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0-20 16:06:07

주코쿠 방언/문법




中国方言 [ちゅうごくほうげん]


1. 특징2. 운파쿠 방언(雲伯の方言)
2.1. 운파쿠 방언의 특징2.2. 동사
2.2.1. 특이 동사
2.2.1.1. 음편형
2.3. だ 평서문2.4. 형용사
2.4.1. 형용사 평서문2.4.2. ない(부정)
3. 히가시산인 방언(東山陰の方言)
3.1. 히가시산인 방언의 특징3.2. 음운적 특징3.3. 평서문
4. 산요우 방언(山陽の方言)
4.1. 산요우 방언의 특징4.2. 모음 융합4.3. だ 평서문4.4. 능력사(能力詞)



1. 특징


전체적인 특징을 볼 때, 표준 일본어 문법과 거의 다른 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 따라 미미한 차이가 드러날 뿐이다. 즉 다르게 말하면, 표준 일본어 문법을 숙지해둔 사람에게 주코쿠 방언은 그리 어렵게 다가오지 않을 것이다.

아래에 설명하지 않은 문법은 표준 일본어와 동일하다고 보아도 문제가 전혀 없다.

2. 운파쿠 방언(雲伯の方言)

2.1. 운파쿠 방언의 특징

주코쿠 방언중 하나인 운파쿠 방언은, 주코쿠를 넘어 대표적인 다현(多縣)의 방언으로 볼 수 있겠다.
다른 이름으로는 이즈모식 방언(出雲式方言) 이라고도 불리지만, 실제 사용 범위는 이즈모를 넘어 많은 일대에서 사용된다. 비슷하게 이즈모벤(出雲弁) 으로도 불린다. 이처럼 불리는 이유는, 보다 하위 분류되는 이즈모 방언(出雲方言) 과 혼동되거나 과거 존재했던 이즈모국(出雲国) 에서 따온 것이다.

보통 방언학(dialectology)에서 운파쿠 방언을 주코쿠 방언과 따로 분리하여 다루는 것이 보통이지만, 몇몇 학자들은 이를 주코쿠 방언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
고로 나무위키에서는 주코쿠 방언이라는 큰 틀 안에서 운파쿠 방언을 다루기로 하겠다. 아래에 하위로 분류되는 방언들을 첨부하고자 한다.
하위 분류 이즈모 방언(出雲方言)
오키 방언(隠岐方言)
니시호키 방언(西伯耆方言)

2.2. 동사

운파쿠 방언을 비롯한 대부분의 주코쿠 방언 동사는 결론적으로, 놀랍도록 이렇다 할 특징없이 현대 표준 일본어와 같은 문법을 사용한다.
다만 몇몇 특징적인 동사에서 특정적인 모습만을 보여주곤 하는데, 그것이 아래의 [특이 동사] 파트이다.

2.2.1. 특이 동사

死ぬ의 경우, 마찬가지로 특이한 모습을 취하는데 주로 しぬる, しぬりゃ— 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이 경우 な변격 활용(な変活用) 을 한다.

또 운파쿠 방언에서 또 借りる [빌리다, かりる]의 경우, 상1단 활용(上一段活用)을 하는데 산요우 방언 등지 및 일부 화자들 사이에서 借る로써 5단 활용을 한다.
karu 미연형 kara~karo
연용형 kari~kaq
종지형 karu
연체형 karu
가정형 kare
명령형 kare
2.2.1.1. 음편형

또한 음편형(音便形)으로써 사용되는 ~qta, ~qda (った) 또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요컨데 借りる [빌리다] 의 경우는 몇몇 지방에서 karu가 되어, 이것이 또 -て, -た와 연결되면 kaqta(음편형) 으로 사용되는 모습이 보여진다. 주로 운파쿠 방언의 오키 방언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산요우 지방(山陽地方)에서도 잘 나타나는 현상이다.
아래는 gozaru [계시다, 御座る] 가 오키 방언에서 gozaqda~gozaqta 에 치환되는 예문이다.
[운파쿠 오키 방언] | 地主さんの御座っだに。
[로마자 표기] | zinusisaNno gozaqdani
[표준 일본어] | 地主さんが御座るのに。
[표준 한국어] | 지주님이 계시는데도.

하위의 이즈모 방언에서는 食うた같은 예시도 있고, au [-あう] 로 끝나는 동사의 경우는 -aata의 형태가 된다. ex... kaata [買あた]

2.3. だ 평서문


표준 일본어에서 ~だ(to be) 를 뜻하는 어휘로써 ~じゃ~だ 가 혼용된다.
마찬가지로 과거형을 나타내는 ~だった 역시도 ~じゃった와 ~だった 두가지가 혼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だろう, ~じゃろう], 그리고 [~だね, ~じゃね] 등등 전부 혼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전통적인 운파쿠벤 문법에 따르자면 ~じゃ로 쓰는 편이 올바르다고 볼 수 있지만, 딱히 큰 상관은 없다.
아래는 ~だろう 가 ~じゃろうい(jaro:i) 에 치환되는 예문이다.
[운파쿠 방언[2]] | 誰も知らんそっじゃろうい。
[로마자 표기] | daremo siraNsozjaro:i
[표준 일본어] | 誰も知らないんろう。
[표준 한국어] | 누구도 모르는거지.

2.4. 형용사

2.4.1. 형용사 평서문


운파쿠 방언에서 형용사, 특히 형용동사의 경우도 표준 일본어와 같이 きれいな, 静かな 처럼 な형용사의 형태로 안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평서문의 형태가 위의 だ 평서문 파트와 같이 일정하다는 이야기.
다만 이것이 평서문 과거형으로 쓰일 경우, 이즈모 일대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아래는 な형용사 중 하나인 きれいな (예쁜) 을 사용한 평서문의 예시이다.
[운파쿠 이즈모 방언] | きれいなった。
[로마자 표기] | kire:naqta
[표준 일본어] | きれいだった。
[표준 한국어] | 예뻤다.

