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1:16

픽션 면책 조항

파일:All persons fictitious disclaimer.jpg
이 작품에서 등장한 모든 이름, 인물, 사건들은 허구입니다. 실존하는 인물, 장소, 건물, 제품과는 일절 관련이 없습니다.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Fiction / All persons fictitious disclaimer

픽션 면책 조항이란 "작품에서 등장한 모든 인물, 이름, 집단, 사건은 허구이며 실존하는 것들을 기반으로 하지 않았다"고 밝히는 고지 사항이다. 명예훼손 같은 법적 문제로 소송을 당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로 실사 영화와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같은 매체에 들어간다.

종종 현실은 픽션보다 나쁘다고 표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연히 예외가 존재하는 법이라서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들을 등장시키는 일이 많은 정치풍자물 등이 그런 사례에 해당된다. 따라서 보통 정치풍자 장르, 사회에 대한 비판성이 있는 몇몇 작품에서는 픽션 면책 조항을 쓰는 일이 다른 장르에 비해서 많다.[1]

오히려 작품 내에서 적극적으로 이것이 픽션임을 어필하는 메타픽션이 있으며 작품 속 상황이나 이야기가 모두 실화라고 주장하는 실화 주장형 픽션도 있다.

영화에서는 No Animals Were Harmed, 저작권 정보 등과 함께 스탭롤의 말미에 나타나는계 관례이나, 케이스에 따라 영화 시작부분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2. 역사

그 기원은 1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2년 MGM에서는 라스푸틴과 황후(Rasputin and the Empress)라는 제목의 영화를 제작했는데 '나타샤'라는 캐릭터가 그리고리 라스푸틴에게 성폭행을 당했음을 암시하는 내용이 있었다.[2] 배심원단은 영화를 두 번 검토한 후 원고(이리나)가 명예훼손을 당했다는 데 동의했다. 이리나와 그녀의 남편 펠릭스 유수포프는 항소 법원에서 127,373달러(2020년 2,464,000달러 상당)의 손해 배상금을 받았다. 이후 더 이상의 소송을 당하지 않기 위해 이 영화는 수십 년 동안 배급이 중단되었다.

이 사건 이후 다른 영화 제작사들은 비슷한 법정 소송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픽션 면책 조항을 넣기 시작했느며 시간이 지난 후 영화뿐만 아니라 게임, 애니, 소설, 만화 같은 다른 매체에서도 픽션 면책 조항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 부분은 2022년 11월 13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게임 및 게임 홍보물에 언급되거나 묘사된 인명, 인물, 스크립트, 음성, 회사, 단체, 지명, 국명, 사건, 제품, 그리고 모든 고유명사는 전부 실제와는 일절 관계가 없이 허구적으로 창작된 것이며, 만일 실제와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이는 우연에 의한 것임을 밝힙니다.
- 명일방주에서 게임 시작시 알려주는 내용 일부
국가적 명예에 대해 민감할 때도 사용하는 편인데 완전한 창작물에 존재하는 배경이 현실에 존재하는 국가나 소속이 모티브로 이루어진 조직이 존재할 때 사용되는 편이다. 얼핏 보면 면피성 발언처럼 보이지만 중국처럼 매체에 대한 검열이 엄격한 나라에선 이를 수정하지 않으면 국가 차원으로 아예 차단하거나 처벌하도록 조치를 취하는 편이다.
본 애니메이션 속 사건과 장소는 실제가 아닌 가상으로 꾸며진 이야기입니다.
- 신비아파트 시리즈 시즌 2 시작 시 나왔던 고지 사항
신비아파트 시리즈 역시 시즌 2가 방송되었을 당시 2017년경부터 2010년대 후반 방송분까지는 재방송분에서도 픽션 면책 조항을 달았던 적이 있었는데 그 고지 사항이 나타나기 바로 전에는 시즌 1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하리와 두리가 신비를 보고 기뻐하는 장면을 재탕한 장면이 나왔다. 아무래도 왕따를 당하던 캐릭터들이 나온다거나 혐오스러운 디자인을 가진 귀신들이 자주 나와 시청자들에게 공포감을 느낀다는 평가가 많아서 제작된 경고로 보인다.

곤지암은 이 조항을 2번이나 달고도 실제 병원 소유주가 '건물 매각에 차질을 줄 수 있다'며 상영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기사

3. 관련 문서



[1] 이는 사우스 파크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2] '나타샤'라는 캐릭터는 MGM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러시아의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유수포바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