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自我實現 self-realization / self-actualization[1]하나의 가능성으로 잠재되어 있던 자아의 본질을 완전히 실현하는 일.
2. 특징
자아실현은 인간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이며 윤리의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이 자아실현을 위한 자아의 잠재적 가능성의 실현과정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인데 그는 인간의 본질을 합리성으로 보고 그것을 최대한으로 발휘함으로써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하였다.에리히 프롬은 인간이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창조적으로 발휘하고 실현하는 것을 생산성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여기서 생산성이란 창조성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에리히 프롬은 ‘생산성은 인간의 특유한 잠재적 가능성을 인간이 실현하는 것, 곧 그의 힘의 사용’이라고 하였다. 매슬로는 자아실현은 성장 동기가 계속적으로 충족되는 것이라 하고, 브라멜드는 문화에 의해서 성립된 사회 속에서 자신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발휘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리스도교 관념주의자들 가운데는 신의 의지가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인간은 잠재적 가능성을 생득적으로 타고나며 그것을 현실화하고 실현하려는 본래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윤리와 교육의 목적은 인간 각자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자아실현은 개체의 목적과 본질을 중시하는 교육사상가들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1]
종종 한쪽은 '자아실현'으로 번역하고 한쪽은 '자기실현'으로 번역해 차이를 두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둘 다 '자아실현'으로 번역된다. 영어권 사용자들이 받아들이는 둘의 개념은 약간 다르기 때문에 간혹 '자아실현'을 번역어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있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둘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은 영어권 사용자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후술된 에리히 프롬 관련 영문 서술을 살펴보면 둘을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