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9-18 23:18:09

왕조의 아침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1131536517_1.jpg

대한제국 연대기의 작가 김경록이 제국의 계보 완결 이후 쓴 작품으로 전작들과는 세계관이 무관하다. 2016년 3월 8권으로 완결되었다.

하지만 타임슬립물인 것은 마찬가지인데 2030년대에 사는 이민이라는 대학원생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고려 의종 때, 정확히는 무신정변으로부터 10여년 정도 전으로 타임슬립해서 여러가지 경위를 거쳐 정과정가를 쓴 정서의 양자가 되어 정씨 가문이 향리로 있는 동래 지역에서의 이앙법과 수차 도입, 일본과 송과의 중개무역에 나서고 권력싸움에서 밀려난 양부 정서를 다시 개경으로 돌려보내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등[1] 역사에 개입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주인공이 여러 플래그를 꽂는다. 제주도에 키울 종마를 구하려다 만난 고려-여진족 혼혈 여인 다르발지[2], 정서와 친분이 있어서 잠시 맡았던 의종의 동생 대령후 왕경의 딸 왕연[3]에 이어 3권 시점에서 다르발지가 금의 수도 중도를 향해 주인공을 만나러 가는 길[4]에 백두산 부근에서 남송으로 못 가고 만주에 있던 북송 황족의 후손인 조인영을 구해서 4권에서 요양에서 주인공과 재회하는데 조인영의 경우 플래그는 안 생길 듯했으나 다르발지가 자신의 불리한 입지를 조금이라도 타개하고 주인공 입장에서 송과의 연줄을 만들 수 있다는 명분으로 자신과 함께 첩으로 들이라고 바람을 넣고 있는 상황이다.

주인공이 3~4권에서 고려와 금 양국의 음모를 헤치고 사신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뒷날의 금세종, 주희, 서하의 야리웅과 긴요한 연줄이 생겼는데 6권에서 해릉양왕의 축출 과정에서 공고해졌다. 그리고 의종의 친위 쿠데타 시도가 실패하면서 의종은 목숨을 잃고 대령후가 제위에 오르게 되었다. 대령후가 제위에 오른 후 제위 등극에 공을 세운 문벌귀족들이 각자 영지를 하사받아 고려의 황제를 천자로 모시지만 영지 내에선 직접 통치하는 제후의 자리에 오르는데, 주인공 아버지인 정서도 고향과 인근 땅을 하사받아 제후가 되고 주인공은 제후의 후계자인 세자가 된다.

7~8권은 자리를 잡고 동북아 해상무역을 주도하면서도 서서히 이제까지의 동맹이 분열되고 적대적 관계로 서서히 나타났으며, 주변의 금이나 남송으로부터 속국으로 인정받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동시에 조인영이 현 황제의 사촌누이. 즉, 북송의 황태자의 유일한 혈육인 것으로 인해 남송이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라도 속국으로 인정한 정치적인 이유도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장인인 왕과의 인연은 악연으로 돌아가 사실상 자기 영지를 그동안 키운 포병과 총병을 비롯한 전력으로 자기한테 쳐들어올 김돈중과 이의민 세력을 척결하는데 성공. 에필로그가 되는 세계 최초 세계 일주를 한 항해가의 생애에서 주인공이 죽었을 때에 누구도 부정 못 하는 강국으로 인정받고 그 이전 시기 겨우 북방의 섬들을 돌아봤다는 시선에도 귀족 작위를 주며 친히 대접했다는 것에 안이해지던 국가의 역동성을 다시 일깨워주았다는 점은 열린 결말이지만 신대륙 진출 및 신대륙으로의 영토 증강을 장기적으로 생각한다는 의견도 있다.


[1] 원래 역사대로라면 정서는 무신정변 직후에야 개경으로 돌아오는데 여기서는 그보다 10년 정도 먼저 돌아오게 된다. [2] 때가 돼서 다시 만나면 맺어지자고 하고 증표를 나누었고 4권에서 금에 사신으로 온 주인공과 재회하고 5권에서 고려로 들어간다. [3] 지방에 유폐된 대령후가 자기랑 같이 유폐되어 지내는 것보다 정씨 집안에서 돌보면서 혼인할 사람 알아봐달라고 해서 데리고 있게 된 것인데 매우 당차고 총명하다. 다만 정서가 개경에서 쫒겨난 이유도 이 대령후와 관련 있는 관계로 주인공이 잘 돌보는 것까지는 하지만 나이도 현재의 중고등학생정도로 당시로서는 적령기지만 주인공이 보기에는 어리고 정치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봐서 주인공은 자신의 혼인 상대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데 의종의 수레에 화살이 날아오는 사건에서 역사와 달리 대령후가 아닌 익양후(원래 역사에서의 명종)이 다 뒤집어쓰게 되어 대령후가 딸과 함께 개경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또한 개경으로 돌아왔다고 하나 미관말직이었던 정서도 고위관직에 복귀하면서 그동안 할까 말까 하던 자신의 양자와 대령후의 딸과의 혼인을 대령후와 더불어 종용하게 되고 주인공과 혼인하고 싶다는 그녀 본인의 의지를 주인공이 이기지 못하고 약혼을 하게 된다. 정식 혼인은 아직 대령후가 의종의 의심을 받고 있는 관계로 천천히 하기로 하는데 의종이 주인공을 불리한 조건속에 사신으로 금나라에 보내게 되면서 혼인해도 좋다고 해서 금나라에서 돌아온 이후에 혼인할 듯하다. 사실 주인공이 데리고 있던 시절 주인공이 종마를 구하고 오면서 다르발지와 나눈 증표를 보고 질투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 왕연이 주인공이 다르발지에게 얻은 부케팔로스마냥 남들은 못 다룰 정도의 거친 명마 죠보훈을 주인공과 다르발지과 더불어 얌전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 고려-여진족 혼혈 여인과 왕족의 딸의 구도는 이 작품와 유사하다. [4] 주인공이 사신으로 금나라로 가는데 그때 금나라의 황제는 하필이면 해릉양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