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21:14:55

일본 풋볼 리그/2019시즌


파일:일본 풋볼 리그 로고.svg
일본 풋볼 리그 시즌
2018 시즌 2019 시즌 2020 시즌

1. 개요2. 리그 진행3. 참가 클럽 및 리그 순위4. 시즌 결과

[clearfix]

1. 개요

2019년 일본 풋볼 리그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2. 리그 진행

그리고 2019시즌이 끝나가는 현재 FC 이마바리의 4위권 진입은 확정된 상황이다. 이 팀은 제 2의 마쓰모토 야마가라고 할만큼 지역의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팀이다.

11월 12일, 4위에 올라있는 도쿄 무사시노 시티 FC가 J3리그 승격 포기 의사를 밝혔다. 초반에 승격에 대한 진지한 생각을 하지 않고 있었다가 라이센스 제도의 완화로[1] 홈경기 3경기를 남기고나서야 갑작스럽게 J3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그런데 승격 조건중 하나인 평균 관중 2000명에 한없이 모자라서 남은 3경기에서 1만 5천여명의 관중수를 동원해야 했는데 홈구장의 수용 인원이 5100여명밖에 되지 않아서 5300여명의 관중이 입장했던날 수용인원이 초과되며 한계를 느꼈고 남은 한 경기에서 5천명 이상의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며 승격을 포기함을 알렸다.

3. 참가 클럽 및 리그 순위

○로 표기한 팀들은 백년구상 클럽, ☆로 표기한 팀들은 2019 시즌말 기준 J리그 라이선스를 확보한 팀들로 4위안에 든다면 J3승격이 가능하다. 이 중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경기장 건설 지연으로 인해서 2020시즌 J3리그 라이센스를 포기했고 FC 이마바리, 무사시노, 아오모리, 나라는 J3라이센스를 갖고있다.
순위 팀명 시즌 전적 승점 골득실
1 혼다 FC 19승 6무 5패 63 +29
2 소니 센다이 FC 16승 7무 7패 55 +26
3 FC 이마바리○☆ 13승 12무 5패 51 +15
4 도쿄 무사시노 시티 FC○ 13승 9무 8패 48 +5
5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11승 8무 11패 41 +3
6 혼다 록 SC 10승 11무 9패 41 +2
7 베르스파 오이타 10승 10무 10패 40 +6
8 FC 오사카☆ 10승 10무 10패 40 +1
9 MIO 비와코 시가 11승 7무 12패 40 -13
10 페르틴 미에☆[2] 10승 9무 11패 39 +4
11 FC 마루야스 오카자키 9승 11무 10패 38 0
12 스즈카 언리미티드[3] 9승 9무 12패 36 -4
13 FC 라인메르 아오모리○☆ 9승 9무 12패 36 -4
14 나라 클럽○☆ 8승 10무 12패 34 -5
15 마츠에 시티 FC[4] 5승 10무 15패 25 -25
16 류쓰케이자이대학 축구부 5승 6무 19패 21 -40

4. 시즌 결과

-2018 시즌 백년 구상 클럽중에서 연간 종합순위 3위를 차지한 반라우레 하치노헤가 J3리그로 승격했고, 최하위인 코발토레 오나가와가 전국 리그로 강등되면서, 두 빈자리를 스즈카 언리미티드, 마츠에 시티 FC가 채웠다.하지만 마츠에 시티는(...)

마츠에 시티의 12R 종료 후 결과물이 부실하다.
그래도 마츠에 시티는 이후 뒷심을 발휘하며 4승을 더 따내 최종성적 5승 10무 15패로 최하위를 면하며 강등 탈출에 성공했다.

시즌이 끝난 결과 FC 이마바리의 J3리그 승격으로 한 팀만 강등되는게 확정되면서 마쓰에 시티의 잔류가 확정되었고 류쓰케이자이대학이 지역리그로 강등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7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이전까지는 취득 조건에 만족이 안되면 무조건 라이센스 발급이 불가능했지만, 2019년 중반에 5년간의 유예기간을 주면서 그 안에 라이센스 조건의 충족이 가능한 클럽에 한해 발급을 허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 페르틴 쿠와나(Veertien Kuwana) 라고 되어있는 곳도 있다 [3] 지역리그 승격팀. [4] 지역리그 승격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