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8:43:04

체외역박동치료

1. 개요2. 상세
2.1. 효능2.2. 원리2.3. 역사

1. 개요

체외역박동 치료(Enhanced External Counter Pulsation, EECP)는 심장으로 향하는 혈액량을 증가시켜 신체의 주요 장기에 혈액과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심혈관 질환 및 뇌와 관련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기법입니다.

2. 상세

2.1. 효능

EECP는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동맥경화, 뇌혈관 질환 등 위험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 큰 효과를 보이며,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치매, 수족냉증, 발기부전 등 다양한 증상을 개선하는 데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치료는 심장 허혈이 의심되는 환자,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 그리고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1.효과적인 혈압 조절: 심장 수축 및 이완 단계에서 다리에 부착된 매끄러운 매듭이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에 부하를 줄입니다.

2. 혈액 순환 개선: 다리 근육의 역박동과 해제를 통해 심장에 추가적인 혈류를 유도하여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을 개선합니다.

3. 비침습적: 특별한 수술이나 침습적 절차 없이 실시됩니다.

4. 치료 효과: 일정한 세션을 통해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협심증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2. 원리

1. 역박동 (Counterpulsation): ECP는 심장이 수축할 때 (심근수축), 다리에 부착된 압박 매끈막대를 사용해 다리의 맥박과 동기화하여 역박동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리 근육이 수축함에 따라 혈액이 다리로 밀려가고, 심장이 이완할 때 (심근이완) 다리의 압박이 해제되어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흐릅니다.

2. 혈류 향상: 이 과정은 심장에게 추가적인 혈류를 유도함으로써 심장의 혈압을 낮추고 산소를 공급합니다. 이는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협심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3. 역사

1. 1960년대: ECP의 초기 형태는 1960년대에 개발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심장 수술 후 혹은 심장 이식 후에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 장치로 사용되었습니다. 초기 장치들은 상대적으로 원시적이었고, 기술적으로 발전해야 할 여지가 많았습니다.

2. 1980년대: ECP 기술은 상업적으로 제품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기간에 다양한 연구들이 실시되어 ECP가 협심증 환자의 증상 개선에 유효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장치와 프로토콜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면서,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이 점차 입증되었습니다.

3. 1990년대: ECP는 심장 재활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했습니다. 협심증 환자뿐만 아니라, 심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도 사용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장기간의 임상 연구들이 ECP의 장점을 입증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4. 현재: 현재에 이르러서도 ECP는 심장 치료의 중요한 보조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기술적 발전을 통해 장치의 효율성과 사용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다양한 심장 장애에 대한 임상적 증거가 계속 쌓이고 있습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