마찰력을 높여 고속 공격을 가능케 했다.
회오리 모양의 스파이크 축을 가진 어택 타입 비트. 회오리 모양의 축이 지면에 접촉, 회전당 이동 거리가 증가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다만 이런 축으로 익스트림 대시를 할 경우 기어로 발생하는 가속이기 때문에 축에 의한 가속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축 형태가 지면을 강하게 긁으며 마찰이 발생해 익스트림 대시의 속도를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4]

2세대 메탈 베이블레이드 레프트 플랫 버텀과 3세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스파이럴 드라이버를 계승하는 파츠다. 참고로 둘 다 각 시리즈의 대표 좌회전 베이인 엘드라고와 롱기누스에 포함되는 파츠다.

3. 미디어 믹스에서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역대 최종 보스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G 레볼루션
유리 이바노프 (유리)
, 울보그2,
제오 자카드
, 버닝 케르베로스,
브룩클린
, 제우스,
}}}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爆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4D
류우가 (드래곤)
, 라이트닝 엘드라고 100HF,
파우스트
, 바살트 호로지움 145WD,
라고우
, 디아블로 네메시스 X:D,
}}}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
다이도우지 (다크문)
, 네크로맨서 펜리르 T125 JB,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
시라사기죠 루이 (루이)
, 로스트 롱기누스. N. Sp,
쿠레나이 슈 (슈)
, 스프리건 레퀴엠. 0. Zt,
파이
, 데드 피닉스. 10. Fr,
그윈 로니 (로니)
, 빅뱅 제네시스. Hy,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
렌 발할라 (린 왈할라)
, 루시퍼 디 엔드. 皇. Dr,
쿠레나이 슈 (슈)
, 월드 스프리건. U' 2B,
라샤드 굿맨 (라샤드)
, 그레이티스트 라파엘.Ov.HXt+',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쿼드 스트라이크
팍스 포사이스
, 루인 판데모니움 P8 Kr-Q Sp-Q+B12-4',
베이블레이드X 시리즈
베이블레이드X
1장
류우구 크롬 (류크롬)
, 코발트 드래군 2-60C,
카미나리 시에루
, 블랙 터틀 4-60D,
2장
-
주인공 · 라이벌 · 히로인 }}}

류우구 크롬(류크롬)의 베이로 등장한다.

3.1. 작중 행적

원작 14~15화 - 류우구 크롬이 정상결전에서 선보이며 등장. 크로스 엑스의 드랜 버스터와 드랜 대거를 무승부와 동시에 파손시켰으나, 드랜 소드에게 패배해 관중석의 모니터까지 날아가 박혀버린다.

3.2. 사용 기술

4. 기타



[1] 평균적으론 거의 37g 후반대인 38g에 가까운 무게이다. 코발트 드레이크, 피닉스 윙, 에어로 페가수스, 웨일 웨이브 등의 현시점 최상위급 무게를 가진 베이들과 비슷하거나 약간 못미치는 정도의 매우 높은 무게이며, 고중량 개체는 39g까지 뜨는 경우도 있다. [2] 물론 장점 또한 확실하기에 이때도 종종 입상조합에 얼굴을 비추며 좋은 성능을 보여주긴 했다. [3] 극중에 나오는 코발트 드래군의 4X 역시 드래곤의 성수 청룡과 매우 닮은 푸른 용의 모습을 하고 있다. [4] 실제로 마찰력이 적은 볼 비트나 오브 비트 같은 파츠가 익스트림 대시 속도는 마찰력이 강한 어택 타입 비트보다 월등히 빠르다. [5] 원작에서는 익스트림 라인을 온전히 한 바퀴 다 도는 익스트림 대시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한 술 더 떠서, 스타디움 중앙을 향하는 라인 끝을 뛰어넘어 다시 한 바퀴 도는, 익스트림 라인을 두 바퀴 도는 익스트림 대시가 되었다. [6] 국내판은 드래곤 브레이크 [7] 국내판은 익스트림 대시 드래곤 브레이크 인피니트 [8] 본래 사용자인 크롬이 아닌, 그 모조품을 쓰는 검은 양복이 시전했다. 일반 익스트림 경기장이 아닌 와이드 익스트림 스타디움에서 코발트 드레이크랑 함께 쓴 기술이다. [9]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다크나이트 드래곤(ダークナイトドラグーン)은 기존 영어 철자 Dragoon에 o가 하나 더 붙은 Dragooon이라서 제외된다. [10] 드래곤, 다크나이트 드래곤, 에이스 드래곤 등. [11] 이름의 상표 등록을 위한 특수한 단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이나, 현재까지도 탑블레이드 시리즈의 저작권을 지닌 손오공과의 분쟁을 피하기 위함으로도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