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00:52:58

우동 한 그릇

우동 한그릇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www.ibuybook.co.kr/1157715614Ri2.jpg

1. 개요2. 등장인물3. 줄거리4. 논란
4.1. 실화기반 여부 논란4.2. 작가의 범죄 행각4.3. 이후
5.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작가 구리 료헤이 원작의 단편 소설.

원래는 구리 료헤이가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구연하던 이야기였으며, 실화를 바탕으로 쓰인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과거 보물섬 만화로도 나온 적이 있다.[1]

배경은 홋카이도 삿포로시다.

1988년 한 라디오 방송에 소개되면서 유명해졌고, 이듬해 2월 공명당의 오오쿠보 나오히코 의원이 중의원 예산위원회 회의장에서 이 이야기를 낭독한 것을 계기로 일대 붐이 일게 된다.

2. 등장인물

3. 줄거리

1972년부터 매년 북해정이라는 한 음식점에, 섣달 그믐날 밤에 한 어머니와 두 아들이 찾아와 소바 1그릇을 시켜 먹는다. 그리고 그 다음 해에도 찾아와 소바 1그릇을 시켜 셋이서 나누어 먹는다. 해마다 찾아오는 가족이 안쓰러워서 사장(겸 주방장)의 부인이 "한 그릇은 서비스로 하자"고 말한다. 하지만 사장은 "그런 거 없다"고 하면서도 을 삶을 때 면 한 그릇 반 양을 넣어준다. 두 그릇 이상을 삶으면 티가 나서 가족들이 부담스러워 할까 봐.

그러던 어느 해에 소바 2그릇을 시키면서[2] 세 모자의 사정이 드러났다. 이미 세상을 떠난 아버지가 일으킨 사고로 8명씩이나 되는 사람들이 죽거나 부상을 입었던 것.[3] 세 모자는 고생고생하며 돈을 갚았고, 돈을 다 갚은 날 소바 두 그릇을 시켜서 먹은 것. 이때 동생은 나중에 일본에서 제일가는 소바 가게 주인이 되는 것이라고 꿈을 이야기해서 가게 주인의 눈시울을 붉히게 만들기도 했었지만, 결국 자라서 은행원이 되었다.

그리고 다음 해부터 세 모자는 찾아오지 않았다. 세월이 흘러 가게를 새롭게 꾸몄지만, 그때 세 모자가 앉았던 테이블만 바꾸지 않고 놔두었고 이 사연은 유명해진다. 어느 해 섣달 그믐날, 주인 부부는 이번에도 예약석에 손님이 찾아오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날 밤에는 청년이 된 아들들과 어머니가 다시 찾아오게 된다. 그리고 가장 호화로운 음식인 소바 3그릇을 시켰다. 잠시 멍하니 있었던 사장은 '당신이 그토록 기다리던 손님이 왔는데 주문 안 받고 뭐하냐'는 손님의 충고에 정신을 차리고 세 모자의 주문을 받아들인다.

4. 논란

4.1. 실화기반 여부 논란

명확한 교훈은 없으나 찢어지게 가난한 세 모자가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살아 결국 성공하게 되는 감동적인 이야기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한창 일본에서 붐을 일으킨 1989년에 이에 대한 반발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가 아닌 작가의 순수 창작이 아니냐는 의문이 조금씩 제기되기 시작했다.

일단 작중의 시대 배경인 1970년대 초반의 사회상을 고려해도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이 너무 많다. 전직 만담가였던 일본의 원로 방송인 카미오카 류타로는 가게 문을 닫기 직전이라면 아마 팔다 남은 면이 있었을 테니 만약 가게 주인이 세 모자의 사정을 알았다면 3인분을 내주었어야 아귀가 맞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으며, 우동 한 그릇 붐에 종지부를 찍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1989년 5월 19일 후지 TV의 예능 ' 와랏테이이토모'에서 MC 타모리가 우동 한 그릇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 당시는 150엔만 있으면 인스턴트 소바 3개는 살 수 있었을 것이다", "눈물의 파시즘" 등 작품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발언을 한 일이다. 실제로 토시코시소바를 가게에서 먹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보통은 1년의 마지막을 돌아보며 집에서 단란히 먹는 경우가 더 많기도 하다. 게다가 작중에서 소바 한 그릇의 가격으로 언급되는 150엔은 1970년대 초 당시의 일본 물가를 고려하면 너무 비싼 금액이었는데, 타모리의 발언은 바로 이 점을 지적한 것. 그 돈으로 츠유와 건조면을 사서 집에 두고 먹었으면 적어도 3일은 소바로 때울 수 있다.

