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0:04:56

정현호(프로게이머)

TEKKEN WORLD TOUR FINAL 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THE KING OF IRON FIST TOURNAMENT
연도 게임 이름 국적 캐릭터
2015 철권 7 Nobi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dragunov.png
2016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Sain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jack-7.png
TEKKEN WORLD TOUR
2017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Qudans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devil-jin_2.png
2018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Rangchu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geese.png 파일:tekken7_icon_kuma.png 파일:tekken7_icon_panda_2.png 파일:tekken7_icon_feng_2.png
2019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Chikurin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akuma.png 파일:tekken7_icon_geese.png
2022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Atif Butt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akuma.png 파일:tekken7_icon_leo_2.png
2023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Arslan Ash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일:tekken7_icon_noctis.png 파일:tekken7_icon_katarina.png 파일:tekken7_icon_kunimitsu.png
}}}}}}}}} ||
파일:rangchu.png
<colbgcolor=#000><colcolor=#fff> VARREL
Rangchu
정현호 | Jeong Hyeonho
출생 1993년 6월 17일 ([age(1993-06-17)]세)
가족 부모님
배우자, 아들[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Fursan Esports
(2018.05.23 ~ 2018.12.03)
AMPLFY
(2019.08.06 ~ 2020.06.28)
Blacklist International
(2020.06.28 ~ 2020.12.31)
VARREL
(2021.03.06 ~)
링크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주요 활동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철권 게이머로, 現 VARREL 소속 프로게이머.

2. 플레이 스타일

이지를 걸어서 이기든, 날먹을 써서 이기든 이긴건 이긴거고 다 실력이다. 그렇게 하면 초고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초고수를 뛰어 넘어 프로급이 되려면 게임할때 정말 자기가 하나하나 다 설계해서 완벽하게 승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다못해 왼어퍼부터 짠손 짠발 같은 기술이나 무빙을 습관성이 아니라 상황에 맞게 매번 최적의 판단을 할 줄 알아야 한다.
랑추 본인의 게임관

철권 6때부터 차도남이라는 닉네임으로 빨강단~파랑단을 오가며 활동했던 로저 플레이어로, 원래는 수많은 그린 고수 중 한 명이었지만 태그 2에 오우거와 진파치를 하다가 자피나-화랑이라는 비주류 중에서도 비주류인 조합으로 텍켄 엠퍼러를 달성하며 유명해졌다. 그 후 철권 7 초반에는 아무도 안하던 기가스를 플레이하며 대회 상위권 플레이어로 도약했고, 그 이후로는 럭키, 카타리나, 팬더, 줄리아 순으로 주로 사용하다가 철권 8에서는 쿠마, 팬더를 플레이하고 있다.

캐릭터풀을 보면 알겠지만 대회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비주류 캐릭터인데다가 심지어 기가스나 팬더 같은 캐릭터는 명백히 성능면에서 좋은 평가를 못 받는 캐릭터들인데, 이에 대해서 본인이 일부러 약캐를 찾아서 하는걸 즐기는 편이고, 대회에서 상대방의 허를 찌르기 위한 전략으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물론 강캐릭터를 의도적으로 쓰지 않는 힙스터 스타일은 아니고, 대표적으로 철권 7 말엽에 잡은 줄리아 등 티어가 높은 캐릭터들도 주력으로 사용한다. 게임관에서 언급된 것처럼 짠손, 짠발 같은 사소한 기술부터 티어가 낮은 캐릭터까지 폭넓게 연구하고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 강점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플레이상 특징이 있다면 백대쉬가 아쉽다는 점인데[2] 랑추는 이를 역이용하여 백대쉬를 최소화하고 가만히 상대의 기술을 지켜보다 막는 소위 정지철권과 골렘철권이라고 불리는 플레이에 능하다. 원래 레버를 사용했을 때부터 가드력이 정평이 나 있었고, 이마저도 부족하다고 생각했는지 FR 시즌 3 피코 박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가드력이 더욱 올라갔다. 그렇다고 해서 아예 수비적인 플레이를 일삼지는 않으며 공격할 때 큰 기술로 딱딱 거는 타입이다.

약점이라면 풍신류의 무빙 중 하나인 풍신웨이브를 못한다. 죽었다 깨어나도 못하겠다고 본인이 직접 인정했으며 랑추의 풍신류는 그야말로 밑바닥싸움이다.[3] 다만 랑추는 풍신류를 잠깐이라도 주력으로 삼은 적도 없고 곰을 중심으로한 비풍류를 선호했으니 이같은 문제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다.

