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300]]| 전기통신성 시절부터 민영화 직전인 1985년까지 사용했던 로고 |
[clearfix]
1. 개요
[ruby(日本電信電話公社, ruby=にほんでんしんでんわこうしゃ)]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Public Corporation: NTTPC일본의 통신을 지배하고 있는 지배적 통신 공기업이였다. 대한민국으로 치면 KT의 전신인 한국전기통신공사에 해당하는 공기업. 1985년에 민영화되어 NTT가 된다. 약칭은 '덴덴코샤'(電電公社, 전전공사)이다.[1] 전신은 전기통신성이다.
2. 설립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9년, 전기통신성이 발족하여[2] 전신전화의 확충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으나, 전신전화는 미래로 갈수록 수요는 더 늘어나는 사업이여서 기업적 효율성을 도입하기 위해 1952년 일본전신전화공사가 창설되게 된다.1년 뒤인 1953년에는 국제통신 사업을 국제전신전화(KDD)로 분리시키고 전전공사는 일본 국내 통신 사업에만 주력하게 된다.
3. 당시 사업들
일본전신전화공사법 제 3조에 의거, 덴덴의 업무는 "공중 전기통신 업무 및 부대 업무" 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크게 전신, 전화의 보급 및 유지 관리로 요약 할 수 있다.3.1. 전화 사업
1953년 이후 "전신전화 확충개량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였다. 이 계획은 문자 그대로 전신(전보)와 전화의 보급을 위한 계획이였으며 1982년까지 6번에 걸쳐 시행되었다. 특기할 사항으로는 이미 5차 5개년 계획 전에 실시된 조사에 의하면 이미 수요 충족율이 91%를 달성했다는 것이다. 1969년 푸시폰(プッシュホン)이란 이름으로 버튼식 전화기를 도입했다.다만 전화기 규격 자율화[3]는 1981년 '전화기 자급제'라는 이름으로 시행한 한국보다 훨씬 늦어서 민영화 직전에야 가능해졌다(위 CF)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일본 영화나 드라마에서 주구장창 시커먼 옛날 다이얼식 전화기나 투박하게 생긴 흰색 전화기만 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3.2. 데이터 통신 사업
1971년 공중전기통신법의 개정에 따라 전용 데이터 서비스[특정], 전용 통신 서비스[특정], 가입 데이터 서비스[불특정]를 하였다.3.3. 기타 전용사업
고속 팩시밀리, 영상 전송 등 뭔가 '통신'과 관련되었다 싶으면 수요에 의해 사업을 하였다.4. 역대 임원
4.1. 총재
- 카지 타케시 (1952~1958)
- 오오하시 하치조 (1958~1965)
- 요네자와 시게루 (1965~1977)
- 아키쿠사 토쿠지 (1977~1981)
- 신도 히사시 (1981~1985)
4.2. 부총재
- 우츠보 츠토무 (1952~1958)
- 요코다 노부오 (1958~1962)
- 요네자와 시게루 (1962~1965)
- 아키쿠사 토쿠지 (1965~1977)
- 키타하라 야스사다 (1977~1985)
[1]
한국의
KT가 '한국전기통신공사'→'한국통신'으로 중간에 바뀐것과 달리 일본은 공기업 시절 내내 덴덴코샤 통칭을 계속 유지했다.
[2]
원래
1885년 내각제 시행 당시부터
1943년까지
체신성이 전화, 우편, 전기, 전신 및 육해운수, 항공 업무 등을 관할했는데, 1943년 체신성이 철도성과 합쳐져 운수통신성으로 재편되어 체신업무는 운수통신성 외국 통신원에서 담당했다. 그러다 2차대전 패전 직후 운수통신성에서 통신원이 분리되어 내각 직속 체신원이 설치되는 형태로
체신성이 부활하면서[7] 전화와 우편업무를 동시에 관할하다가, 얼마 안가 우정성[8]과 전기통신성으로 분리되었다.
[3]
197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이나 일본이나 개인이 직접 사는 형태가 아니라 전화국에서 규격으로 정해진 형태의 전화기를 임대해서 쓰는 방식이었다.
[특정]
기업체의 수요에 의해
[특정]
기업체의 수요에 의해
[불특정]
다수의 수요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