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22:08:25

최대 산소 섭취량

1. 개요2. 상세 설명3. 중요성4. 측정 방법5. 최대산소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6. 관련 개념

1. 개요

최대 산소 섭취량(VO2max)은 사람이 흡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을 산소의 부피(ml)/단위체중(kg)/단위시간(min)의 세가지 항목으로 측정해 산출해 낸 수치로, 유산소성 운동 능력을 가늠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2. 상세 설명

사람이 운동을 할 때, 낮은 강도로 오랜 시간 동안 운동(예:걷기)을 할 때는 지방과 글리코겐을 사용하는 산소성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든다. 그러나 운동의 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 올라가면 근육이 공급받을 수 있는 산소 양보다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이 더 많게 되어 산소성대사만으로는 에너지를 충분히 만들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근육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큰 에너지를 조달할 수 있는 근글리코겐과 크레아틴인산[1]을 사용해 무산소성대사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량의 젖산(Lactic acid)이 축적되게 되고 근육이 빨리 지치게 된다. [2] [3] 따라서, 이때 근육이 공급받을 수 있는 산소의 최대치가 곧 최대 산소 섭취량이라고도 이해할 수 있다. 최대 산소 섭취량은 유전자, 연령, 운동 상태, 측정할 때 이용하는 운동 방식(수영, 사이클, 달리기 등), 성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중요성

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 종목들(마라톤, 사이클, 크로스컨트리 등)에서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고 그런 종목들의 운동선수들은 일반인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높은 VO2max수치를 드러내지만, 엘리트 선수급까지 올라간다면 단순히 최대 산소 섭취량보다는 영양관리, 최대 산소 섭취량에 도달했을 때의 이동속도, 젖산역치 등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가대표급 선수들의 종목별 평균적인 최대 산소 섭취량을 나타낸 표
종목 VO2max(남) VO2max(여)
일반인 44 39
축구선수 62 -
사이클리스트 74 53
마라토너 79 58
조정선수 62 52
스피드스케이터 76 54
크로스컨트리 스키어 83 64

4. 측정 방법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러닝머신과 가스분석기를 이용한 설비가 있는 스포츠의학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1억 여원을 호가하는 이 장비를 보유한 기관은 드물고 비용도 비싸다. 그 대신에 우리는 '록포트의 걷기 테스트(rockport walking test)', '쿠퍼의 지구력 테스트' 등 여러가지 대안적인 방법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최대산소섭취량을 산출해낼 수도 있다.

5. 최대산소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1. 인터벌 트레이닝
2.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할 수 있는 저강도의 유산소 운동
3. 기타 등등

6. 관련 개념


[1] creatine phosphate;근육 속에서 ATP와 평형으로 존재하면서 근육 수축 시에 필요한 ATP를 공급한다.-네이버 지식백과 [2] 물론 최대산소한계점을 지나지 않더라도 현실적으로는 젖산이 많이 쌓이게 되는데 이는 젖산 역치(lactate threshold-줄여서 LT라고도 함) 또는 무산소 역치(anerobic treshold)와 관련이 있다. [3] 이것이 흔히 얘기하는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