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9 10:13:31

중앙대학교/학내 언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앙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재단 교통 축제 홍보 대사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학내 언론
기숙사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운동부
농구부 축구부 야구부 블루 드래곤스
부속 병원
파일:중앙대학교병원 심볼.svg 중앙대학교의료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부속 학교
부속유치원 부속중학교
}}}}}}}}} ||

1. 개관2. 중대신문
2.1. 개요2.2. 부서2.3. 연혁2.4. 업무
3. 대학방송국 (UBS)
3.1. 개요3.2. 부서3.3. 연혁3.4. 출신 인물
4. 중앙헤럴드5. 대학원신문6. 중앙문화7. 녹지

1. 개관

중앙대학교는 미디어센터 산하 기구인 '중대신문사(학보)', '중앙헤럴드사', '방송국(UBS)', '대학원신문사'와 교지로 구성되어 있다.
교지 아래에는 중앙문화, 녹지 등 총 20개의 발간지가 있다.

2. 중대신문

2.1. 개요

교내 신문사. 대한민국 대학신문사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대학 신문의 효시)

1947년 9월 1일 중대신문은 '중대학보'라는 제호를 달고 최초의 대학신문으로 발간되었으며, 1948년 4월부터는 한국 언론사상 최초로 순한글판 가로쓰기 편집체제를 도입했다. 1989년 가을에는 중대신문은 대학신문 최초로 주2회 발행을 실시했는데, 주2회 발행은 대학언론 역사상 현재까지도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중대신문의 자랑이라고 볼 수 있다. 1997년에는 대학언론 최초로 인터넷 신문을 개설했으며, 2003년에는 한국대학언론 사상 최초의 공식방북취재를 성사시켰다.

2012년에는 대학 신문 최초로 연재기획을 책(내가 나일 때 가장 빛난다)으로 출판하는 등 도전적인 실험과 더불어, 더불어 2012년 <시사IN> 대학신문상 학내 취재 보도상, 사진 보도상으로 2개 부문을 석권하고 올해 <시사IN>에서 사회 취재 보도상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2012·3년 2년 연속, 2015년 중앙일보 ‘올해의 대학신문상’ 최우수상 수상, 2014·5년 송건호대학사진상 2년 연속 수상 등 대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단, 대학 최초 학보사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세대학교 연세춘추와 숭실대학교 숭실대학보가 각자 자신이 가장 오래되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중대신문사의 주장에서는 연세춘추와 숭실대학보는 최초 발간일에서는 앞서나 이후 신문사로서 조직적으로 발간된 시점과의 기간의 텀이 지나치게 길다는 점을 들어 최초발간 신문과 현재의 학보발간 주체간의 연속성을 부정한다.[1]

매주 발간체제를 구축하고 있다.[2] 단 중간, 기말고사 기간과 방학기간에는 신문을 만들지 않는다. 학내 정보의 수집 및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학교에 사건이 터졌을 때 공식적인 학보 중에서는 가장 정확한 정보를 보도하는 곳이기도 하다.
제1926호(2018년 9월 17일)에서 '경영경제대 교수 막말·권위주의 논란' 기사를 통해 중대신문이 학내에서 가장 투명하고 공정한 신문사의 이미지를 갖추게 되었다.

다른 동아리들이 회비를 걷어간다면 중대신문사 기자들은 매학기 장학금을 지급받는다. 다만 학점을 포기하다시피 하는 신문사 생활을 감안한다면 매우 짠 장학금이라는 것이 신문사 기자들의 중론.