4.2. 작가의 범죄 행각

한편, 타모리의 비판을 전후로 작가를 둘러싼 각종 추문들이 하나씩 폭로되기 시작했다. 시가현의 한 소바집 주인이 지역 언론에 폭로한 일로, 구리 료헤이가 이 소바집에 세 들어 사는 동안 소아과 의사를 사칭해 마을 주민들에게서 약값 명목을 돈을 받아 챙기는가 하면, 자동차를 빌린다는 명목으로 소바집 주인에게 10만 엔을 빌려가 그대로 자취를 감추는 등 사기 행각을 저질렀다고 한다.

4.3. 이후

결국 우동 한 그릇 붐은 불과 5개월여 만에 급격히 사그러들었다. 타모리가 감동적인 이야기를 폄하했다며 작품과 작가를 옹호하는 여론도 있었지만, 말 그대로 극히 일부의 의견이었다. 그나마도 작가의 각종 사기 행각과 학력위조 불륜 등 각종 추문들이 폭로된 이후에는 이런 옹호론도 사실상 묻혔다.

한국에서는 인터넷 시대 한참 전에 벌어진 일이었던 데다가, 신문에서도 잘 다뤄지지 않아 이런 뒷사정이 잘 알려지지 않아 아직도 감동적인 동화로 인식되어 있고 청소년 추천 도서에도 자주 거론되지만, 일본에서는 전술된 일련의 추문들로 인해 내용과는 상관 없이 불쏘시개 신세가 되었다. 시사 만화가 주완수가 일본인 아내 '켄짱(별명)'과 이 책 이야기를 하다가 아내의 "그 책, 일본에선 아무도 안 봐요. 작가가 그걸 영화로 만든다고 여기저기서 돈만 받는 사기를 저질렀거든요"[4]라는 말에 놀라 인터넷을 찾아봤지만 한국 쪽에서는 관련된 정보를 도통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일본 사이트들을 여기저기 찾아봤더니 일본에서는 아주 인간 말종 취급을 받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결국 작가는 학력위조와 영화화 판권에 관한 사기죄로 2014년까지 수감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어떻게 보자면 일본에서는 실체가 드러나서 제명되는 와중에 한국에서는 만화나 위인전의 주인공으로서 추앙받던 노구치 히데요와 비슷한 부류.

5. 기타

한국에서는 " 우동"을 먹은 것으로 나와 있는데, 실제로 일본 사람들이 연말에 먹는 건 우동이 아니라 '토시코시소바(年越しそば)'[5]라는 메밀국수다. 참고로 토시코시소바에 해당하는 단어가 우리나라에는 없고, 그나마 잘 알려진 요리 중 따뜻한 국물과 함께 먹는 일본식 면 요리가 우동이기 때문에 이렇게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 소바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차가운 국물에 찍어먹거나 말아먹는 자루소바를 생각하기 때문. 면이면 다 상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본디 굵고 뚝뚝 끊어지는 우동 면이 아니라 가늘고 긴 메밀온면을 포기하지 않고 가늘고 길게 가는 삶의 내러티브로 삼은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6]

과거 뽀뽀뽀에서는 우동 대신 떡국으로 번안해서 내보낸 적도 있었다. 새해랑 관련된 음식이라고 하면 우리나라는 떡국이 먼저 떠오르고, 1990년대 후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이기도 해서 그렇게 번안한 것으로 보인다.

