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5-12 12:21:5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
Stele for Buddhist Monk Beopgyeong at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6번지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건축시기 고려시대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1.jpg
<colbgcolor=#315288>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1. 개요2. 역사3. 보물 제17호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6번지에 위치한 비석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됐다.

2. 역사

신라말·고려초 승려 법경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정토사는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측되며 법경대사가 이 절의 주지가 되어 제자들을 양성했다고 한다. 법경대사가 941년 고려 태조때 입적을 하자 그의 뒤를 이어 홍법대사가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2.jpg
<colbgcolor=#315288>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윗쪽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8.jpg
파일: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3.jpg.jpg
<colbgcolor=#315288> 비문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5.jpg
<colbgcolor=#315288> 꽃무늬

이 비석은 전체적으로 잘 보존이 되어 있고당시 양식을 잘 따르고 있다. 비받침에 새겨진 거북조각이나 머릿돌의 용조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머릿돌 앞면 중앙에 "법경대사"라는 비석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 비석의 몸돌에는 법경대사의 행적이 자세히 새겨져 있는데, 비문에 따르면 그는 통일신라 879년 헌강왕때에 태어나 어린 시절 불교의 법을 배우고 20세에 불가에 입문했다고 전한다.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4.jpg
파일: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6.jpg
<colbgcolor=#315288> 거북머리

이후 906년 당나라에 들어가 도건대사에게 배우고 그 이후 924년 신라로 귀국했다. 경애왕은 그를 국사로 대우하여 정토사의 주지로 임명하였고, 941년 고려 태조때 법경대사가 63세로 입적하자 태조는 그의 시호를 법경으로, 탑의 명칭은 자등이라 내렸다고 한다.

943년 태조는 그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이 비석을 세우고 비문은 당시의 문장가 최언위가 지었고 유명한 서예가였던 구족달이 글씨를 썼다.[출처]

3. 보물 제17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7호
정토사터에 전하고 있던 비(碑)로, 신라말·고려초의 승려 법경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정토사는 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법경대사가 이 절의 주지가 되어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다가 태조 24년(941)에 입적하자, 그의 뒤를 이어 홍법대사가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비는 전체적으로 보존이 잘 되어 있으며, 당시의 양식을 잘 따르고 있어, 비받침에 새겨진 거북조각이나 머릿돌의 용조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머릿돌 앞면의 중앙에는 ‘법경대사’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비의 몸돌에는 대사의 행적이 자세히 새겨져 있다.

법경대사는 통일신라 헌강왕 5년(879)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불교의 법을 배워 20세에 불가에 입문하였다. 906년에 당나라에 들어가 도건대사에게 가르침을 받고, 924년에 귀국하였다. 경애왕은 그를 국사로 대우하여 정토사의 주지로 임명하였고, 고려 태조 24년(941)에 63세로 입적하자 태조는 시호를 ‘법경’, 탑이름을 ‘자등’이라 내렸다.

태조 26년(943)에 그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이 비를 세웠고, 비문은 당시의 문장가 최언위가 지었으며, 유명한 서예가였던 구족달(仇足達)이 글씨를 썼다.

※ 현재는 충주댐 건설로 인해 인근 지역에 이전하여 보존 관리되고 있다.

4. 둘러보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의 문화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충주 고구려비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보물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철조여래좌상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선림보훈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사적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장미산성 숭선사지
누암리 고분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명승 ||
탄금대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민속문화재 ||
충주 윤양계 고택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등록문화재 ||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유형문화재 ||
충주 경종 태실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충주향교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충주 청녕헌 충주 제금당
충주 축성사적비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충주 최응성 고가 삼탄집 충주 오갑사지 석조여래좌상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심현담요해 지리신법
평산신씨 종가 고문서 충주 이수일 신도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 충주 청룡사 위전비
불설사십이장경 인천안목 권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유백증 정사공신교서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귀부 충주 창동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충렬사비 묘법연화경 임경업 추련도
충주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사각석등 충주 혜원정사 석불좌상 및 복장유물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8 묘법연화경 권1 묘법연화경 권1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기념물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충주 박팽년 사당 충주산성
충주 대림산 봉수 충주 문주리 요지 충주 미륵리 요지
대림산성 충주 주정산 봉수 충주 김생사지
충주 조동리 고인돌 충주 조동리 유적 충주 팔봉서원
충주 신청리 고인돌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충주 견학리 토성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문화재자료 ||
충주 영모사 충주 숭선사지 당간지주 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청룡사지 석종형승탑
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충주 이시진 효자각 충주 수회록
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충주 봉불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한남군 사당
조웅 선무원종공신녹권

}}}}}}}}} ||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