3. 주요 활동

6BR 때부터 유명했던 고수로 『차도남』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다. 태그2에는 랑추로 이름을 바꾸었고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참고로 랑추는 나락을 막고 초스카이로 띄우는 딜캐왕인 랑간지의 추종자, 즉 '랑간지 추종자'라는 뜻이다.

2015년 개최된 TWITCH TEKKEN CRASH 시즌9에서는 로하이.트리플H와 팀을 이뤄 참가. 결승전에서 기가스를 사용해 레저렉션을 몰아붙였으나 무릎에게 역전당해 패배했다. 이 때 한 세트를 따고 시훼+주먹을 팍 움켜쥐는 포즈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명 팍추로 회자되는 사건.

2018년 Fursan Esports에 입단해서 본격적으로 TWT에 참가했으며, FGC TWT를 기점으로 마스터 티어급 대회에서 TOP8 안에 들며 2018 TWT 파이널에 중위권 순위로 진출했다.

TWT 파이널에서는 A조에 샤넬, 세인트, 아나킨, 퍼거스와 함께 배정. TOP8에 승자조로 진출했다. 승자조 첫 경기에서 무릎에게 0:2로 패배했으나 패자조에서 전띵, 샤넬을 이기고 최종 진출전에서 승자조 결승에서 떨어진 무릎과 만나게 되었다.

세트스코어 2:2에 5꽉까지 간 상황에서 무릎이 레드 콤보 마무리를 6AK가 아닌 비공 레이저를 쏘는 치명적인 실수를 하면서 랑추가 결승전에 진출했고, 결승전에서 쿠단스의 이지선다를 막아내며 2018 TWT FINAL의 우승자가 되었다.

2018년은 무노스라는 별명이 처음으로 나올 정도로 무릎의 활약상이 압도적이었던만큼 누구보다도 무릎의 우승이 예상되는 한해였던데다가 팬더라는 비주류 캐릭터로 우승을 거두었기에 더욱 값진 우승이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화제가 되어야 했으나 하필 그날 아머킹, 크레이그 머덕, 줄리아 창등 기존 캐릭터들의 대대적인 복귀가 있었기에 그렇게까지 폭발적인 반응이 나오지는 않았다. 오죽하면 철갤에서 랑추 관련 인터뷰가 나오면 '아 맞다, 얘가 우승자였지?' 라는 댓글이 일제히 달릴 정도.

FINAL에서 우승한 직후 FURSAN과의 계약 종료를 밝혔다. TWT 우승자같은 인재를 내치냐는 말이 많았지만 뒤이어 벨로렌 또한 나가게 되며 FURSAN은 ESPORTS에서 손을 뗐음을 밝혔다.

이후 인터뷰에서 스폰서의 부재로 해외 대회에 나가기 힘들다는 뜻을 밝혔으나 해설자 TASTY STEVE가 그를 개인적으로 후원해주면서 AMPLFY 입단 전까지 거리가 먼 해외 대회에 참석할 수 있게 되었다. 랑추가 질 때마다 자신이 진 것처럼 좌절하는 STEVE의 모습이 압권.

2019년 EVO JAPAN은 승자조 5라운드에서 타리스커터에게 패배, 패자조 11라운드에서 북에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이후 일본 지역에서 크고 작은 대회를 휩쓸었고 아케이드 시즌2에서 카타리나로 최초 테켄 갓 프라임을 달성하는등 주목할만한 활약을 계속해서 보였다.

4월 개최된 첫 TWT인 MIXUP에서는 TOP48 승자조에서 노로마에게, 패자조에서는 로하이에게 패배하며 9위를 기록했다.

4월 30일 열린 첫 TWT 도조인 FIGHTING TUSEDAY에서는 꼬꼬마를 결승전에서 이기며 우승했다.

5월 11일 열린 ROXnROLL 한국 TWT에서는 예선 탈락으로 25위를 기록했다.

5월 17일 열린 BATTLE ARENA MELBOURNE에서는 승자조에서 JDCR, 패자조에서 울산대학생에게 패배하며 5위를 기록했다.

5월 24일 열린 COMBO BREAKER에서는 최종 진출전에서 무릎과 2:2세트 5꽉까지 가는등 작년 파이널과 비슷한 분위기로 흘러갔으나 카즈야로 픽을 바꾼 무릎에게 패배해 3위를 기록했다.

6월 22일 열린 타이거 어퍼컷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6월 28일 열린 CEO에서는 TOP8 패자조에서 꼬꼬마를 이기고 샤넬에게 패배해 4위를 기록했다.

7월 6일 열린 WELLPLAYED CHALLENGER에서는 TOP32 승자조에서 치쿠린에게, 패자조에서 노로마에게 패배해 9위를 기록했다.

7월 13일, 7월 20일 열린 NORCALSEALSTYLE PRE-STRONGSTYLE SPECIAL과 NAGASAKI OMURA CUP 도조에서 각각 우승을 기록했다.

