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6:43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50번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1. 개요2. 50번 (소계동-소계동(순환)) (폐선)3. 51번 (소계동-소계동(순환)) (폐선)4. 52번 (월영아파트-소답동) (폐선)5. 53번 (경남대학교-불모산동) (폐선)6. 54번 (대방동-신촌동)7. 55번 (신촌동-신촌동(순환)) (폐선)8. 56번 (신촌동-신촌동(순환)) (폐선)9. 56-1번 (석교-농산물시장)10. 57번 (청솔아파트-소계동)11. 58번 (장유-창원대(순환))12. 59번 (장유-창원대(순환))

1. 개요

50번대 노선은 주로 구. 창원시(현재의 의창구/성산구) 지역을 중심으로 순환하는 노선들이 부여받던 번호대였다.

2. 50번 (소계동-소계동(순환)) (폐선)

소계동 → 구암동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삼익아파트 → 사파대동아파트 → 법원.검찰청 → 경남도청 → 사격장입구 → 봉곡동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소계동

과거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51번과 함께 소계동(경상고등학교)을 기점으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초창기에는 삼동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창원공고, 두대동, 충혼탑 등을 경유한 뒤 올림픽공원으로 갔으나[1] 1991년 중반부터 삼동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바로 올림픽공원으로 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1992년경에 폐선되었다.

3. 51번 (소계동-소계동(순환)) (폐선)

소계동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봉곡동 → 사격장입구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사파대동아파트 → 삼익아파트 → 가음정동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세원중기 → 신촌동 → 봉암교 → 수출후문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동

과거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50번과 함께 소계동(경상고등학교)을 기점으로 운행하던 노선으로 초창기에는 삼동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충혼탑, 두대동, 창원공고 등을 경유한 뒤 세원중기로 갔으나[2] 1991년 중반부터 삼동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바로 세원중기로 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1992년경에 폐선되었다.

4. 52번 (월영아파트-소답동) (폐선)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대동씨코아 - 돝섬터미널 - 해안도로 - 대우백화점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소답동 방면)/윤병원(월영아파트 방면) - 소답동

13, 14번의 해안도로 경유 및 소답동 단축 버전 노선이었다. 원래는 대동씨코아 경유가 아닌 문화동 경유 해안도로 진입에 삼익맨션-신포동 구간을 일직선으로 다니던 노선이었다. 해안도로를 제외한 구간이 13, 14번과 중복이어서 배차간격은 역시 좋지 못한 편이었다. 1997년 대우백화점 개장 이후에는 신포동 대신 대우백화점을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2004년 1월 26일, 64번 노선 신설을 위해 폐선되었다.

5. 53번 (경남대학교-불모산동) (폐선)

경남대학교 - 돝섬터미널 - 해안도로 - 어시장 - 성안백화점[3]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경창상가 - 삼일상가 - 창원시청 - 은아아파트 - 삼익아파트 - 가음정동 - 남산아파트 - 삼정자동 - 한국전기연구원 - 불모산동

52번과 함께 1992년까지 해안도로 및 돝섬터미널을 경유하는 유이한 노선이었다.[4] 단, 52번에 비해 장거리라 배차간격이 불리했으며 중고교 소풍시즌에만 만차를 기록하기도 했다. 또, 경남대학교에서 출발할 때 대동씨코아가 아닌 문화동을 경유한 뒤 해안도로로 진입하였다.

1992년경 18-1번 노선 신설 때 폐선되었다.

6. 54번 (대방동-신촌동)

54번 노선도
대방동 - 남산동 - 대동백화점 - 수협도지회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사림동주민센터 - 사격장입구 - 대동그린코아 - 창원컨트리클럽입구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윤병원 - 창원역 - 소계시장 - 구암동주민센터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첫차는 대방동 5시 45분, 신촌동 5시 30분
막차는 대방동 22시 03분, 신촌동 21시 45분
9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5회 운행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 신설된 노선으로, 신설 당시 노선은 경남대학교를 출발하여 어시장, 고속터미널, 창원대로, 정우상가, 창원남고 등을 경유하는 노선[5]이었으나 1992년경에 폐선되었다가 1995년경에 신촌동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부활되면서 위와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54번이 신촌동으로 운행하게 되면서 1992년경 폐선된 50번 및 51번과 노선 선형이 비슷해졌다. 이는 50번 및 51번의 종점인 소계동 종점이 주택가 다리 위에서의 정차 등의 이유로 좁은 탓에 폐선되면서 대체 기능을 하게 되었는데 그 50번 및 51번과는 달리 경상고등학교 쪽으로는 가지 않고 소계시장에서 바로 구암동 방향으로 운행하였다.

