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10:38:50

전무영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전무영
全武永 | Jeon Mu Young
파일:고교졸업사진.jpg
본명 전무영
출생 1941년 10월 25일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장방리 909-1
사망 1960년 (향년 20세)
서울특별시 원각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가족 누나 석림, 난이, 석순, 미자
학력 김해한림초등학교 (졸업)
진해중학교 (졸업)
진해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신문학과 / 학사)
상훈 건국포장

[clearfix]

1. 개요

4.19혁명 최초 희생자였다.

2. 생애와 성품

1941년10월25일 경남 김해시 한림면에서 아버지 전민진과 어머니 윤삼립의 1남4녀중의 막내 외동아들로 태어나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누나로는 석림,난이,석순,미자가 있다.

김해 한림초등학교.진해 중학교.진해고등학교를 졸업하교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 입학했다 성격이 쾌활해서 부모형제 및 친족들과 동창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


2.1사건

1960년 4월19일 서울지역 대학생들이 자유당 독재정권에 대한 항거를 하기로 하고 결성하였다.전무영 열사는 중앙대학교 대표로서 참여하고 앞장섰다. 원각사앞 노상에서 "이승만 독재정권은 물러가라!" 라고 외쳤다가 경찰특공대의 쏜 흉탄으로 부상을 입은후 세브란스 병원에서 가료 중 사망

3. 추모

서울 수유리 4.19혁명민주묘역에는 가묘가 있고 경남 김해시 한림면 장방로493-2번지에는 실묘가 있다. 수유리 민주묘역에서는 국가적인 행사가 매년 열리고 있고 고향 선산에서는 친족들(김해 장방 진말 전씨 종친회)이 모여서 해마다 추모제를 열사님의 묘역에서 지내고 있다.

*사진(추모제/매년 4.19혁명일이면 고향 선산에 있는 전무영 열사모역에서는 김해 장방 진말 전씨 종친회에서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파일:추모제사진.jpg
파일:추모제기념사진.jp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앞에는 6인(전무영.지영헌.송규석.서현무.김태년.고병래)의 열사님을 추모하는 의혈탑이 세워져 있다.
진해고등학교 교정에는 전무영 열사님을 추모하는 추모탑이 세워져 있다.
1964년 4월 06일 중앙대학교에서는 전무영 열사님에게 명예 학사학위증을 수여하였다.

4.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