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6:57

바람/종류

여름바람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바람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봄바람 가을바람 겨울바람 여름 계절풍 소슬바람 문서를 본 문서로 병합한다 다시 분리하기 위해서 2500자 이상 확보 필요하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봄바람 가을바람 겨울바람 여름 계절풍 소슬바람 문서를 본 문서로 병합한다 다시 분리하기 위해서 2500자 이상 확보 필요하다
토론 - 틀:계절바람은 삭제한다
토론 - 위 합의된 사항 중 가을바람과 소슬바람에 대한 합의를 파기한다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계절별 종류
1.1. 봄바람1.2. 가을바람1.3. 겨울바람
2. 계절풍
2.1. 여름계절풍2.2. 겨울계절풍
3. 고도별 종류
3.1. 지상풍(마찰풍)3.2. 상공풍
3.2.1. 지균풍3.2.2. 경도풍
4. 방위별 종류
4.1. 북풍4.2. 서풍4.3. 동풍4.4. 남풍
5. 대기 대순환6. 기타

1. 계절별 종류

참고로 이 중에 여름바람은 없다.

1.1. 봄바람

파일:봄바람.jpg
봄철에 불어오는 바람.

봄을 맞아 이성 관계로 들뜨는 마음이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쓰이는 단어로, 시나 노랫말에 자주 사용된다. 다만 이미지와는 다르게 봄바람은 상당히 거칠다. 온갖 산불 확산의 원인이며 기압배치로 내륙에도 강풍특보가 자주 내려지는 원인 역시 봄바람이다.

1.2. 가을바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을바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겨울바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레데리크 쇼팽 에튀드 Op.25 No.11에 대한 내용은 프레데리크 쇼팽/에튀드 문서
4.2.11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계절풍 중 하나로 겨울에 부는 찬 바람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시베리아 기단에서 불어오며 북풍, 삭풍, 찬바람이라고도 불린다. 서브컬쳐계에서는 같은 이름의 노래가 있기도 하다. 좋은 점은 미세먼지가 없는 것이다.[1]

2. 계절풍

이쪽은 기상학적인 내용.

2.1. 여름계절풍

파일:여름바람.png

2.2. 겨울계절풍

3. 고도별 종류

3.1. 지상풍(마찰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지표로부터 통상 1km 이내의 마찰층에서 부는 바람. 바람의 속도에 마찰력이 관여한다.

3.2. 상공풍

통상 1km 이상의, 지표면과의 마찰이 존재하지 않는 상공에서 부는 바람.

3.2.1. 지균풍

상공에서 기압 경도력과 전향력이 평형을 이루어 부는 바람. 등압선이 직선에 가까울 때 우세하게 나타나며, 등압선과 나란하게 부는 경향이 있다.

3.2.2. 경도풍

상공에서 등압선이 굽어졌을 때, 내지는 원형일 때 전향력, 기압 경도력, 원심력이 작용하여 부는 바람.

4. 방위별 종류

4.1. 북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우리말: 높바람, 된바람, 댑바람, 뒤바람, 뒷바람, 뒤울이, 고든하누,북새.
한자어: 광한풍, 광막풍, 북새풍.

주로 겨울에 많이 분다. 11월~3월에 한기가 남하할 때마다 불며 한파를 몰고 온다. 북~북서풍이 불면서 추워지게 된다.

4.2. 서풍

순우리말: 하늬바람, 곧은바람, 섯갈바람, 서칼, 화을바람.
한자어: 여합풍, 종풍, 창합풍.

한반도를 비롯한 중위도에서 자주 부는 바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동풍이나 한기가 오는 날을 빼면 10~6월에 자주 분다. 반면 7~9월에는 조금만 부는 편이다. 미세먼지가 오기도 하며 전반적으로 온화해서 서해안을 제외하고 고온이 오기도 한다. 특히 봄철에 자주 분다.

4.3. 동풍

순우리말: 봄바람, 녹새, 새풍, 동새, 샛바람.
한자어: 동부새, 춘풍.

