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9:35:21

진 격퇴자 레이징랩트 드래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격퇴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초월(카드파이트!! 뱅가드)
, 격퇴자 레이징폼 드래곤
,
,
,
,



1. 개요
1.1. 설명
2. 업데이트
2.1. 크레스트
3. 설정4. 수록 팩 일람


1. 개요

파일:gbt09_006.png 파일:gbt09_113.png
RRR SP
한글판 명칭 진 격퇴자(트루 리벤저) 레이징랩트 드래곤(미발매)
일본판 명칭 真・撃退者(トゥルー・リベンジャー) レイジングラプト・ドラゴン
G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국가
4(트리플 드라이브!!!) 15000+ - 쉐도우 팔라딘 어비스 드래곤 1 유나이티드 생츄어리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 : - 스트라이드 스텝 -【자신의 패에서 그레이드 합계가 3 이상이 되도록 1장 이상 버린다.】뒷면 표시의 이 카드를 뱅가드 서클에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한다.
【자동】【뱅가드 서클】【[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 【카운터 블래스트 (1), 소울 블래스트 (1), 자신의 패에서 그레이드 3의 〈어비스 드래곤〉을 2장 선택해, 버린다. 자신의 리어가드를 2장 선택해, 퇴각시킨다.】 이 유닛이 어택한 배틀 종료시, 자신의 「레이징」을 포함한 하츠 카드가 있다면, 코스트를 지불할 수 있다. 지불하면, 이 유닛을 G존에 앞면으로 두고, 자신의 G 존에서 뒷면의 「진 격퇴자 레이징랩트 드래곤」을 1장 선택해, 뱅가드 서클에 【스탠드】로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하고, 그 턴 중, 드라이브 -1.
「끊기는 일 없는, 암영의 분노.」

1.1. 설명

천무용신에서 나오는 격퇴자의 두번째 G 유닛. 이름의 진 격퇴자는 트루 리벤저라고도 읽을 수 있다. 이름의 랩트(rapt)는 '완전히 몰입한, 넋이 빠진'이라는 뜻의 영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직역하면 분노에 완전히 몰입한 용

격퇴자 레이징폼 드래곤의 초월 버전 리메이크 유닛. 원판과 다른 효과를 갖고 나온 레버넌트와 다르게 원본의 슈페리얼 페르소나 라이드와 유사한 효과를 갖고 있다.

리미트 브레이크 4 충족 상태에서 어택하면, 어택한 배틀 종료시 1카블+1소불+패의 그레이드 3 〈어비스 드래곤〉 2장 드롭+리어가드 2장 퇴각시키고 자신은 G 존에 앞면 상태로 돌아가고, 대신 뒷면으로 놔둔 동명 카드를 초월시키고 드라이브 체크 횟수를 1 감소시킨다.

심지어 이 스킬엔 턴 1회 제한이 붙어있지 않음으로 코스트만 있다면 얼마든지 발동 가능하다! 거기다가 드라이브 체크 감소는 중첩되지 않으므로 여러번 사용해도 2회 밑으로는 떨어지지 않는다. 퇴각할 리어가드에 대한 명칭지정도 없으므로 귀안의 마도사 아루슬 같은 걸 사용해도 문제없음. 조건만 잘 맞추면 뱅가드 4연타로 상대를 훅 가게 만들 수도 있는 무서운 카드.

단 이렇게 마냥 좋아보이는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단점은 널리고 깔렸는데, 레이징 폼과 마찬가지로 트리거 효과를 보존하지 못한다는 점은 기본, 추가 파워도 존재하지 않으며 드라이브 체크 회수도 1회차 이후로는 1 감소되어 2회까지밖에 안되고, 무엇보다 그레이드 3 어비스 드래곤 2장을 버려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다. 격퇴자 슬레이핵스 드래곤[1]과 혈기의 격퇴자 마울[2]을 사용하면 최소 2장은 확보 가능하지만 이 시점에서 이미 카블 2개를 소모했다. 그 외에 자신의 카드 효과로 퇴각되었을 경우 카블 1을 소모해 그 턴 한정의 시한부 그레이드 1을 콜하는 격퇴자 다크블래스 엔젤도 있고, 안 그래도 카블 회복 수단이 거의 전무한 격퇴자인데 한 턴에 소모되는 카블 수가 너무 빡빡하다. 1턴에 모든 화력을 쏟아붓고 나면 다음 턴까지 살아 남는다 쳐도 할 수 있는게 전무해진다. 카블은 거의 다 소모했고 레이징폼 자체 효과를 발동하기에는 리어가드 확보도 어려운데다 무엇보다 이미 덱에서 레이징폼을 끌어다 쓴 상태인지라 슈페리얼 페르소나 라이드하는 것도 요원한 일.

결과적으로 좋게 말하면 4연타로 1턴 안에 끝장낼 수 있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형 카드, 나쁘게 말하면 레이징폼의 스킬을 초월판으로 재현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코스트 및 리스크가 덩달아 늘어버린, 이래저래 결함투성이 카드라 할 수 있겠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안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코스트를 확보하고, 미리 확보해둔 코스트를 사용해 랩트 4연격을 날림으로서 단 한턴에 승부를 보는 방식의 전용 덱을 짜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4연격을 날리기 위해 그레이드 3을 6장 패에 집을 수 있을지는...[3] 하지만 코스트 확보에만 성공한다면 게임을 터트릴 수 있다.