신촌동에서 구암동 방향으로 나오는 거의 유일한 노선인데다, 소계동이나 봉곡동, 사림동 등지에서 창원시내로 나오는 유일한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배차가 매우 좋지 못했다. 9대 26분 간격으로 안그래도 적은 차량 댓수에, 당시 봉암로의 살인적인 정체에 장거리, 굴곡 노선이라는 4중타로 한 시간에 한 대라도 오면 다행이고, 실제로는 배차간격이 글자 그대로 랜덤이었던 노선이다. 버스정보시스템 그딴 거 없었다. 오면 타고, 안 오면 말고. 노선 형태만 보면 경기광주 버스 720-1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근데 얘는 빗자루질이라도 하고 승객수도 2~3등은 하는 녀석이지

개편 때 공중분해 되어 창원 구간은 창원 버스 100이, 마산 구간은 창원 버스 162가 대체하게 된다.

7. 55번 (신촌동-신촌동(순환)) (폐선)

신촌동 → 세원중기 → 충혼탑 → 대원경남아파트 → 창원공고 → 농산물도매시장 → 창원터미널 → 창원여중 → 윤병원 → 도계주유소 → 명지여고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반지동사무소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양초등학교 → 알뜰생활관 → 가음정동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세원중기 → 신촌동

1996년경 56번을 순환노선으로 변경하면서 56번의 역순환 노선으로 신설된 노선이다. 원래 노선은 신촌동을 출발하여 봉암교를 거쳐 창원천을 끼고(지금의 무역로 경유) 농산물시장으로 운행하였으나, 약 1년 뒤에 위 노선으로 변경된다.

여담으로 56번과 더불어 농산물도매시장 경유 코스가 다른 노선과는 달랐는데, 창원공고에서 용원교차로 방향으로 쭉 직진 한후 농산물도매시장을 한바퀴 끼고 돈 후 다시 용원교차로로 되돌아와 창원터미널로 가는 코스였다. 이 때 55번과 56번의 농산물시장을 도는 방향은 동일했었다.

2000년경 수요 저조 및 57번 신설로 폐선되었다.

8. 56번 (신촌동-신촌동(순환)) (폐선)

신촌동 → 세원중기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알뜰생활관 → 남양초등학교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반지동사무소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지여고 → 도계초등학교 → 윤병원 → 창원여중 → 창원터미널 → 농산물도매시장 → 대원경남아파트 → 충혼탑 → 세원중기 → 신촌동

원래 먼 옛날에는 소계동 - 한국중공업(현, 두산에너빌리티)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6]이었으나, 1990년대 초반 도계동으로 한 차례 단축 된 후[7][8] , 1996년경 55번 신설과 함께 신촌동으로 단축, 순환노선화 되었다. 그와 동시에 창원남고, 가음정동, 대동백화점 등으로 확대 운행하면서, 기존의 삼일상가 및 창원호텔에는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원래 노선은 농산물시장에서 창원천을 끼고(지금의 무역로 경유) 봉암교를 거쳐 신촌동으로 운행하였으나, 약 1년 뒤에 위 노선으로 변경된다.

여담으로 55번과 더불어 농산물도매시장 경유 코스가 다른 노선과는 달랐는데, 창원터미널에서 용원교차로 방향으로 쭉 직진 한후 농산물도매시장을 한바퀴 끼고 돈 후 다시 용원교차로로 되돌아와 창원공고 방향으로 가는 코스였다. 이 때 55번과 56번의 농산물시장을 도는 방향은 동일했었다.

2000년경 수요 저조 및 57번 신설로 폐선되었다.

9. 56-1번 (석교-농산물시장)

석교 - 삼귀동 - 용호 - 두산중공업 - 제5부두 - 적현 - 신촌동 - 세원중기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문성고등학교 - 명곡로타리 - 창원공고 - 농산물시장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이후 역순)

첫차는 석교 7시 10분, 농산물시장 7시 35분
막차는 석교 21시, 농산물시장 21시 25분
1대가 17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1990년대 초반 56번이 도계동으로 단축되면서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56번의 삼귀동 연장판 노선으로 도계동-삼귀동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1996년경 56번이 순환노선화 되면서 농산물시장으로 종점 변경 및 석교마을로 연장되었다. 이 때 당시 석교마을 방향은 용호마을 경유, 농산물시장 방향은 두산중공업 공장 내부도로 경유로 상.하행이 다르게 운행하였으나, 두산중공업 내부도로 경유 문제 때문에 용호 - 삼귀동 구간을 이어주는 도로가 신설된 이후 용호마을 양방향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기점인 석교마을과 종점인 농산물시장 모두 기사 편의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식사 시간때는 석교마을 방향 신촌동 양곡상가 앞이 중간기점 역할을 했었다. 이 곳에서 약 20~30분간 정차하면서 기사 식사 문제를 해결한 것.

