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07:27:57

제1107공병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육군 특수전사령부/여단/1SFG.png 파일:특수임무단 흉장.pn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공수특전단 특수임무단 제10방공단 제30경비단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제33경비단 제11정보통신단 제13정보통신단 제106정보통신단
파일:제8군단.svg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08정보통신단 제109정보통신단 제111정보통신단 제1107공병단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16공병단 제1118공병단 제1119공병단 제1120공병단
파일:제8군단.svg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70공병단 제1173공병단 제1항공단 제8항공단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6항공단 제31항공단 제60항공단 제61항공단
파일:필리핀 재해복구단기.png 파일:아이티 재건지원단 마크.pn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8552.jpg 파일:국군재정관리단 부대마크.svg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육군중앙경리단
파일:국방지형정보단_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12포병단 마크.png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지형정보단 제11포병단 제12포병단 제39동원지원단
파일:제6포병단 마크.jpg
제6포병단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1107공병단
第1107工兵團
The 1107th Engineer Corps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정예창성공병
창설일 1963년 00월 00일(제1107공병단)
해체일 2018년 12월 31일
상징명칭 창성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1야전군사령부
규모
역할 1야전군 공병지원
초대 단장 예) 대령 000(육사 00기)
해체 전 단장 예) 대령 000(육사 00기)
위치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1. 개요2. 상세3. 편성
3.1. 단직할대3.2. 제130환경대대3.3. 제152공병대대3.4. 제153공병대대
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예하 공병단이었다.

2. 상세

강원도 남서부 공병지원을 주 임무로 했던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직할 공병부대.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부근에 2개 공병대대, 2개 직할중대가 위치해있고, 강원도 횡성군 부근에 위치한 1개 환경대대, 2개 직할중대가 위치해 있었다.

(연대)급 공병부대이며, 단급이긴 해도 연대랑 동급이다보니 지휘관인 공병 단장은 보통 연대장과 같은 대령이 보임 된다.

직할부대이다보니, 부대마크 제1야전군사령부 마크와 동일하다.[1]

2018년 12월 31일 제1야전군사령부 제3야전군사령부와 통폐합되면서 같은 날 제1101공병단과 통합되거나 일부(152공병대대)는 제1115공병단으로 배속 전환되었다.

3. 편성

3.1. 단직할대

3.2. 제130환경대대


2007년 6월 21일 창군 이후 첫 '환경전담부대'를 '제1107공병단 130환경대대'와 ' 제1101공병단 117환경대대'를 창설 하였다. 전군에 2개 대대[4]만 있는 환경대대로 하절기 시즌에 타 부대에 오염토양정화파견[5]을 다니는 부대다.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가 났을 당시에도 훈련을 취소하고 장거리/장기간 지원을 나갔다 온 전력이 있다. 물론 일반적인 공병대대의 임무도 수행한다.

3.3. 제152공병대대


주둔지가 단 본부내에 위치해 있다.

152공병대대는 부대해체 후 제2작전사령부 제1115공병단 예하부대로 전속되었다.

3.4. 제153공병대대


153공병대대는 부대해체 후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예하부대로 전속되었다.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107공병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박병희 예) 소장 육사 31기 국방시설본부장, 육군공병학교장, 제1공병여단
00대 정종민 예) 소장 학군 20기 육군공병학교장, 제6공병여단
00대 공진식 예) 대령 단장
00대 이시천 준장 육사 44기 제3공병여단장, 육군공병학교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강원특별자치도 남서부에 위치한 원주, 횡성 근방이어서 강원특별자치도 부대중에서는 교통 여건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다만 단 본부는 (구)제1야전군사령부, 제36보병사단 사령부 등 여타 부대보다는 후미진 곳에 위치해있어 마냥 좋지만은 않다. 위치도 위치거니와 연결되는 도로가 산 넘어가는 2차선 도로 하나뿐. 직할대에서 원주터미널까지 택시로 7~8000원 나오고 무실동까지는 딱 7000원 나온다. 그래서 출타 출발, 복귀, 전역 등 외부로 나가야 하는 일이 생기면 원주 혹은 횡성 시내 중 가까운 방향으로 버스를 운행한다. 다만 대대중 한 곳은 제36보병사단 사령부와 매우 가까운데, 여기는 부대 위치의 행정구역상 주소가 제36보병사단 사령부랑 같은 리 단위에 있을 정도.

5.2. 부대가

조국의 대동맥 태백줄기에
통일대 터 잡고 나라 지켰네
높은 산 깊은 골 험한 산악도
한 목숨 바치면 거칠 것 없네
우리는 싸운다 내 조국 위해
통일의 선봉장 제1야전군

민족의 젖줄인 백두대간에
통일대 터 잡고 나라 지켰네
눈보라 비바람 몰아쳐와도
나라에 바친몸 두려움 없네
우리는 싸운다 내 조국 위해
평화의 수호자 제1야전군

-제1야전군가[6]

6. 사건사고

7. 여담



[1] 다른 직할부대 또한 마찬가지. [2] 주둔지에 중대만 있는 독립중대이다. [3] 주둔지에 중대만 있는 독립중대이다. [4] 1군, 3군 각각 1개 대대씩 존재한다. [5] 주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한다. [6] 제1군사령부 직할 공병단이기 때문에 제1야전군가가 부대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