대만에도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된 일이 있었다. 2006년 3월에 있었던 일로, 어느 가난한 가족의 어머니가 에 걸려 입원 중이었을 때 다섯 아이가 어머니를 간병하느라 밥을 제대로 먹지 못하자 이를 딱하게 여긴 병원의 간호사가 아이들에게 완탕면을 사 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다섯 아이 중 셋이 면만 건져 먹고 완탕을 남겨서 이상하게 여겨 물어보니, 엄마가 이걸 먹고 빨리 나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어머니에게 주려고 남겼다는 것이다. 이에 감동한 간호사가 아이들의 사연을 소개했고, 이것이 순식간에 대만 전역에 알려지게 되면서 여기저기서 이 가족을 돕게 해달라는 요청이 쇄도했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어머니는 1개월 후인 동년 4월 투병 끝에 아이들을 남겨둔 채 돌아오지 못할 먼 길을 떠났으며, 당시 대만 총통인 천수이볜이 직접 애도를 표했다고 한다.

한국의 좋은생각 잡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고아로 보이는 삼남매가 동생 생일이라서 중국집에 왔는데 큰누나가 동생을 챙기느라 자신은 먹지 않는 걸 보고 여주인이 기지를 발휘해서 아이들 부모의 지인인 척 해서[7] 아이들이 자존심 안 상하도록 선심을 베풀었다는 이야기다. 감동스러운 이야기를 엮은 만화책 '으악! 너무너무 슬프다!'에서도 이 이야기가 그려졌으며, TV동화 행복한 세상에도 살짝 바리에이션이 다르지만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8]

이어령의 저서 《축소지향의 일본인 그 이후》 에서 이 이야기를 분석해 놓았다.

면 자체의 가격은 딱히 비싸지 않아서, 일본의 소바집에 가서 면의 양을 1.5배, 혹은 2배로 시키면 기본 가격에서 50~100엔만 더 내면 된다. 물론 머릿수만큼 시키는 게 예의지만, 사정도 있고 한가한 시간엔 딱히 주인이 손해보는 것도 아니니, 여의치 않으면 이렇게라도 시켜서 이왕 온 거 배불리 먹일 수 있었는데 그렇지 않은 건 의문. 물론 이 당시에는 식권 자판기 같은 게 아예 없었고, 식당 주인에게 직접 입으로 말해야 하니 부담스러울 수 있었던 것은 감안해야 한다. 애초에 지금의 시대상과 완전히 다른 때였기도 하고.

한국에서 비슷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철인 7호 홍대점 선행 참조. 완전 허구의 내용인 우동 한 그릇과 달리 이쪽은 실화다.


[1] 문제집에 부록 형식으로 수록된 적도 있는데, 이 버전은 첫 번째로 소바를 시키고 계산하고 나가는 장면에 "아이 재수 없어"라는 괴언이 딱딱한 폰트로 작게 적혀 있다. [2] 주인은 마찬가지로 소바를 1인분당 한 그릇 반 양으로 넣어줬다. 3인분을 준 셈. [3] 물론 보험을 들어두긴 했지만, 그 보험금만으로는 배상액이 모자랐기 때문에 매달 한 사람당 5만 엔(한화 약 50만 원. 현재 가치로는 10배 이상)씩을 더 주어야 했다. [4] 다만 영화 자체는 베테랑 감독이 손을 대서 그럭저럭 괜찮게 나온 편이다. 작가의 행각들 때문에 덩달아 무시 당하고 있는 게 문제. [5] 직역하자면 해넘기기 메밀온면. [6] 스즈키 나오키가 홈페이지와 어느 잡지에 이러한 이야기를 기고한 적이 있다. [7] 아이들 대화로 대충 이름을 파악. [8] 한 사람이 중국집을 열고 '맛 없으면 돈을 받지 않겠다'는 벽보를 붙여놓았다. 그렇게 중국집을 운영하던 어느 날 한 할아버지와 손자가 와서 짜장면을 한 그릇만 시킨다. 손자는 짜장면을 맛있게 먹고 할아버지는 이를 흐뭇하게 보고만 있었는데 손자가 양이 모자랐는지 짜장면 한 그릇을 더 먹고 싶다고 하고, 돈이 한 그릇 값 밖에 없던 할아버지는 당황한다. 이를 보고 사정을 눈치챈 중국집 사장이 갑자기 요리사에게 짜장면 맛이 왜 이러냐며, 이래선 돈을 받을 수가 없으니 빨리 두 그릇 더 내 오라는 말을 하며 할아버지와 손자에게 짜장면을 공짜로 대접한다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