개편 때 노선이 직선, 단순화 되어 창원 버스 216이 되었다.

10. 57번 (청솔아파트-소계동)

청솔아파트 - 신우에이스타운 - 성주사역 - 남산아파트 - 알뜰생활관 - 남양초등학교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문성고등학교 - 상북초등학교 - 명지여고 - 도계초등학교 - 윤병원 - 창원여중 - 사화초등학교 - 팔용동입구 - 칠성주유소(소계동방향만) - 소계동

첫차는 청솔A 5시 40분, 소계동 5시 40분
막차는 청솔A 22시 40분, 소계동 22시 40분
7대가 20분 간격으로 하루 53회 운행하였다.

2000년경 55번, 56번이 폐선되면서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사화초등학교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얼마되지 않아서 소계동으로 연장되었다. 소계동으로 연장될 당시 처음에는 창원역을 경유하면서 사화초등학교를 미경유하였으나, 얼마되지 않아 창원역 미경유 및 사화초등학교 경유로 또다시 변경되었다. 청솔아파트, 소계동과 명지여고 쪽에서 창원 시내를 다이렉트로 나와주는 노선이라 수요는 나쁜 편이 아니었으나, 파행운행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땡땡이를 종종 치던 노선 중 하나였다. 신설 초기에는 10~15분 간격 80회를 운행했으나 2002년 상반기 개편으로 59회로 감차하고 2002년 하반기 개편으로 53회로 감차하였다.

도계동 안길과 명지여고를 연속으로 돌아 들어가는 노선이라, 이 사이 구간에서는 서부경찰서 정류장을 쿨하게 생략하고(...) 명서초등학교 앞길을 통해 바로 질러 가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었다.

개편 때 충혼탑, 창원공고 드리프트를 만들며 창원 버스 212가 되었다가, 얼마 안 있어 원상복구되었다. 복구 당시 상북초등학교와 명지여고는 경유하지 않았으나 2023년 6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는 명지여고를 다시 경유하게 되었다. 2023년 8월 26일부터는 거의 초창기 시절의 노선으로 돌아가며 또다시 명지여고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며,[9] 그와 동시에 기종점이 불모산동( 성주공영차고지)으로 바뀌면서 청솔아파트를 비롯한 성주동 및 안민동 일대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11. 58번 (장유-창원대(순환))

장유석봉마을 - 장유농협 - 장유온천 - 대청마을 - 능동삼거리 - 창원터널 - 불모산동 - 남산동 - 남산고등학교 - 대방동 - 대방대동아파트 - 사파동사무소 - 법원.검찰청 -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 - 사격장입구 - 지귀상가 - 창원공고 - 창원터미널[10] - 충혼탑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수협도지회 - 상남동 - 웅남초등학교 - 대동백화점 - 남산고등학교 - 남산동 - 불모산동 - 창원터널 - 대청마을 - 장유온천 - 장유농협 - 장유석봉마을

첫차는 장유 6시, 창원대 6시 20분
막차는 장유 22시, 창원대 22시 40분
7대가 20분 간격으로 하루 49.5회 운행하였다.

2002년 3월 1일 59번과 함께 대방동을 기점으로 하는 순수 창원시 순환노선으로 신설되었으나, 마창8개사가 김해시 97, 98번의 독단적인 지내동 연장에 항의하여 97, 98번에서 철수하면서 마침 공기를 수송하던 이 노선을 2002년 9월 1일부로 장유로 연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연장된 지 오래 지나지 않아, 이 노선과 59번도 김해시에서 공동배차 비슷하게 운행하게 된다.

개편 때 마창8개사 차적의 58번은 창원대학교로 단축되어 창원 버스 171이 되었다가 창원 버스 170에 흡수되었다. 김해시 차적의 58번은 김해 구간만 연장, 변경되어 김해 버스 58으로 여전히 운행중이다.

