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02:44:26

유략(삼국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손오의 영릉태수에 대한 내용은 유략(영릉태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손오의 남해태수에 대한 내용은 유략(남해태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留略
생몰년도 미상

[clearfix]

1. 개요

삼국시대 손오의 무장이자 유찬의 아들, 유평의 형으로 동해태수를 지냈다.

2. 정사

252년에 제갈각의 명으로 동흥에 쌓은 큰 제방의 두 성 중 하나인 동성을 지켰으며, 서성을 지킨 전단과 함께 호준 제갈탄의 공격에 저항해 위군은 제갈각, 유찬, 여거, 당자, 정봉 등이 이끄는 군대에 패한다.

255년에 손준은 풍조를 위위, 오양을 광릉태수, 유략을 동해태수에 봉해 광릉에 성을 쌓으려고 했는데, 모두가 이 곳에는 성을 쌓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알았지만 오직 등윤 만이 불가능하다고 진언했다. 결국 손준은 무시하고 이 일을 밀어붙였지만 모두의 예견대로 이 해에 큰 가뭄이 들어 축성은 실패했다.

3. 연의

손권이 죽었을 때 오나라를 공격한 사마소군을 상대로 정봉의 원군이 올 때까지 시간을 버는 역할로 나온다.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 시리즈/장수(ㅇ)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삼국전투기

아버지 유찬 드래곤 길들이기의 스토이크로 등장하면서 유략은 자연스럽게 히컵으로 패러디 되었다. 다만 등장 자체는 유략이 몇 컷 정도 더 빨랐다.

동흥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동흥제의 동성을 수비하고 있었으며, 병사에게서 위군이 호수에 부교를 놓아 바로 제방으로 올라오려 한다는 보고를 듣고 철저한 방어 태세를 갖추기로 정했다. 병사가 적이 제방으로 올라올 때 선제공격을 하는 것을 주장하기도 했지만, 동성과 서성의 병력을 합쳐 봐야 2천 언저리라 상대의 수 만 병력에 유의미한 피해를 줄 수도 없고 거기에 역습을 당해 성이라도 잃게 된다면 일이 제대로 꼬일 수 있으므로 처음에 정해진 대로 지원군이 올 때까지 성을 지키기로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