2019 EVO는 ROUND 3 승자조에서 신 파울로에게, 패자조에서 샤넬에게 패배하며 33위를 기록했다.

9월 28일 REV MAJOR에서는 16강 승자조, 8강 패자조 모두 로하이에게 패배하며 4위를 기록했다.

10월 22일 도쿄 테켄 마스터즈 직전에 열린 도조에서는 우승을 차지, 26일 열린 도쿄 테켄 마스터즈는 꼬꼬마에게 패배해 17위를 기록했다.

11월 16일 열린 2019 마지막 도조인 아틀란타 배틀 오페라에서는 꼬꼬마에게 패배해 3위를 기록, 15~17일에 열린 아틀란타 드림핵에서는 TOP24 패자조에서 전띵에게 패배하며 13위를 기록했다.

12월 8일 열린 TWT 파이널에서는 C조 배정. 비랄, 세인트에게 승리했으나 JDCR, 치쿠린에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파이널 이후 개최된 2019 LG울트라기어 OSL 퓨처스 페이즈2는 개인전 부문 참가. 1일차에서 체리베리망고에게 패배후 무릎에게 승리해 4강에 진출했으며, 세인트에게 패배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2020 EVO 재팬에서는 ROUND3 승자조에서 울산에게, 세미 파이널에서 노로마에게 패배해 17위를 기록했다.

2021년 11월 3일에는 무려 ATL S3 DAY5에 참가하면서 오랜만에 한국 대회에 참가하기도 하였는데 이날 랑추와 친분이 있는 체리베리망고의 언급에 따르면 랑추는 키보드로 대회에 임한다고 말했었다. 키보드로 대회에 임했음에도 무려 승자 결승까지 진출하는 놀라운 활약을 보여주었고 모쿠준과 접전 끝에 패한 다음 패자 결승에서는 브라이언을 내세운 무릎에게 완패를 하여 3위로 마무리하였다.

이후로도 일본에 거주하면서 일본 철권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면서 좋은 모습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고 2022년 5월말 무렵에 개최할 대규모 격겜대회인 Combo Breaker 2022에 참가하기로 선언을 하였다. 이후 Combo Breaker 2022에 참가하여 승자조로 무난히 8강까지 진출했지만 현재 철권을 대표하는 최강자 중 한명인 아슬란에게 아깝게 패하여 패자조로 내려갔다. 이후 패자조에서는 세피블랙에게 덜미를 잡히면서 5위로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2022년 9월 18일 열린 REV MAJOR TWT에 출전, 최종 2위의 성적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대회에서 랑추는 파키스탄 출신의 플레이어인 콰심과 아티프를 패자조로 내려보내는 놀라운 저력을 선보였다. 특히 아티프는 아슬란 애쉬가 자신 이상의 실력자라 언급할 정도의 파키 최강자 중 한 명으로, 본 대회의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 중 한 명이었다. 최종 결승에서는 아티프를 잡아내며 올라온 전띵과 대결하였으나 결국 브라켓 리셋을 허용하며 2위로 마무리지었다.

이후에도 일본에 거주하고 있지만 기꺼이 참가한 대회들인 2022 ATL S3 DAY3에서도 한번도 패하지 않고 최종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울산에게 브라켓 리셋까지 허용한 다음 패하면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고 주말에 열렸던 2022 ATL Super Tournament Autumn에서도 좋은 경기력으로 쟁쟁한 유저들을 모두 이겼지만 최종 결승에서 무릎에게 패하여 다시 한번 준우승으로 마무리하였다. 최근 들어서 대회에서도 꾸준히 맹활약을 하지만 모두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3년 EVO 재팬에서는 Top8까지 진출하였으나 승자전 결승에서 아슬란 애쉬에게 아쉽게 2대3으로 패배하고 머일에게 1대3으로 패배하면서 3위로 마무리하였다.

2023년 4월 22일 참가한 믹스업에서는 Top64에서 무기와라, Seekuh, 세피블랙을 잡아내고 Top8까지 진출하면서 승자전 준결승에서 Gunni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승자전 결승에서 JOKA에게 아깝게 2대3으로 패배한 후 패자조 결승에서 울산에게 1대3으로 패배하며 3위로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

콤보 브레이커 2023에서는 북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떨어지고 꼬꼬마에게 패배해버리면서 Top8 진출에 실패했다.

