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00:13:26

캡틴 아메리카/게임



1. 개요2. 지구-616
2.1. 캡틴 아메리카 인 둠 튜브 오브 닥터 매갈로만2.2. 캡틴 아메리카 앤 어벤져스
3. 멀티버스
3.1.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3.2. 맥시멈 카니지3.3. 어벤져스 인 갤럭틱 스톰3.4. VS 시리즈3.5. 스파이더맨(게임)3.6. 마블 네메시스3.7.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시리즈3.8. 스파이더맨 뉴욕 전투3.9. 캡틴 아메리카: 센티넬 오브 리베토리3.10. 캡틴 아메리카: 쉴드 오브 저스티스3.11. 캡틴 아메리카: 슈퍼 솔져3.12. 마블 어벤져스 얼라이언스3.13. 어벤져스: 배틀 포 어스3.14. 어벤져스 이니셔티브3.15. 마블 히어로즈3.16. 레고 마블 시리즈3.17. 마블 퍼즐 퀘스트3.18.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 공식 게임3.19. 디즈니 인피니티 시리즈3.20. 마블 올스타 배틀3.21. 마블 마이티 히어로즈3.22. MARVEL 퓨처파이트3.23. 마블 어벤져스 아카데미3.24.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3.25. 마블 엔드 타임 아레나3.26. MARVEL 슈퍼 워3.27. 마블 듀얼3.28. 마블 어벤져스3.29. 마블 퓨처 레볼루션

1. 개요

게임 매체에서 등장하는 캡틴 아메리카에 관한 문서.

2. 지구-616[1]

2.1. 캡틴 아메리카 인 둠 튜브 오브 닥터 매갈로만

파일:캡아1.jpg
캡틴 아메리카가 게임 매체에 등장한 첫 작품이다.

2.2. 캡틴 아메리카 앤 어벤져스

파일:external/img.gamefaqs.net/gfs_37033_3_10_mid.jpg
3P용 캐릭터로 등장한다. 성능은 비전 아이언맨이 워낙 좋아서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는 못받고 있으며 4인 플레이로 설정된 오락실에서는 어쩔 수 없이 플레이하지만 2인 플레이로 설정된 오락실에서는 쓰는 사람이 몇 없다.

3. 멀티버스

3.1.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파일:캡아2.jpg
카메오 출연.

3.2. 맥시멈 카니지

파일:캡아3.jpg

3.3. 어벤져스 인 갤럭틱 스톰

파일:캡아4.jpg
데이터 이스트에서 만든 2.5D 그래픽의 대전 격투 게임으로는 어벤져스 인 갤럭틱 스톰에서도 주인공으로 나왔고 여기서는 그래도 성능 자체는 좋은 강캐지만 게임 자체가 쿠소게에 가깝고 캡콤에서 만든 VS. 시리즈에 비하면 인지도나 시스템이 모두 처참해서 뭍혔다.(...)

3.4. VS 시리즈

파일:Captain_America_MvC3_artwork.webp
어벤저스, 어셈블!

캡콤에서 만든 마블과의 VS. 시리즈[2]에서는 마블의 대표적인 얼굴마담 캐릭터 중 하나답게 방패를 던지는 장풍계 기술 실드 슬래시와 돌진기 차징 스타, 대공기 스타즈 & 스트라이프스를 두루 갖춘 스탠더드형 캐릭터로 나오는데 2단 점프가 가능하며 맷집이 약간 좋다는 장점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방패를 놓치면 일부 기술을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움직임이 약간 굼뜨다는 것,[3] 그리고 긴 통상기의 리치를 살리지 못하는 체인콤보 타입과 스탠더드이다 못해 아주 정직하기 짝이 없는 기술들 등으로 인해 자주 쓰이지는 않는 캐릭터이다. 그래서 최상위권을 차지한 적도 데뷔작인 마블 슈퍼 히어로즈, 두번째 참전작인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밖에 없을 정도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중하 정도의 등급을 차지하였다. 다만 이건 일본에서 평가고 북미 쪽에서는 마블 VS 캡콤 1까지는 대체로 강캐로 평가받는 편이다. VS 시리즈의 모션은 멜티 블러드: 타입 루미나에서 추후 같은 방패 속성 캐릭터인 마슈 키리에라이트를 통해 오마주되기도 하였다.