여담으로 개편 전 58번의 간격은 20분이었으나 171번으로 개편한 뒤 40분으로 간격이 대폭 상승하였다.[11]

12. 59번 (장유-창원대(순환))

장유석봉마을 - 장유농협 - 장유온천 - 대청마을 - 능동삼거리 - 창원터널 - 불모산동 - 남산동 - 남산고등학교 - 사파삼익아파트 - 웅남초등학교 - 상남동 - 수협도지회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충혼탑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12] - 지귀상가 - 사격장입구 - 창원대학교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사파동사무소 - 대방대동아파트 - 대방동 - 남산고등학교 - 남산동 - 불모산동 - 창원터널 - 대청마을 - 장유온천 - 장유농협 - 장유석봉마을

첫차는 장유 6시 10분, 창원대 5시 50분
막차는 장유 22시 10분, 창원대 21시 50분
7대가 20분 간격으로 하루 49회 운행하였다.

2002년 3월 1일 58번과 함께 대방동을 기점으로하는 순수 창원시 순환노선으로 신설되었으나, 마창8개사가 김해시 97, 98번의 독단적인 지내동 연장에 항의하여 97, 98번에서 철수하면서 마침 공기를 수송하던 이 노선을 2002년 9월 1일부로 장유로 연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연장 된지 오래 지나지 않아, 이 노선과 58번도 김해시에서 공동배차 비슷하게 운행하게 된다.

개편 때 마창8개사 차적의 59번은 노선이 직선화, 창원대학교로 단축되어 창원 버스 170이 되었다. 김해시 차적의 59번은 김해 구간만 연장, 변경되어 김해 버스 59으로 여전히 운행중이다.

여담으로 개편 전 59번은 20분 간격이었으나 개편 후 25분 간격으로 배차간격이 소폭 증가하였다.[13]


[1] 당시 50번 노선은 소계동 → 구암동 → 마산시외터미널 → 마산역 → 마산고속터미널 → 수출후문 → 봉암교 → 신촌동 → 세원중기 → 공단회관 → 창원공고 → 두대동 → 충혼탑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삼익아파트 → 사파대동아파트 → 법원.검찰청 → 경남도청 → 사격장입구 → 봉곡동 → 지귀상가 → 상북초등학교 → 명서동 → 도계주유소 → 사단앞 → 창원역 → 소계동 으로 운행하였다. [2] 당시 51번 노선은 소계동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봉곡동 → 사격장입구 → 경남도청 → 법원.검찰청 → 사파대동아파트 → 삼익아파트 → 가음정동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충혼탑 → 두대동 → 창원공고 → 공단회관 → 세원중기 → 신촌동 → 봉암교 → 수출후문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소계동 으로 운행하였다. [3] 현재의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4] 53번 노선이 운행할 당시에는 좌석 302번이 해안도로로 다니기는 했지만 그냥 마산시청 방향 중복노선 해소 차원이었으므로 해안도로에서는 거의 빈차였다. [5] 당시 54번 노선은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성안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명곡로타리 - 문성고교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중앙대로 - 상남시장(대방동 방면)/경창상가(경남대학교 방면)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남산아파트 - 대방동으로 운행하였다. [6] 당시 56번 노선은 소계동(경상고등학교) - 창원역 - 소답동 - 도계주유소 - 명곡동 - 상북초등학교 - 지귀상가 - 반지동 - 반송1·2단지 - 정우상가 - 삼일상가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세원중기 - 신촌동 - 적현 - 제5부두 - 한국중공업 으로 운행하였다. [7] 56번만 도계초등학교를 운행한 것은 이 때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8] 50/51번 폐선에 이어 56번까지 단축되면서, 한동안 소계동에서 창원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 없어 소계동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는 54번이 재신설되고서야 해결된다. [9] 단, 지귀상가 및 반송로 일대는 여전히 경유한다. [10] 창원공고의 경우 정문 앞에 위치한 정류소에 정차하며, 창원종합터미널 후문도 경유했다. [11] 개편 전 58, 59번은 창원차적의 7대와 김해차적의 1대로 총 8대 20분의 간격으로 통합배차가 10분이었으나 개편 후엔 58, 59 통합간격이 30분으로 늘어나고 170번도 25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개편 전보다 개편 후 배차가 더욱 줄어드는 아이러니한 상황 [12] 창원공고의 경우 정문 앞에 위치한 정류소에 정차하며, 창원종합터미널 후문도 경유했다. [13] 개편 전 58, 59번은 창원차적의 7대와 김해차적의 1대로 총 8대 20분의 간격으로 통합배차가 10분이었으나 개편 후엔 58, 59 통합간격이 30분으로 늘어나고 170번도 25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개편 전보다 개편 후 배차가 더욱 줄어드는 아니러니한 상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