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3:11:15

의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에 위치한 저수지에 대한 내용은 의림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오강호의 등장인물
의림
儀琳 / Yílín
[1]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의림.jpg
드라마 〈 신소오강호(2018)〉의
의림(장쭤쥔(姜卓君) 분)
<colbgcolor=black><colcolor=#CC864F> 소속 항산파 (제자)
등장작품 - 소설 《 소오강호(원작)
- 각종 2차 창작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lack><colcolor=#CC864F> 성별 여성
민족 한족
언어 중국어( 근고한어)
자택 무색암(無色庵)
( 명나라 산서등처승선포정사사 대동부 항산(恒山))[2]
가족 불계[3] (아버지)
아파파[4] (어머니)
}}}}}}}}} ||
1. 개요2. 작중 행적3. 2차 창작

[clearfix]

1. 개요

儀琳

소설 《 소오강호》의 등장인물.

항산파 비구니. 정일사태(定逸師太)의 제자. 아버지는 불계(不戒), 어머니는 아파파(啞婆婆). 소설 초반에 영호충이 본격 등장하기 전까지 그와 있었던 일들을 오악검파 사람들에게 구술하는 인물로서, 영호충에게 깊은 호감을 가지고 있다. 아버지 불계와 제자 전백광과 함께 여러 번 영호충을 구하는 인물이며, 그로 인해 영호충의 신뢰를 받고 있는 터라 다른 항산파 제자들로부터 '네가 후임 장문인이 되어야 한다'는 소리까지 듣기도 한다.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항산파 정일사태의 제자. 영호충이 목숨을 구해준 후[5][6] 홀딱 반해버렸지만, 영호충에게는 계속 사랑하는 여인이 있었고, 그녀 자신은 여승이었기 때문에 맺어질 수 없었다. 물론 속마음으로는 영호충만 원한다면 첩으로라도 들어갔겠지만[7], 정작 영호충은 의림을 여동생 이상으로 생각치 않았고, 임영영에 대한 일편단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녀에게 미안한 일을 하지 않으려 했다. 게다가 이런 점을 의림 스스로도 깨닫고 있었기에 짐이 되지 않고자 포기한 것. 영호충과의 관계 때문에 의청, 의화등은 임시로 장문을 맡게된 영호충이 3사태의 복수를 마치고 나면 다음 항산파 장문인으로 의림이 되었으면 할 거라 여겨 의림에게 항산검법을 열심히 수련 시킨다. 소오강호 최고의 빌런 악불군은 결국 의림의 칼에 찔려 죽는데, 개세의 무공을 가진 자도 어린 비구니의 칼에 죽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물론 개정판에서는 다른 내용으로 변경되었다. 게임에서도 만날 수 있고 영호충과는 아직까지는 접점이 그다지 큰 편은 아니다. 역시 선물을 줄 수 있는데 법화경 같이 경전을 선물로 줄 수 있다.

3. 2차 창작

드라마 1984년판 배우는 황만응이다.


[1] 간체자로는 '仪琳'. 광동어 윳팽으로는 'ji4 lam4' [2] 현대 기준으로는 ' 중국 산시성(山西省) 다퉁시 훈위안현(浑源县)' [3] 不戒 [4] 啞婆婆. 현공사(懸空寺) 영귀각에 있는 귀머거리 노파이다. 실제로는 청각장애가 없었으며 의림을 위해서 귀머거리인 척 한 것이다. [5] 정확하게는 전백광에게 겁탈을 당할 뻔한 것을 영호충이 목숨을 걸고 구했다. 굳이 생명의 위협까지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오히려 그 때 중상을 입은 영호충을 의림이 치료해줬으니 생명의 은인은 이 쪽? [6] 당시에는 정절을 엄청나게 중요히 여겼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목숨을 구해준 것도 맞다. 정절과 명예를 지켜주었으니까, 목숨을 구해준 것 이상이다. 더욱이 항산파는 불문으로 그녀의 신분도 승려이니 자칫하면 계율을 깨뜨리고 내쳐질 뻔한 위기였다. 일례로 영중칙이 종불기와 싸울 때 패색이 짙어져서 몸수색(=다른 남자와의 신체접촉)을 당할 위기에 놓이자 영호충은 정절을 보전하기 위해 영중칙을 살해하려 하고, 영중칙은 그러한 영호충에게 오히려 고마운 마음을 가질 정도였다. [7] 실제로 의림의 어머니가 영호충에게 의림과의 결혼을 강요하다가 포기하고 첩으로라도 데려가라고 한 바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