다만 캡콤의 작곡가인 이와이 타카유키가 만든 전통의 테마곡이 꽤 신난다. 듣고 있으면 아드레날린이 마구 도는 듯한 느낌을 받을 정도다. 유튜브 등지에 올라오는 캡틴의 테마곡에는 '이 자식들아 이 노래 죽이지 않냐?'와 'Freedom prevails!'[4] 'Final justice!'[5] 같은 꾸준글들이 달린다. 이 테마가 워낙에 좋은 나머지 팬들 중 일부는 "영화에서도 반드시 나와야 한다"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지만, 저작권 등 이런저런 요소도 있고 게임에 어울리는 음악이 영화에까지 어울린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아무래도 무리로 보인다. 대신 캡틴 아메리카, 스파이더맨 마블 VS 캡콤 3(& 얼티밋)까지의 테마곡이 인피니트의 스탭롤 음악으로 오케스트라 어레인지 버전이 흘러나오는 게 위안.[6]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에서는 비기로 캡틴 아메리카의 동료 중 한 명인 US 에이전트를 고를 수 있는데, 색깔과 승리 대사가 다르고 원거리에서 실드 슬래시 사용후 돌아오는 방패를 받을 때 손으로 잡는 동작이 따로 있는것을 제외하면 캡틴 아메리카와 성능이 똑같다. 이를 이용하여 합법적인 동 캐릭터 태그가 가능한 걸 시작으로 재미있는 썰이 있는데, 배리어블 콤비네이션 대응 필살기가 발동 측일 때(스타 & 스트라이프)랑 파트너일 때(하이퍼 차징 스타)랑 틀리지만 피니시 시 출력되는 기술명 조합은 접두나 접미나 STAR이기 때문에 아케이드에서도 합법적으로 STAR STAR를 출력시킬 수 있다.

마블 VS 캡콤 3에서는 실드 슬래시로 던진 방패가 자동 호밍해서 돌아오기에 더 이상 방패를 놓치는 일은 없어졌다. 뿐만 아니라 돌아오는 방패에도 판정이 있어서 상대가 복귀하는 방패에 맞은 시점에서 캡틴 아메리카는 이미 경직이 풀려 있으므로 연속기 확정. 실드 슬래시만으로 막장 무한 콤보가 성립되기도 했었지만 얼마 안 가 패치로 수정됐다.

하이퍼 콤보는 레벨 1 하이퍼 콤보인 하이퍼 차징 스타, 하이퍼 스타즈 & 스트라이프스 그대로이며 마블 VS 캡콤 3(& 얼티밋)에서 캡틴 아메리카의 돌진 난무계 하이퍼 콤보인 파이널 저스티스(Final justice)가 레벨 3 하이퍼 콤보로 변경됐고 연출이 달라졌다.

전반적으로 류와 마찬가지로 무난함의 정석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튼실한 체력과 실드 슬래시, 차징 스타, 하이퍼 차징 스타의 성능을 믿고 쓴다. 특이하게도 2015년 현재 캡틴을 대회에서 쓰는 플레이어는 전부 멕시코 출신이다. 그 중에서 가장 실력이 뛰어난 플레이어는 캡틴과 M.O.D.O.K이라는 희한한 조합을 쓰는 Frutsy로, EVO 2015에서 크림슨 바이퍼 최강자이자 우승 후보였던 Full Schedule을 3:0으로 바르고 4강까지 올라가는 이변을 일으켰다.

에피소드 2 트레일러 영상에서 닥터 둠과 슈퍼 스크럴의 합동공세에 맞서 춘리와 일반인 비행사[7]를 보호한다. 방패를 던져 슈퍼 스크럴을 견제하고, 슈퍼 스크럴이 던진 헬기를 타이밍 좋게 돌아온 방패로 막아내는 흠좀간지. 엔딩 영상에서는 진정으로 영웅에 등극되었다. 이 외에도 어나더 컬러( 해당 링크 참조 1, 해당 링크 참조 2)로는 마블 VS 캡콤 3에서는 마블 VS 캡콤 2의 어나더 컬러 중 하나인 청록색 컬러, 레드 가디언 (해당 링크 참조) 컬러, 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서 추가된 컬러로는 Captain America Comics #1 (1941년 3월)에서 최초 등장할 때에 코스튬 컬러, Age of X의 캡틴 아메리카(지구-11326) 코스튬 컬러, 애니메이션인 어벤져스: 지구 최고의 영웅들에서 등장하는 캡틴 아메리카의 어벤져스 스페이스 슈트 컬러, 캡틴 아메리카의 죽음(Captain America: The Death of Captain America)이후에 캡틴 아메리카가 되는 버키( 윈터 솔저)의 캡틴 아메리카 코스튬 컬러, 마블 VS 캡콤 3, 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 캐릭터 컬러인 원작 코믹스 Punisher War Journal #7에서 나온 캡틴 아메리카 사후 퍼니셔가 입었던 '캡틴 아메리카 + 퍼니셔' 조합 의상 코스튬 컬러이다. 방패 색깔은 초기 마블 VS 캡콤 3에서는 중앙인 검은색 원 안에 흰색 별이 그려져 있는 블랙 앤 화이트 방패 색깔이었으나 얼티밋 마대캡 3에서는 US 에이전트의 방패 색깔로 바뀌었다.
DLC 코스튬은 스티브 로저스:슈퍼 솔저에서 나온 코스튬이다.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도 등장하며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리더 포지션이다.
레벨 1 하이퍼 콤보는 얼티밋 마블 VS 캡콤 3에 이어서 하이퍼 차징 스타, 하이퍼 스타즈 & 스트라이프스와 레벨 3 하이퍼 콤보는 얼티밋 마대캡 3에서 레벨 3 하이퍼 콤보로 변경된 파이널 저스티스의 강화판 언일딩 저스티스를 사용한다. 인피니트의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들과 함께 승리 모션 및 필살기들 & 하이퍼 콤보 연출들의 이펙트들이 전부 너프되었다는 평가와 마찬가지로 얼티밋 마대캡 3의 레벨 3 하이퍼 콤보 파이널 저스티스의 연출과 비교되고 있다.

