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1:10:53

관령

칸레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wiki style="" }}}
가마쿠라 시대 {{{#!wiki style="" }}}
무로마치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


1. 개요2. 상세3. 같이보기

1. 개요

管領(관령)

무로마치 막부 쇼군 다음가는 고위 역직으로 초기에는 집사로 불렸다가 바뀌었으며, 쇼군을 보좌하여 막부의 정치를 통솔하는 위치였다. 즉 아시카가 가문의 집사, 총관, 청지기, 궁재와도 같은 사조직이면서 막부의 재상과도 같은 존재였다. 막부 쇼군 아시카가 가문의 분파인 호소카와, 시바, 하타케야마 가문이 번갈아서 취임했기에 3관령(3관)으로 불렸다.[1]

2. 상세

무로마치 시대의 삼관사직 체제는 전국시대에 들어가면서 깨져 사실상 호소카와 가문이 관령직을 독점했고, 정이대장군을 허수아비로 두며 실권을 행사했다. 나중에는 이 자리를 두고 호소카와 가문 내에서 싸움까지 발생했다. 관령이였던 호소카와 마사모토의 암살 이후 양자들이 서로 계승권을 주장한 것이 그것으로, 이는 아시카가 요시타네, 아시카가 요시즈미 쇼군의 싸움과 맞물렸다.

결국 이 1차전에서 서국의 강자 오우치 요시오키와 손잡은 호소카와 타카쿠니가 승리했으나, 패배해서 최후를 맞은 호소카와 스미모토의 아들 호소카와 하루모토가 세력을 키워 역습을 가해 타카쿠니를 몰아내고 관령이 되었다.[2]

그 뒤 하루모토도 가신 미요시 나가요시에 의하여 밀려나게 되었고, 그 뒤의 관령들은 미요시의 꼭두각시가 되었으며 미요시 가문이 쇠퇴하자 미요시 가문의 가신 마츠나가 히사히데가 실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이후 오다 노부나가 상락으로 관령직 및 막부는 무력화되었고 이어서 무로마치 막부는 멸망했다.

관령이라는 호칭은 가마쿠라 시대에도 사용되었다. 집권을 관령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며, 집권직을 독점한 호조씨의 직속가신들인 어내인(御内人)들의 수장은 내관령(内管領)이라는 직책을 받았다.

3. 같이보기



[1] 여기에 사무라이도코로(侍所)의 장관인 도닌(頭人)에 임명되었던 아카마쓰, 잇시키, 교고쿠, 야마나 네 가문과 결합해 삼관사직(三管四職)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여기에 대해 이설도 있다. 이후에 아시카가 요시테루 쇼군이 롯가쿠 사다요리에게 간레이 대리인 관령대(管領代)를 맡긴 것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