2.2. 부서

- 대학보도부는 정론직필 정신으로 학내 여러 사안을 알려드립니다. - 뉴미디어부는 시청각 정보를 전달하고 독자와 직접 소통합니다. - 문화부는 친숙한 문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하고 이를 소개합니다. - 카메라를 들고 현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며 진실을 추구합니다. - 사회부는 사회 곳곳에 숨겨진 문제를 조명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습니다. - 여론부는 사람 가까이에서 사람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2.3. 연혁

1947년 9월 1일 창간
1948년 국내주요언론 최초로 순 한글판 가로쓰기 편집체제 도입
1960년 매주 발행 시작
1980년 4월 제2캠퍼스 편집국 개국(외국어대)
1989년 1084호(3월 6일자) 대학신문 최초 12면 정규발행
1989년 1079호(11월 21일자)-1993년 1285호(5월 3일자) / 민주화의 격랑 속에 대학신문 최초 주2회 8면 발행(만 3년 5개월간)
1995년 1312호(5월 8일) 대학과 지역은 공동체라는 인식하에 지역면 신설
1997년 9월 1일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1998년 1387호(3.2일자)부터 지역면(12면) 흑석, 안성 분리발행
1999년 1414호(3.2일자)부터 취재보도면(3면) 흑석, 안성 분리발행 / CTS편집에서 매킨토시 편집으로 전환
1999년 1427호(9.1일자) 창간 52주년 기념호부터 1면, 12면 칼라발행 시작
2001년 9월 1일 창간 54주년 기념 대학신문 편집 스타일 및 기자교육을 위한 / 대학신문 제대로 만들기’ 책자 발간 인터넷 PDF서비스 시작
2002년 5월 6일 지령 1500호 발행
2003년 10월 한국대학신문 최초 공식방북취재 성사
2004년 3월 언론매체부 인터넷 통합사이트 ‘카우온’개설
2006년 3월 13일 지령 1600호 발행
2007년 9월 중대신문 창간 60주년기념식(서울 프레스센터)
2013년 9월 16일 지령 1800호 발행
2016년 12월 1일 창간 제69주년 기념 홈커밍데이 진행
2017년 2월 27일 현재, 지령 1888호 발행
2018년 9월 3일 현재, 지령 1924호 발행

2.4. 업무

중대신문 기자는 일정기간의 수습을 거쳐 정식 기자로 발령받은 뒤 취재, 기획, 편집 등 신문제작 전반에 걸쳐 다양한 경험을 쌓게 된다.
그리고 연간 25회 주 1회 발행하는 중앙대 공식 언론사 기자로서 치열한 취재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건 중대신문을 제작하게 된다.

신문을 제작하지 않는 방학 중에는 '수련회', '현직기자 초청 실무교육', '합숙세미나'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본 교양 및 실무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런 과정을 거쳐 참다운 대한언론인으로 재탄생하며 졸업 후 언론사에 취업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게 된다.

3. 대학방송국 (UBS)

3.1. 개요

의와 참의 소리, 대학 방송의 효시 UBS UBS홈페이지 UBS유튜브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방송국으로 1957년 개국하였으며, 영문명 "University Boardcasting System ; UBS"를 사용한다.

1957년 4월 12일 UBS, 중앙대학교 교육방송국은 극예술연구회(VCAU) 중심으로 영신관 2층에 한국 최초의 대학방송국으로 개국했다. 해방 이후 정치, 경제의 격변기 속에서 우리 사회와 대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과 함께 개국된 UBS는 한국대학 방송의 선두에서 대학언론과 사회를 선도하고 진정한 대학문화의 창달과 지성인들의 인격 함양을 위해 애써왔다.

1963년부터 지금의 호칭인 UBS로 Call Sign을 개칭하고 대학방송의 효시로써 1964년 전국대학방송인연합 창립을 주도하였고, 이후 1965년 제1회 방송대강좌를 시작으로 1967년 캠퍼스퀴즈쇼를 개최하는 등 중앙대학교의 올바른 대학문화 창달에 힘써왔다.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방송국인 VOS를 병합하였고, 1974년에는 전국대학방송인연합회 회장국으로써 대학방송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모색에 앞장서왔다. 또한, 국훈을 ‘신의’로 제정하여 중앙대학교에 진정한 의와 참의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에도 UBS는 중앙대학교와 대학언론의 발전을 도모하며 1975년에는 본교 신문방송학과와 함께 컬러TV 시험방송을 실시하였고, 1976년에는 효창구장으로부터 중앙인체전을 이동방송하였다.

