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09:32:17

지나 전투


7년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BCDED,#0E0F37>전쟁 교전세력
교전세력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4일,
프랑스 식민지 군 영국 민병대
머농거힐라 전투
,1755년 7월 9일,
프랑스 영국
조지 호수 전투
,1755년 9월 8일,
영국 프랑스
메노르카 해전
,1756년 5월 20일,
프랑스 영국
로보지츠 전투
,1756년 10월 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캘커타 전투
,1757년 2월 4일,
영국 벵골
라이헨베르크 전투
,1757년 4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하 전투
,1757년 5월 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콜린 전투
,1757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플라시 전투
,1757년 6월 23일,
영국-벵골국 프랑스
하스텐베크 전투
,1757년 7월 2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8월 30일,
러시아 프로이센
모이 전투
,1757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프-프랑수아 해전
,1757년 10월 21일,
프랑스 (무승부) 영국 (무승부)
로스바흐 전투
,1757년 11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11월 22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로이텐 전투
,1757년 12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쿠달로르 해전
,1758년 4월 29일,
프랑스 영국
루이스버그 전투
,1758년 6월 8일,
영국 프랑스
크레펠트 전투
,1758년 6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돔슈테트 공습
,1758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리용 요새 전투
,1758년 7월 8일,
프랑스 영국
잔더스하우젠 전투
,1758년 7월 23일,
프랑스 헤센
네가파탐 해전
,1758년 8월 3일,
영국 프랑스
미어 전투
,1758년 8월 5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조른도르프 전투
,1758년 8월 25일,
프로이센 (무승부) 러시아 (무승부)
생 카스 전투
,1758년 9월 11일,
프랑스 영국
토르노프 전투
,1758년 9월 26일,
프로이센 스웨덴
페흐벨린 전투
,1758년 9월 28일,
스웨덴 프로이센
1차 루텐베르크 전투
,1758년 10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
호크키르히 전투
,1758년 10월 14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구스토우 전투
,1758년 11월 18일,
프로이센 스웨덴
베르겐 전투
,1759년 4월 13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카이 전투
,1759년 7월 23일,
러시아 프로이센
보포르 전투
,1759년 7월 31일,
프랑스 영국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쿠너스도르프 전투
,1759년 8월 12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
라구스 해전
,1759년 8월 18일,
영국 프랑스
조라우 전투
,1759년 9월 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지나 전투
,1759년 9월 8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리셰스 하프 해전
,1759년 9월 10일,
스웨덴 프로이센
퐁디셰리 해전
,1759년 9월 10일,
영국 프랑스
아브라함 평원 전투
,1759년 9월 13일,
영국 프랑스
코르비츠 전투
,1759년 9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1759년 9월 2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막센 전투
,1759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프로이센 스웨덴
풀다 전투
,1759년 11월 30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뷔르템베르크
마이센 전투
,1759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완디와슈 전투
,1760년 1월 22일,
영국 프랑스
생트푸아 전투
,1760년 4월 28일,
영국 프랑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6월 2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코르바흐 전투
,1760년 7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엠스도르프 전투
,1760년 7월 16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바르부르크 전투
,1760년 7월 31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리그니츠 전투
,1760년 8월 1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트레일라 전투
,1760년 8월 20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클로스터 캄펜 전투
,1760년 10월 16일,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토르가우 전투
,1760년 11월 3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랑엔잘차 전투
,1761년 2월 15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그륀베르크 전투
,1761년 3월 21일,
프랑스 프로이센-하노버
빌링하우젠 전투
,1761년 7월 16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
되벨른 전투
,1762년 5월 1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빌헴스타흘 전투
,1762년 6월 24일,
영국- 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176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2차 루텐베르크 전투
,1762년 7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작센
라이헨바흐 전투
,1762년 8월 1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이베르크 전투
,1762년 10월 29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 ||

1. 개요2. 배경3. 양측의 전력
3.1. 프로이센군3.2. 오스트리아군
4. 전투 경과5. 결과

1. 개요

7년 전쟁 시기인 1759년 9월 8일 작센의 지나에서 프로이센군과 오스트리아군이 격돌한 전투. 프로이센이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작센 북부 일대를 사수하는 데 성공했다.

