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5:04:26

자지

자댕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자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선정성 주의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대상은 선정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개요2. 어원3. 기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남성의 성기 음경을 표현하는 한국어의 비속어이다. 더 비속하다고 여겨지는 단어이자 줄임말로는 이 있다. 반대되는 단어로는 여성의 성기인 보지가 있다.

어린아이의 것은 고추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dick(딕) 그리고 cock(코크), prick(프릭)등이 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이고, 후자는 성적인 뉘앙스로 자주 쓰는 편.

이 문서는 대상이 아니라 단어 자체를 다룬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어원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 이이(조선) 이항복의 대담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흔히 '걸어다녀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보장지(步藏之)라는 말이 '보지'로, '앉아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좌장지(坐藏之)가 '자지'로 축약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검색창에 '좌장지 보장지'를 쳐보면 많이 나온다. 이와 관련한 대담은 아래 내용으로.

[ 율곡과 이항복의 대담 / 펼치기 · 접기 ]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신으로 꼽히는 백사(白沙) 이항복.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 불리는 영의정 자리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끝까지 모시며 나랏일을 챙긴 공로로 부원군에 책봉되는 등 신하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백사’라는 호보다는 ‘오성(鰲城)’으로 더 유명한 이항복은 이덕형과의 돈독한 우정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는데 ‘오성’은 이항복이 부원군에 책봉될 때 주어진 칭호이다.

하지만 이항복도 젊었을 때는 천하의 난봉꾼으로 부모 속을 꽤나 썩였던 모양이다. 허구한 날 기방만 출입하는 이항복을 두고 보다 못한 어머니가 하루는 이항복을 불러 크게 호통을 쳤다.

“네가 정녕 우리 가문을 욕되게 하려는 게냐? 네 행실이 이러하니 죽어서도 조상님들을 뵐 면목이 없구나.”

어머니의 호된 꾸지람에 정신이 번쩍 든 이항복은 며칠 동안 두문불출하며 지난 자신의 행동을 반했다. 며칠 후 방에서 나온 이항복은 어머니 앞에 꿇어 앉아 진심으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용서를 빌었다. 자식의 반성에 노여움이 풀린 어머니는 이항복에게 율곡 이이를 찾아가 스승으로 모실 것을 권유했다.

다음 날 율곡의 집을 찾아간 이항복은 율곡이 있는 방으로 들어가 큰절을 올렸다. 그런 뒤 제자로 받아들여줄 것을 청하면서 당돌한 질문 하나를 던졌다.

“선생님, 처음 뵙는 자리에서 무례하다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소생이 여태껏 풀지 못하고 품어 온 의문이 하나 있기에 감히 여쭤보려고 합니다.”

“말해 보게. 내 아는 데까지 대답해 주겠네.”

“이제껏 제가 기방을 드나들면서 늘 품어온 의문이 한 가지 있습니다. 사람의 생식기를 일러 남자아이의 것은 자지라 하고 여자아이의 것은 보지라고 하다가 어른이 되면 각각의 명칭이 남자는 , 여자는 으로 변하는 까닭이 무엇인지 참으로 궁금하옵니다.

이 괴한 질문에 크게 웃음을 터뜨린 율곡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하하하! 천하의 난봉꾼이 지금까지 그것도 모른 채 기방을 드나들었단 말인가. 잘 듣게. 우선 여자의 보지는 ‘걸어다녀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보장지(步藏之)라는 말이 잘못 발음된 것이요, 남자의 자지는 ‘앉아야 감추어진다’는 뜻의 ‘좌장지(坐藏之)’를 잘못 발음한 것일세. 또한 은 별다른 뜻이 있는 게 아니라 다만 ‘마를 조(燥)’와 ‘습할 습(濕)’을 뜻하는 것일세. 이제 알겠는가?”

이항복은 자신의 기이한 질문에 현명하게 답한 율곡 앞에 엎드려 큰절을 올렸다.

“고맙습니다, 스승님. 소생 이제야 십 년 넘게 품어 온 의문이 풀렸습니다. 저를 제자로 받아들여 주십시오. 선생님의 문하생이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알고 성심껏 학문에 임하겠습니다.”

이항복은 그 후 일체 기방 출입을 삼가고 학문을 수련하는 데 정진했다. 그래도 타고난 끼는 어쩔 수 없는 법. 이항복은 벼슬길에 오른 이후에도 포복절도할 일화들을 생애 곳곳에 남겼다.


이 대담의 내용은 인터넷에도 사실처럼 퍼져있다. 하지만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조항범 교수에 따르면 이와 같은 내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그의 저서 '그런 우리말은 없다.'에는 보지 자지라는 어원에 대한 전형적인 한자 부회라고 한다.[1] 이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네이버 지식백과에 나온다. 조항범의 이 저서는 판매되지 않고 있으나, 국회도서관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내용을 게시하고 있다.

3. 기타

불알이 터진 사람이나 자지가 잘린 사람은 야훼의 대회에 참석하지 못한다.
대한성서공회 공동번역 성서 신명기 23:2(라틴어 성서는 여기에서 23장이 시작됨.)
이 내용은 공동번역 성서가 아닌 개역한글판, 새번역 성경 등에서는 '신낭이 상한 자나 신을 베인 자', ' 고환이 상한 자나 음경이 잘린 자' 등의 단어로 사용되며, 이 구절부터 신명기 23장이 시작된다.
[ruby(自, ruby=자)][ruby(知, ruby=지)]면 [ruby(晩, ruby=만)][ruby(知, ruby=지)]고 [ruby(補, ruby=보)][ruby(知, ruby=지)]면 [ruby(早, ruby=조)][ruby(知, ruby=지)]다 = 혼자서 알려 하면 늦게 알게되고 도움받아 알려 하면 빨리 알게된다.

4. 관련 문서



[1] 이렇게 어떤 어휘의 어원에 대해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상상력을 동원해 그럴듯하게 지어내서 풀이한 것을 민간어원이라고 하는데, 쉽게 말해 그냥 썰이다. [2] 발음이 유사하고 땅콩이라는 뜻도 있어 불알을 연상하기 쉬운 peanuts(피너츠)로 에둘러 표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