1981년에는 안성캠퍼스 방송국을 개국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들어가 1987년부터 안성캠퍼스 자체적으로 방송시설을 갖춰 지금까지 1체제 2원화로 방송을 계속해오고 있으며 1991년부터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UBS-TV를 준비함으로써 오디오 방송에 이어 영상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98년에는 자체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현재 오디오•영상•인터넷방송을 겸하는 명실상부한 대학최고의 방송국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UBS는 현재 6개부서(제작,보도,진행,기술,영상기획,뉴미디어)로 구성되어 1체제 2원화로 방송을 하고 있으며 오디오, 영상에 이어 인터넷 방송까지 학우들에게 젊은 지성의 얘기와 참된 진리를 전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3.2. 부서

- 제작부는 오디오 방송과 공개방송을 통해 학우들과 소통하는 부서입니다. 교내 곳곳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을 기획하고, 대본 작성 및 선곡까지 제작부가 담당합니다. 또한 제작부에서는 학우 여러분과 함께하는 공개방송을 기획 및 진행하고 있습니다.
- 진행부는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중앙의 소리를 전하는 부서입니다. 매일 아침, 점심, 저녁 오디오 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뉴스 진행부터 영상 내레이션, 공개방송 MC까지 학우들뿐만 아니라 외부 사람들에게도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줄 수 있는 부서입니다.
- 기술부는 음향편집 기술을 사용하여 방송국 내 모든 프로그램에서의 녹음 및 편집을 담당합니다. 또한 축제, 공개방송 등의 방송국 행사에서 음향 업무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방송국 내 모든 콘텐츠에 참여하는 기술부는 타 부서들과의 협업이 가장 잦은 부서입니다. 방송국 외적으로도 중앙대학교의 타 기관, 단체와 협업 활동도 진행합니다. 현재는 중앙헤럴드와 협업해 영어 라디오를 편집, 송출하고 있습니다.
- 영상기획부는 중앙대학교의 다양한 행사와 소식, 일상의 순간을 프레임에 담아 전하는 부서입니다. 또한 영상 콘텐츠 기획, 촬영, 편집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PD로서 프로그램을 제작합니다. 이 외에도 공개방송이나 축제 등 여러 주요 행사에 투입되어 현장 스텝, 생중계 및 메이킹 영상 송출을 담당합니다.
- 보도부는 학내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과 객관적 분석을 통해 학우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부서입니다. 또한, 학내 사안을 넘어 청년들이 관심 가져야 할 사회 문제들을 직접 발로 뛰며 취재하여 영상 프로그램으로 제작합니다. 더불어 교내 선거 주관 방송사로서 학우들에게 그 과정과 결과를 중립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뉴미디어부는 방송국과 학우들을 이어주는 UBS의 홍보 부서입니다. 수습국원 모집 홍보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방송국 홍보 콘텐츠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주제와 형식으로 독창적인 자체콘텐츠를 제작합니다. 더불어 방송국 홈페이지 카우온,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에브리타임 등의 UBS의 콘텐츠와 소식이 업로드 되는 여러 플랫폼을 관리합니다. UBS를 더 많은 학우들에게 알리고, 학우들과 소통하는 역할을 합니다.

3.3. 연혁

1957 4. 12 call sign ‘VOUS’로 개국
1963 ‘UBS‘로 Call sign 개칭
1965 ’제 1회 방송대강좌‘개최
1972 ’VOS‘(서라벌 예대 방송국)병합
1974 전국대학방송인연합회 회작국으로 피선, 국훈 ’신의‘제정
1975 UBS와 신문방송학과 합동으로 Color TV 시험방송
1977 개국 20주년 기념 ’성년대잔치‘ 개최
1987 제2캠퍼스(안성)방송국 개국
1992 UBS-TV 시험방송 실시
1993 UBS-TV 정규방송 실시
1995 영상기획부 신설
1997 제 1캠퍼스 학생문화관으로 이전, 개국 40주년 기념 방송제
2001 iubs 인터넷 방송국(www.iubs.net)개국
2003 제 4회 YTN 대학생 영상공모전 대상 및 특별상 수상
2004 제 6회 YTN 대학생 영상공모전 사장상 수상
2005 UBS BI 제정 언론매체부 통합사이트 개설(www.cauon.net), 학위수여식 인터넷 생중계 장면 KBS 보도(01:00-01:06)
2007 UBS 개국 50주년 기념식 개최, UBS 개국 50주년 기념 조형물 설치, UBS 50년사 발간
2009 LMB(LCD Media Board) 시험방송 송출
2017 UBS 개국 60주년 기념식 개최
2020 UBS 로고 변경, 뉴미디어부 신설