DLC 코스튬은 시크릿 워즈 (2015년) 플래닛 헐크 Planet Hulk #1에서 등장한 검투사 스티브 로저스(지구-16832)의 코스튬이다.

3.5. 스파이더맨(게임)

파일:캡아2.png

3.6. 마블 네메시스

파일:캡아5.jpg

3.7.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시리즈

3.7.1.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1, 2

파일:캡아6.jpg

3.7.2.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3: 블랙 오더

파일:캡아1.png

3.8. 스파이더맨 뉴욕 전투

파일:캡아7.jpg

3.9. 캡틴 아메리카: 센티넬 오브 리베토리

파일:캡아리버티오브센티넬.png

3.10. 캡틴 아메리카: 쉴드 오브 저스티스

파일:캡아17.jpg

3.11. 캡틴 아메리카: 슈퍼 솔져

파일:캡아슈퍼솔저.png

3.12. 마블 어벤져스 얼라이언스

파일:캡아3.png
방패를 사용하는 영웅답게 탱커형 캐릭터로 등장한다. 탱킹에 유리한 갖가지 스킬을 갖고 있어 효율은 우수한 편이다. 보호 시 방패로 반격하는 대미지도 쏠쏠하다. 더욱이 2차 세계대전 유니폼을 입으면 전투 시작 시, 보호 버프를 얻고 시작하여 탱커로서 더욱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탱킹 능력을 제외하면 그저 그런 캐릭터인지라 보호 버프를 지울 수 있는 방법이 점차 늘어난 뒤부터는 PVP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개봉으로 등장한 캡틴 스티브 로저스 유니폼을 입으면 다기능 스킬을 통해, 선택에 따라 다양한 버프 디버프를 입맛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탱커가 아닌 서포터로 바뀌었다. 이후 에이지 오브 울트론 유니폼도 등장했다.

3.13. 어벤져스: 배틀 포 어스

파일:캡아8.jpg

3.14. 어벤져스 이니셔티브

파일:캡아4.png

3.15. 마블 히어로즈

코믹스와 영화의 의상들이 대거 등장하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의상을 입히고 게임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근접이지만 방패를 이용해서 원거리에서도 싸울 수 있다. 딜도 어느 정도 나오면서 튼튼한 캐릭터로 인기가 좋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캡틴 아메리카(마블 히어로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레고 마블 시리즈

3.16.1.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파일:캡아6.png
성우 -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

반사, 민첩을 가지고 있으며 유니크 특성인 방패가 있다. 방패로 방패 스위치를 가동시키거나 불을 일시적으로 끌 수 있다. 베리에이션으로 클래식 버전이 있다.

3.16.2. 레고 어벤져스

파일:캡아8.png

3.16.3.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2

파일:캡아7.png

3.17. 마블 퍼즐 퀘스트

파일:캡아9.jpg

3.18.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 공식 게임

파일:캡아윈솔공식게임.png

3.19. 디즈니 인피니티 시리즈

파일:캡아11.jpg

3.20. 마블 올스타 배틀

파일:캡아12.jpg

3.21. 마블 마이티 히어로즈

파일:캡아13.jpg

3.22. MARVEL 퓨처파이트

아이언맨, 블랙 위도우와 함께 기본 캐릭터로 주어진다. 원래는 중위권 정도 영웅이었으나 거듭된 패치로 인한 파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고인이 되어가는 영웅이 되었다. 대신 퓨처파이트 오리지널 캐릭터인 샤론 로저스(MARVEL 퓨처파이트)가 강력한 성능과 함께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다가 2017년 1월 업데이트 패치로 캡틴 아메리카의 기술,티어 2 패시브가 수정되어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은 편이다. 2018년 4월 25일 인피니티 워 업데이트로 유니폼이 나왔는데 딜량, 안정성 모두 다 업그레이드 되어 쓰기 편해졌으며 나름 상위권영웅으로 떠올랐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캡틴 아메리카(MARVEL 퓨처파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마블 어벤져스 아카데미