다르게 사용되는 예시는 극히 드물지만, 산요우(山陽) 지방에서의 사용 방법을 그대로 차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래는 위와 같은 예문의 예시이다.
[산요우 방언] | きれいなかった。
[로마자 표기] | kire:nakaqta
[표준 일본어] | きれいだぅた。
[표준 한국어] | 예뻤다.

2.4.2. ない(부정)


부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ない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ない를 사용하기보다 동사의 미연형 (未然形)에 ~ん을 붙이는 형식을 사용한다. 즉, 본디 동사 파트에서 다뤄야 하는 부분이지만 동사는 대부분 일반적 형식을 따르기에 이곳에 추가한다.

● 오키 방언에서는 ~ん이 ~ぬ가 되기도 하는데, 이에 따르면 [미연형 + ぬ] 의 형태라고 볼 수 있겠다.

● 적은 화자층(주로 노인층) 를 중심으로 [미연형+ の] 의 형태가 이용된다.

● 과거 부정의 경우, 오키 지방에서는 -ざった 의 형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아래는 書く [かく, 쓰다]의 변화 예시이다.
書かざった
書かなかった。
쓰지 않았다.

3. 히가시산인 방언(東山陰の方言)

3.1. 히가시산인 방언의 특징

히가시산인 방언(東山陰方言)은 산인(山陰)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주코쿠 방언의 일종이다.
하지만 산인 방언은 사토 료이치에 따라 운파쿠 방언을 하위에 두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산인 방언과의 명명백백한 구분이 필요한 것이다.
히가시산인 방언의 하위 분류는 아래와 같이 표에 나열한다.
하위 분류 탄고 방언(丹後方言)
타지마 방언(但馬方言)
인슈 방언(因州方言)
쿠라요시 방언(倉吉方言)

3.2. 음운적 특징


고대(古代)에 au 였던 연 모음이 본디 많은 지역에서 o로 변화하였지만, 산인 지역에서는 a가 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예를 들어, 阿呆 [aho:] 의 경우 대부분 aho:로 발음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산인 일부 지방에서는 aha: 로 발음한다. 그 외 sijaune 같은 경우 sja:ne 로 발음한다.
물론 이는 시마네현 등지 오키(隠岐) 지방 등에서도 발견되지만, 전지역적으로 보아도 상당히 특이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도쿄 악센트를 사용한다는 점 이외에 큰 특징은 찾기 어렵다.

3.3. 평서문


운파쿠 방언과 마찬가지로 だ 평서문은 ~だ와 ~じゃ가 혼용되기는 하지만, 100명 중 99명 꼴로 ~だ 를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 정도로 じゃ는 쓰이지 않는 추세이다.

な 형용사 평서문의 경우는 조금 특이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な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だ가 -か(ka) 로 사용되는 것이다.
아래는 だ가 か로 변경되는 적절한 예문이다.
[산인 방언] | 静かなろう。
[로마자 표기] | sizukanakaro:
[표준 일본어] | 静かだろう。
[표준 한국어] | 조용하잖아.

4. 산요우 방언(山陽の方言)

4.1. 산요우 방언의 특징

마찬가지로 주코쿠 방언의 하나로써 산요우(山陽) 지방 일대에서 쓰인다. 산요로 읽느냐 산요우로 읽느냐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장음 표기에 따라 산요우로써 읽기로 하겠다.

토우죠 미사오[3]의 저서에서 히가시산요우(東山陽) 방언, 니시주코쿠(西中国) 방언으로 더욱 깊게 구분하지만 여기서는 더 큰 구분을 삼가도록 한다.

대체적으로 유명한 히로시마 방언(広島弁)이 토우죠 미사오에 따르면 니시주코쿠 방언에 속하며, 오카야마 방언 (岡山弁) 의 경우 히가시산요우 방언에 속한다.
이 오카야마 방언은 다시 미마사카 방언(美作方言), 비젠 방언(備前方言), 빗츄우 방언(備中方言)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4.2. 모음 융합

산요우 방언에서는 연모음 융합이 잘 이루어지는데, ai의 경우가 대체적으로 그렇다.
이것이 (ai의 경우) æː, e:, ja: 등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그 예시라고 볼 수 있겠다.

다만 히로시마 지역에서는 그냥 a: 로 변화한다. を와 は, へ같은 조사 의 경우에서도 모음융합은 마찬가지인데, 이것은 굉장히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4.3. だ 평서문

だ 평서문은 일반적으로 ~じゃ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오카야마 지역 일부에서는 그대로 ~だ를 사용한다.

4.4. 능력사(能力詞)

주코쿠 지방에는 전역적으로 특이한 문법적 요소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에 정확한 명칭이 없어 나무위키에서는 능력사로 칭하기로 한다. 물론 표준 일본어에도 없는 것은 아니나, 그 문법적 분별력이 떨어진다.

능력사의 경우는 문법적으로, '개인의 능력이 되지 않아 할 수 없다' 라는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황 및 상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개인의 능력적 영역인 것이다.

jou~~~sen (よう_せん)또는 jou~[동사 미연형]~n (よう_V(未)ん) 의 형태가 그것으로, 언어 그대로 능력적인 부분을 나타낸다.
よう泳がん
수영을 할 능력이 못된다.

참고로 [미연형] + ん의 형태는 위의 운파쿠 방언과 마찬가지로 부정형의 의미를 나타낸다.
[1] 大石初太郞. 方言と標準語. [2] 굳이 따지면 이 예문은 주코쿠 방언의 전체제인 특징 쪽에 가깝다. [3] 東条操. 方言区画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