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3:04:08

연율포고정식

연률포고정식에서 넘어옴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파일:連慄砲固定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연율포고정식,
일어판명칭=<ruby>連慄砲固定式<rp>(</rp><rt>れんりつほうこていしき</rt><rp>)</rp></ruby>,
영어판명칭=Simultaneous Equation Cannons,
효과1=①: 레벨 / 랭크의 합계가\, 서로의 패 / 필드의 카드의 수와 같아지도록\,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엑시즈 몬스터 2장(같은 랭크)과 융합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그 후\, 이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2=●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레벨 / 랭크의 합계가 그 몬스터의 레벨 / 랭크와 같아지도록\, 자신의 제외 상태인\, 엑시즈 몬스터 1장과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제외한다.)]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공개된 함정 카드. 일시포고정식 다음으로 공개된 포고정식 시리즈로, 이번엔 연립방정식이다.

효과를 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이 카드의 발동을 선언한다.
  2. 이 카드의 처리 시에,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같은 랭크의 엑시즈 몬스터 2장과 융합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제외하는 몬스터들의 랭크와 레벨의 총합이 양 플레이어의 패 / 필드의 카드의 합계와 같아야 한다.)
  3. 그 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제외된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 1장과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되돌리는 두 몬스터의 랭크와 레벨의 합계가 상대 몬스터의 레벨 / 랭크와 같아야 한다.)
  4. 되돌리는 것에 성공했다면, 상대 필드의 카드를 모두 제외한다.

제외된 몬스터를 되돌릴 때, 반드시 이 카드의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만을 되돌려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카드를 발동하기 이전에 이미 제외되어 있었던 엑시즈 / 융합 몬스터를 되돌릴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엔 아래에서 설명할 연립방정식처럼 되지 않는다.

이 카드를 발동하기 이전에 제외된 융합 / 엑시즈 몬스터가 없다고 가정하자.

[math(a=)] 양 플레이어의 패 / 필드 카드의 수 ([math(a≥0)])
[math(b=)]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의 레벨 / 랭크 ([math(b≥1)])[1]
[math(x=)] 자신이 엑스트라 덱에서 제외할 엑시즈 몬스터의 랭크 ([math(1≤x≤13)])
[math(y=)] 자신이 엑스트라 덱에서 제외할 융합 몬스터의 레벨 ([math(1≤y≤12)])

[math(\begin{cases}a=2x+y\\b=x+y\end{cases})]

이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math(\begin{cases}x=a-b\\y=2b-a\end{cases})]

이 때 [math(1≤x≤13)], [math(1≤y≤12)]이므로 [math(3≤a≤38)], [math(2≤b≤25)][2]여야 한다.

여기에 대부분의 실전 상황에서 몬스터의 레벨 / 랭크가 13 이하라는 것을 감안하여 [math(b)]의 값을 13 이하로 한정한다면, [math(0.5a < b < a)] 라는 간단한 부등식을 만족하는지만 확인하면 충분하다.

만약 모종의 이유로 상대 필드 위에 레벨 / 랭크가 13을 초과하는 몬스터가 존재하고 그 몬스터를 고르려 한다면, [math(0.5a < b < a)] 뿐만 아니라 [math(b+1≤a≤b+13)]와 [math(2b-12≤a≤2b-1)]까지도 함께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한다.[3]

이 카드의 사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쪽의 패 / 필드의 카드 수([math(a)])를 센다.

2. 상대 필드에, [math(0.5a)]보다 크고 [math(a)]보다 작은 레벨 / 랭크을 가진 몬스터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 그 값을 [math(b)]라고 하자.

3. [math(a-b)]가 자신이 엑스트라 덱에서 제외할 엑시즈 몬스터의 랭크가 된다.

4. [math(b)]에서 3의 결과값을 뺀 수치가 자신이 엑스트라 덱에서 제외할 융합 몬스터의 레벨이 된다.