[4]

2. 업데이트

파일:dzps02_019.png
한글판 명칭 트루 리벤저 레이징랩트 드래곤(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 [ruby(真・撃退者, ruby=トゥルー・リベンジャー)] レイジングラプト・ドラゴン
G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국가
4(트리플 드라이브) 15000+ - 쉐도우 팔라딘 어비스 드래곤 1 유나이티드 생츄어리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스트라이드 스텝-【코스트】[패에서 그레이드 합계가 3 이상이 되도록 1장이상, 버림]으로, 뒷면인 이 카드를 뱅가드 서클에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한다.
【기동】【G존】: 자신의 뱅가드가 【[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능력을 가진 그레이드 3의 「 리벤저 레이징폼 드래곤」이고, 이 파이트에서 자신이 이매지너리 기프트를 얻지 않았다면, 【코스트】[패에서 그레이드 3 이상이 되도록 1장 이상 버리는] 것으로, 뒷면 표시의 이 카드를 뱅가드 서클에 초월한다. 다시 【코스트】[G존에서 「리벤저」를 포함하는 카드를 1장 앞면으로 함]으로, 이매지너리 기프트 포스를 2개 얻고, 자신은 「리벤저 레이징폼 드래곤」의 크레스트를 얻는다.
【자동】【뱅가드 서클】【[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 이 유닛이 어택한 배틀 종료시, 자신의 하츠가 「레이징」을 포함하고 있다면,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 (1), 소울 블래스트 (1), 자신의 리어가드를 2장 선택해, 퇴각시키고, 자신의 패에서 그레이드 3의 〈어비스 드래곤〉을 2장 선택해, 버리는] 것으로, 이 유닛을 G존에 앞면으로 두고, 자신의 G 존에서 뒷면의 「트루 리벤저 레이징랩트 드래곤」을 1장 선택해, 뱅가드 서클에 【스탠드】로 【[ruby(초월, ruby=스트라이드)]】하고, 그 턴 중, 드라이브 -1.
『끊기는 일 없는, 암영의 분노.』

P스탠다드덱세트에 재록되면서 업데이트된 버전.

특정 뱅가드가 있을 때 기동능력으로 초월하는 공통효과에 더해 G존의 격퇴자를 1장 앞면으로 돌리는 것으로 격퇴자 레이징폼 드래곤의 크레스트를 얻을 수 있다. 격퇴자 초월은 이 카드와 진 격퇴자 드래그룰러 레버넌트의 2종류 뿐이기에 드래그룰러 레버넌트를 코스트로 쓰는 것을 추천한다.

2.1. 크레스트

파일:dzps02_031.png
한글판 명칭 리벤저 레이징폼 드래곤
일본판 명칭 [ruby(撃退者, ruby=リベンジャー)] レイジングフォーム・ドラゴン
크레스트
【영속】 : 자신의 하츠가 【[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능력을 가진 그레이드 3의 「 리벤저 레이징폼 드래곤」이라면, 자신의 뱅가드 서클의 「트루 리벤저 레이징랩트 드래곤」가 가진 【[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능력의 코스트를 지불할 때, 그 코스트는 『「리벤저」를 포함한 리어가드를 3장 퇴각시킨다』로도 지불할 수 있다.
【영속】 : 【[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능력을 가진 그레이드 3의 원래 파워는 13000이 된다. (하츠 카드도 포함한다)
【영속】 : 자신의 뱅가드의 【[ruby(리미트 브레이크, ruby=LB)]】(4) 능력은 자신의 데미지 존이 3장 이하여도 유효해진다.

하츠의 파워 보정과 LB의 상시 해금은 다른 P 스탠다드 덱 세트의 크레스트들과 동일하지만, 첫번째 영속효과만은 유일하게 하츠의 효과를 얻는 것이 아닌, 레이징렙트 드래곤의 LB 능력의 코스트를 '격퇴자 리어가드 3체 퇴각'으로 대체해서 지불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로 나왔다. 사실상 레이징폼의 슈페리얼 페르소나 라이드 스킬의 코스트를 레이징랩트 드래곤이 대신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코스트만 갖춰진다면 이론상 초월한 턴에 바로 킬각을 노려볼 수도 있다는 뜻.어디까지나 콤보에 필요한 코스트만 계산한 것이고 라이드한 턴이면 레이징폼 1장 소모+초월 코스트도 1장 이상 든다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

다만 기존 레이징랩트와 다르게 코스트에 격퇴자 명칭제한이 붙어버렸고 아직 격퇴자에는 퇴각 코스트 경감 효과를 가진 유닛이 없기 때문에 추후 지원 상태에 따라 코스트를 더욱 완화시킬 수 있을지, 아니면 여전히 리어가드 3체라는 부담을 감안하며 싸워야 할 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3. 설정

미공개.

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천무용신 G-BT09/004 RRR 일본 세계 최초 수록


[1] 그레이드 3에 파워 11000짜리 어비스 드래곤 종족 유닛. 격퇴자 유닛에 라이드해서 뱅가드 서클에 등장하면 카블 1+패 1장 드롭으로 덱에서 레이징폼을 찾아 라이드하고 자신은 패로 돌아간다. 원래 첫 공개시에는 9000이었으나 추후 11000으로 수정. [2] 리어가드 등장시 그레이드 3 이상의 뱅가드가 있다면 에스페셜 카블 1로 그 뱅가드와 동명 카드를 서치. [3] 4연격을 날리기 위해서는 카블 3, 소블 3, 그레이드 3 6장, 2장 코스트 리어가드 3장분이 필요하다. [4] 레이징폼은 덱에 동명 카드가 있을 때만 스탠드 가능이고, 어비스의 경우 레기온한 턴 한정 스탠드이다. 코스트만 있다면 지속적으로 스탠드가 가능한 여타 클랜 유닛들과 비교하면 약하게 보이는 수준. 평범히 뱅스텐을 하려면 얌전히 암흑룡 스펙트럴 블래스터 디아블로를 쓰자. 뱅스텐 효과까진 하츠 지정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