2. 배경

1759년 8월, 다운 백작 레오폴트 요제프는 대부분의 프로이센군이 러시아군을 막기 위해 동프로이센으로 출정한 틈을 타 오스트리아군을 이끌고 작센을 침공했다. 이 소식을 접한 프리드리히 대왕은 작센의 수도 드레스덴을 구원하기 위해 요한 야코프 폰 윈치에게 약 8천 명을 맡겨 드레스덴을 구원하게 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군은 윈치의 프로이센군이 도착하기 전날인 9월 4일에 드레스덴을 함락했다. 윈치는 뒤늦게 드레스덴 근방에 도착한 후 자신이 늦었다는 걸 깨닫고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적이 드레스덴 근방까지 이르렀다가 후퇴하고 있다는 정보를 접한 다운 백작은 생 안드레의 군단(14,000명)에게 이들을 추격하게 했다. 윈치는 이들의 추격을 피해 토르가우로 후퇴했다. 9월 7일 오후, 토르가우 앞에 도착한 윈치는 적이 근처까지 추격해오자 싸우기로 결심하고 볼프르스도르프 장군에게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토르가우에서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볼프르스도르프 장군은 그의 요청을 듣고 9월 8일 새벽 4시에 군대를 출발시켜 오전 10시에 토르가우에 도착했다. 얼마 후, 생 안드레는 토르가우에 도착한 뒤 윈치에게 항복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적을 공격하기 위해 전투 대형을 형성했다. 이에 프로이센군은 토르가우의 북쪽 교외인 지나로 진군해 적과 맞서 싸울 태세를 갖췄다.

3. 양측의 전력

3.1. 프로이센군

3.2. 오스트리아군

4. 전투 경과

윈치의 군대는 좌측면에 큰 연못인 그로스터 티히를 두었고 좌익의 후방에 지나 마을을 뒀다. 생 안드레의 오스트리아군 우익은 뢰르 개울을 앞에 뒀고 와일덴헨체 숲에 정박해 있어서 적의 공세로부터 안전할 수 있었지만 좌익을 신속하게 지원하는 데엔 오히려 장애요소로 작용했다. 이에 윈치는 적의 좌익을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중포를 동원해 오스트리아군의 좌익과 중앙에 포격을 가함으로서 그들을 꼼짝못하게 한 뒤 좌익을 향해 밀어붙일 계획을 수립했다.

오후 2시, 두 개의 프로이센 군단이 출격해 랏츠윈베르크 앞에 대열을 형성했다. 윈치 자유 보병대대는 윌메이 근위 보병대대와 함께 랏츠윈베르크의 언덕을 공격하여 그렌저 경기병대와 오스트리아 제국 척탄병 부대들을 몰아냈다. 여기에 프로이센 후사르들이 도망치는 적을 추격해 무자비하게 살육했다. 이후 프로이센군은 그들의 대열을 우익을 앞으로 내세움으로서 비스듬히 배치했다. 프로이센 드래곤 분대는 우익에 2개 대열에서 4개 대열로, 좌익에 3개 대열에서 6개 대열로서 대열의 수를 2배로 늘렸다.한편 생 안드레는 그의 군단을 2개의 대열로 구성했다.

윈치는 랏츠윈베르크 언덕을 장악한 뒤 이 언덕에 포대를 설치하고 오스트리아 제국 기병대에게 포격을 실시하라고 명령했다. 그러가 오스트리아군 우익 기병대가 출격해 프로이센 좌익으로 쳐들어갔다. 이에 플레텐베르크 드래곤 3개 대대의 선두에 있는 포그렐 소령은 첫번째 대열을 이끌고 몰려오는 적과 격돌해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격퇴했다. 여기에 흉갑기병대가 대거 출격하여 오스트리아 제국 기병대 제 2대열을 교란시켜 적이 반격해오는 걸 사전에 차단했다.

프로이센 포병대의 효과적인 포격과 기병대의 거듭된 교란 작전이 이어지자, 오스트리아 제국 기병대는 패주했다. 이 광경을 본 오스트리아 제국 보병대의 사기는 뚝 떨어졌고, 포그렐 소령은 이들 보병대의 측면을 공격했다. 한편 프로이센 후사르와 드래곤 분대는 적의 좌익 측면으로 돌아가 두 개의 대열을 형성하고 있는 적 보병대 후방에 나타났다. 그러자 오스트리아 보병대는 동요를 이기지 못하고 적 보병대와 맞붙기도 전에 무질서하게 퇴각하기 시작했다. 프로이센군은 추격하지 않고 랏츠윈베르크와 그로스터 티히 사이의 자신들 진영으로 돌아갔다. 이렇게 전투는 막을 내렸다.

5. 결과

프로이센군은 이 전투에서 35명의 전사자와 163명의 부상자를 기록했다. 오스트리아군의 손실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2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을 것으로추측되며 11명의 장교와 595명의 병사들이 포로가 되었고 그들 중 거의 절반이 이후 프로이센군에 복무했다. 또한 프로이센군은 8발의 대포를 포획했다. 윈치는 이 전투의 승리로 적의 추격을 뿌리칠 수 있었고 이후 작센 북쪽 지역을 점거했다. 한편 다운 원수는 수적으로 3배에 달하는 아군이 적에게 어이없이 패해버린 것에 당황해 작센 북부 지역으로 진군하려던 계획을 중지했다. 여기에 9월 25일 호이어스베르다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의 친동생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왕자에게 아군 분견대가 농락당하자, 결국 그는 공세를 완전히 포기하고 겨울 월경지로 철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