6월 10일 참가한 BAM Battle Arena Melbourne 13에서 1일차 예선을 통과해내고 32강 승자조에서 Dee-on Grey를 잡고 16강 승자조에서 인페스티드를 잡아내면서 8강 승자조로 직행하였다. 2일차 8강 승자조에서는 샤넬과 접전 끝에 승리하고 승자조 결승에서 CHAD NY를 상대로 3대1 승리를 거두며 결승으로 진출하였다. 그 후 결승에서 패자조에서 올라온 무릎과 붙었는데 첫 2세트를 따면서 우승에 가까워지는 듯 했으나 무릎이 브라이언으로 픽을 바꾼 후 나머지 세트를 연달아 내줘버리며 브라켓 리셋을 허용하고 말았고 판다로 픽을 바꿨지만 1세트를 승리 후 나머지 세트에서 연달아 패배해버리며 아쉽게도 준우승으로 마무리하였다.

7월 1일 FV MAJOR에서는 패배 없이 8강까지 진출했으나 승자조에서 슈터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무릎에게 패배하여 5위로 마무리했다.

EVO 2023은 승자조에서 Kaizur를 잡아냈지만 칸에게 패배하여 24강에 패자조로 갔고 치쿠린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2023년 ATL 그랜드 파이널 최종 16인 진출에 성공하여 DAY1에서 켈투(철권)에게 패배했으나 멀티 체베망을 잡고
DAY2 최종 8강에 진출하여 울산(철권)에게 패배, 갈공이 망자를 잡아내고 일본의 파괴왕에게 패배하여 4위로 마무리했다.

2024년 1월 14일 TWT 2023 FINAL에서 울산, 조이 퓨리, 슈퍼 아쿠마, 조카와 같은 조인 A조에 배정되었고 조이 퓨리, 슈퍼 아쿠마, 조카에게 승리하고 울산에게 패배하여 3승 1패로 울산과 동률이 되었지만 승자승으로 인하여 2위로 브라켓 패자조에 진출, 첫 상대는 무릎이 되었다. 무릎에게 2대1로 승리한 후 로하이에게 1대2로 패배해 5위로 마무리했다.

2024년 6월 1일 Esports World Cup 2024 진출권이 무려 8장이 걸린 DreamHack Dallas 2024에 참가, 1일차 승자조에서 iGottaJet, SVL, Spero Gin, 유우, 무릎에게 승리, 12강에서 강적이었던 아슬란 애쉬에게 2:1로 승리하여 진출권 획득에 성공했다.

4. 기타


[1] 아들의 이름을 따로 공개한 적은 없으나 이후에 주변 지인의 트윗을 통해 정한솔'이라는 이름이 공개되었다. [2] 오죽하면 한국에 있던 시절 로하이가 몇시간씩 백대시를 연습시키고 했지만 로하이도 "랑추는 백대시를 할수가 없다."라고 말했으니 말 다했다. [3] 이 자타공인 저질 풍신류 싸움을 보여준 사례가 바로 시즌1 당시 꼬꼬마의 리차오랑과의 노랑단 데스. 백대시와 풍신웨이브가 전혀 없는 나락자운류 나락컷킥류 운영을 보였고 콤보 성공률도 저조했던 반면 어미, 힐부후 임펄스, 벽몰이 및 벽콤센스 등 리 차오랑으로 웬만한 어려운건 다 할줄 알면서도 운영 능력이 부족해 어리버리타다가 자멸해버리는 꼬꼬마의 환장의 플레이로 결국 리 차오랑을 저거넛으로 강등시키며 웃음을 자아냈었다. 승리 후 랑추 본인이 남긴 채팅이 평소보다 20배는 더 기쁘다라며 자축아닌 자축을 했다 (...) 이를 시청하며 보고있던 로하이는 할말을 잃어버린것은 덤. [4] 철권 게이머중 여기 헌액된 건 무릎, 로하이, JDCR, 샤넬, 쿠단스, 데자뷰, 세인트 7명이 더있다. [5] 과거에는 TWT FINAL 준우승으로 오기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수정되었다. [6] 주로 아내인 미미도 같이 엵이는데, 미미 역시 무릎의 개인방송에 후원을 한 적이 있을 정도로 상당한 친한이기 때문에 상관 없지 않겠냐는 댓글도 함께 달리곤 한다. [7] 대표적으로 노비의 신속의 어설트가 있지만 이건 그래도 다른 게이머들의 이명에 비하면 양반이다. [8] 다만 2019년 이후에는 무릎에게는 매우 약세다. 하지만 철권 7의 실질적인 마지막 대회였던 2023 TWT Global Finals에서는 또 한번 무릎을 꺾었고 철권 8로 넘어온 후에는 무릎에게 전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9] 심지어 해외 대회에 자주 참가한 로하이와 꼬꼬마도 아나킨에게는 매우 약하다. 애초에 무릎 정도말고는 아나킨에게 우위를 가져가는 한국 유저가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