Ex) 양쪽의 카드가 14장이고, 상대 필드에 레벨 8 몬스터가 존재한다면,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랭크 6 엑시즈 몬스터, 레벨 2 융합 몬스터를 사용하면 된다. (14-8=6, 8-6=2)

조건을 맞추는 데에 성공하면 엑스트라 덱에서 엑시즈 몬스터를 1장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를 모조리 제외하는 강력한 카드이지만, 조건을 맞추기가 매우 빡빡해서 실전성은 떨어진다. 이 카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그나마 어떻게든 엑스트라 덱 문제만 잘 해결한다면, 일시포고정식보다는 쓰기 쉽다. 일단 성공만 한다면 파괴력 하나는 확실하니, 라뷰린스 메타비트 덱이라면 재미삼아 써 볼 수는 있다. 또한 이 카드를 쓰기 전에 제외된 엑시즈 / 융합 몬스터가 존재한다면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더 많아지므로, 관련 기믹을 가진 카드와 연계할 수도 있다.

트랜잭션 롤백으로 이 카드의 효과를 베끼는 것은 가능하나, 이 카드는 별도의 발동 조건과 코스트가 없으며 모든 문장이 효과 처리이기 때문에 트랜잭션 롤백으로 효과를 베끼더라도 위의 문장에 따른 효과 처리를 전부 그대로 이행해야만 한다.

수학 관련 카드가 나온 이유는, 이 카드가 공개된 날짜인 2024년 1월 14일이 한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해당되는 일본의 2024년 대학입학공통테스트의 2일차가 되는 날이며 이 날 수학 과목의 시험이 실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러스트에선 일시포고정식을 만든 기계가 레이저를 하나 더 발사, 두 레이저를 하나로 모으고 있다.

이 카드가 엑시즈 몬스터와 융합 몬스터를 지정한 것은, 엑시즈(Xyz)와 융합(Yūgō)으로 미지수 x, y를 표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4-01-27 |
[[일본|]][[틀:국기|]][[틀:국기|]] LEDE-JP080 | レガシー・オブ・デストラクション [ LEGACY OF DESTRUCTION ]
2024-04-13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LEDE-KR080 |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2024-04-26 |
[[미국|]][[틀:국기|]][[틀:국기|]] LEDE-EN080 | LEGACY OF DESTRUCTION

4. 관련 카드

4.1. 일시포고정식


[1] [math(x)], [math(y)]와는 달리, 레벨 / 랭크 증감 효과로 인해 13을 초과할 수도 있다. [2] [math(b)]의 값은 레벨 / 랭크 증감 효과로 인해 13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 부등식은 그러한 상황에서도 25를 초과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3] [math(x=a-b)]를 [math(1≤x≤13)]에 대입하여 [math(b+1≤a≤b+13)]를 유도할 수 있고, [math(y=2b-a)]를 [math(1≤y≤12)]에 대입하여 [math(2b-12≤a≤2b-1)]의 부등식도 함께 유도할 수 있다. 사실 [math(b)]의 값이 어떤 값이든 일반적으론 이 조건들을 빠뜨리지 않고 함께 만족해야 하지만 이 부등식은 어디까지나 수학적인 측면에서의 이론적인 설명일 뿐이다. 실전에선 몬스터의 레벨과 랭크가 13을 초과하는 상황이 흔하진 않기 때문에 저렇게까지 복잡하게 계산할 필요는 없고 [math(0.5a < b < a)] 라는 부등식에 초점을 두고 기억하면 된다. 대부분의 실전 상황에선 [math(b)]가 13 이하인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math(0.5a < b < a)]만 만족하면 상술한 모든 조건이 자동으로 충족되기 때문이다. [4] 저레벨 / 저랭크로 채워야 그나마 사용할 각이 자주 나온다. 예를 들어 두 소환법을 모두 활용하는 사이버 드래곤 테마에서 불순물 없이 이 카드를 사용하려면, 해당 테마의 융합 몬스터가 최소 레벨 5, 엑시즈 몬스터가 최소 랭크 5이므로, 상대 필드 위에 레벨/랭크 10 이상의 몬스터가 존재하고 양측의 카드의 수가 15장 이상이어야 한다. 아주 보기 힘든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이외의 상황에는 무조건 놀 수밖에 없는 카드이므로 덱에 넣기는 힘들다. [5] 원시생명체 니비루의 토큰은 레벨이 11로 너무 높아서 쓰기 어렵다. 니비루가 통과된 상황이면 카드 수가 11 이하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