3.4. 출신 인물


4. 중앙헤럴드

교내 영자언론사. 중앙헤럴드
중앙헤럴드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학 영자신문으로 1957년 5월 20일 창간되었다.
중앙헤럴드의 창간목적은 재학생으로 하여금 어학공부에 대한 관심을 깊게하고 언론활동을 통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관형의 시작은 Tabloid 판으로 당시 일간 영자지 Korea Herald 사에서 조관 인쇄하였으며 처음에는 2개월에 1회씩 발행하였으나 차츰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사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월 1회 발간으로 발전 하였다. 그리고 1994년 3월을 기점으로 타블로이드판에서 시사주간지와 같은 Magazine 형태로 매체를 혁신하였다.

중앙헤럴드는 주간교수를 위시하여 3학년을 편집장과 부장으로, 2학년은 정기자, 1학년 수습기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헤럴드는 언론매체활동으로 잡지발행업무를 그 문자로 두고 있다. 그러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학내 학생 참여활동을 통해 올바른 대학생 문화창달에 기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매년 2학기에 교내 영어수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5까지 진행된 대학/고등부 전국영어웅변대회에 이어 올바른 사회여론 형성 및 방향제시를 위해 각종 NPO, NGO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008년에는 SIFE(Student In Free Enterprise) Naticnal Competition을 주관하여 사회공헌 및 리더십 함양을 위한 장을 열기도 하였다.

5. 대학원신문


6. 중앙문화

정식 명칭은 "중앙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중앙문화". 교내 진보언론사. 1953년에 창간되어 최초의 교지라고 주장한다.
시사인 대학기자상을 다회 수상했다.(2010년 특별상, 2013년 대상, 2015년 학내보도취재상, 2019년 취재보도부문상)

7. 녹지

중앙대학교 페미니즘 교지. 정식 명칭은 중앙문화와 마찬가지로 "중앙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녹지". 서울대 주이상스, 고려대 석순, 성균관대 정정헌과 더불어 얼마 되지 않는 대학 내 페미니즘 교지이다. 2010년 이전까지는 학생으로 이루어진 편집위원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했던 공간이었으나, 학내 정치와 교수의 알력관계 가운데 이전보다 학생 자치의 비중이 떨어졌다.

등록금 납부 시 녹지비라는 이름으로 지원금을 내는 항목이 납부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데, 납부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으나 이를 학교 내 잔디나 식재 사업 등에 들어가는 돈으로 알고 좋은 마음으로 납부하는 경우가 꽤 많이 있다. 그 덕분에 새내기나 학교 교지 상황 등을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 혼동을 주는 명칭을 악용한다는 인식이 생겨 교내에서의 이미지는 별로 좋지 않다.


[1] 첨언하자면 최초 발간호가 중대신문사 편집실에 보관되어 있다. 숭대시보의 경우 최초 발간호마저 망실. 숭대시보는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숭실대가 원래 평양에 적을 두고 있었고, 신사참배 강요에 반발하여 폐교해 숭대시보도 발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광복 이후 평양 숭실 관계자들이 1954년 서울에 다시 재건했다. 숭대시보도 숭실대가 재건됨에 따라 2년 뒤인 1956년 속간됐다. 그럼에도 중대신문은 서울대 대학신문에 이어 발행호 수가 가장 많은 대학신문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2] 2000년대 중반 주 2회 발간체제로 신문을 만든 적이 있다. 이는 대학신문 중의 효시를 자처함에도 불구하고 서울대학교의 대학신문 등에 비해 적은 발행횟수를 만회하기 위함이었다. 현재는 다시 주 1회로 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