파일:캡아9.png

3.24.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

파일:캡아14.jpg

3.25. 마블 엔드 타임 아레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캡틴 아메리카(마블 엔드 타임 아레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6. MARVEL 슈퍼 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캡틴 아메리카(MARVEL 슈퍼 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7. 마블 듀얼

파일:캡아15.jpg

3.28. 마블 어벤져스

파일:Screenshot_20190824-024855_YouTube Vanced.png
2020년에 출시 예정인 어벤져스에서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슈트가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의 스텔스 스트라이크 슈트와 비슷하게 미국 특수부대 같은 느낌이 강해서 굉장히 현실적이다. 다만 허리에 탄입대가 추가되고 팔과 어깨에도 프로텍터가 추가되어 체형이 다소 둔해보인다.

프롤로그에서 A-데이 행사 도중 금문교에서 사건이 벌어지자, 캡틴은 핼리캐리어인 키메라에 남아 지키기로 한다. 하지만, 그 순간 키메라가 이상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고, 이후에 파괴되면서 추락한다. 다른 어벤저들과 대중은 이 사건으로 캡틴이 사망했다고 여겼고, 5년이 흘렀다.

AIM의 서버를 토니 스타크의 계정[8]으로 해킹하는데 성공한 카말라 칸은 키메라의 폭발 직전에 찍힌 CCTV 영상에서 조지 탈튼이 캡틴을 원자로실에 가둬놓는 걸 보고 탈튼이 캡틴을 죽였다고 확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에 자비스가 해독해낸 영상의 내용은 캡틴이 자발적으로 자신을 원자로실에 가두게 할 것을 탈튼에게 명령했고, 이후에 자신이 직접 원자로를 파괴한 것임을 알게 된다. 이로 인해 브루스와 토니는 싸움이 붙게 된다.

이후에 모니카 라파치니가 우주에서 인휴먼 관련 실험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 어벤저스와 카말라는 이를 조사해보기로 하고 토니가 우주로 진출할 수 있는 스타부스트 슈트를 완성해 우주에 있는 위성 연구실에 도착한다. 거기서 토니는 실험실의 방어 시스템이 누가 침입하는걸 막기보다는 누군가 탈출하는 걸 막기 위한 용도였음을 직감하고, 여기서의 실험을 통해 조지 탈튼의 재생 약물도 만들어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토니는 그 실험체를 찾아가 풀어주는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실험체가 바로 캡틴이었다. 탈튼의 재생 약물은 캡틴의 혈청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토니는 캡틴을 풀어주고, 당연히 5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줄 모르는 그는 탈튼은 괜찮냐고 물으며 토니를 혼란스럽게 한다. 이후에 토니가 그에게 5년 동안 잠들어 있었다고 말하며[9] 캡틴은 실험실을 탈출할 방법을 찾는 토니를 따라가면서 조금씩 기력을 회복한다. 이후 둘은 탈출 포드를 겨우 찾아 탈출하고, 거기서 토니가 캡틴에게 키메라의 원자로를 왜 파괴했냐고 묻자, 키메라의 테리젠 원자로가 샌프란시스코 만 아래에 있는 뭔가와 공명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샌안드레이스 단층 전체가 반응할 수도 있었다며 캘리포니아의 인구를 구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답한다.

3.29. 마블 퓨처 레볼루션

파일:캡아10.png


[1] 마블 코믹스의 주 배경이 되는 세계. [2] 엑스맨: 칠드런 오브 디 아톰, 마블 슈퍼 히어로즈(게임), 엑스맨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마블 VS 캡콤, 마블 VS 캡콤 2, 마블 VS 캡콤 3(& 얼티밋),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 [3] 그래도 백대시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빠르다. [4] 캡틴의 승리 대사. [5] 마블과의 VS. 시리즈에서 캡틴 아메리카의 돌진 난무계 초필살기 레벨 1 하이퍼 콤보. 마블 VS 캡콤 3(& 얼티밋)에서는 레벨 3 하이퍼 콤보로 변경됐다. [6] 캡틴 자체의 테마곡은 신규 마블 사이드 캐릭터들을 제외한 마블 VS 캡콤 3(& 얼티밋)까지 함께 참전한 마블 사이드 캐릭터들과 함께 인피니트에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전 음악이 재활용 되는 걸 보면 명실상부 마블과의 VS. 시리즈 인기 테마곡. [7]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실루엣과 묘하게 개그스러운 자세를 보면 좀비 잡는 신문 기자 프랭크 웨스트일 것 같기도. [8] 5년 동안 비밀번호를 바꾸지 않았는데, 그 암호는 'I AM IRON MAN'이었다... [9] 그러면서 "그 정도면 너한테는 짧은 낮잠 수준이지"라고 덧붙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