오호츠크해 기단을 받는 5월 말~7월 초, 8월 말~9월에 주로 오며 이 때 주로 강원 영동지역에는 비가 오게 되고 강원 영서나 수도권 지역 등은 편형되어서 푄 현상이 나타나서 고온건조한 날씨를 보인다. 그리고 10월~5월에도 오게 되며 4~5월과 10월도 동풍으로 인한 푄 현상이 나타나면 기온이 높게 올라간다. 그러나 날씨는 맑고 쾌청해서 밖에 돌아다니기에 좋고 남풍과는 달리 밤에는 기온이 내려가서 덜 불쾌해진다.

4.4. 남풍

순우리말: 심마바람, 앞새, 마파람, 앞바람.
한자어: 개풍, 오풍, 마풍, 경풍.

남쪽 저기압이 오거나 장마, 북태평양 기단, 태풍 등에서 발생한다. 저기압이나 태풍 오기 전에 이로 인한 이상 고온이 나타나고 동풍과 다르게 습도도 높고 밤에도 더워 불쾌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온화해서 좋을 수도 있다.

5. 대기 대순환

대기 대순환북반구 기준
극고압
↙↙↙ 극동풍↙↙↙ 극 순환
고위도 저압대
(한대 전선대, 위도 60°)
↗↗↗ 편서풍↗↗↗ 페렐 순환
아열대 고압대
(중위도 고압대, 위도 30°)
↙↙↙ 무역풍↙↙↙ 해들리 순환
적도 저압대
(적도 무풍대, 위도 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남반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무역풍↖↖↖ 해들리 순환
아열대 고압대
(중위도 고압대, 위도 30°)
↘↘↘ 편서풍↘↘↘ 페렐 순환
고위도 저압대
(한대 전선대, 위도 60°)
↖↖↖ 극동풍↖↖↖ 극 순환
극고압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기 대순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편서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편서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무역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역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극동풍

파일:globe_polar_wind.jpg

Polar easterlies

편동풍의 일종으로 극편동풍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지구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향력으로 인해 북위 및 남위 90°~60°인 고위도 지방의 상공에서 1년 내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무역풍과 마찬가지로 북반구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부는 북동풍이 불고,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남동→북서으로 부는 남동풍으로 분다.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북동극동풍'과 '남동극동풍'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한 고위도에서 발생하므로 한랭 건조하다.

6. 기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후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태풍( 열대저기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바람 풍(風)자가 들어가는 만큼 '바람'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보통은 강우까지 동반한다.

6.2. 토네이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네이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기 불안정으로 인해 생기는 바람 기둥. 용오름이라고 하기도 한다.

6.3. 제트기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트기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트 기류는 한대와 아열대 지방에서 사행하면서 지구를 둘러싸고 분다

제트류(Jet Stream)는 대류권 상부나 성층권의 서쪽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흐르는 강한 기류이다. 평균풍속은 겨울철에는 시속 130km, 여름철에는 시속 65km이며 공기밀도의 차이가 가장 큰 겨울철에 풍속이 가장 강하다.

상공에는 세 가지의 풍계(북동무역풍·편서풍·주극풍)와는 다른 서쪽으로부터의 바람이 불어온다. 상공에는 극부근에 중심을 둔 저기압과 저위도 지방에 있는 고기압이 있다. 이 고기압과 저기압과의 사이에 서쪽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이 대상으로 불고 있어 이것을 편서풍대라 부르고 있다. 편서풍대의 바람은 일정한 풍속으로 부는 것이 아니고 비교적 강한 서풍이 좁은 폭을 갖고 뿜어내는 모양으로 불고 있는 곳이 있다. 이 고도는 대류권의 상부 또는 권계면의 하부(평균 11km∼14km의 상공)에서 그 속도는 평균 초속 50m, 때로는 초속 100m에 달하는 때도 있다. 이것을 제트기류라고 한다.기상고공을 날으는 비행기는 제트기류를 잘 이용함으로써 안전하게 경계 운항이 되므로 비행사는 제트기류의 기상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제트기류보다 규모가 작은 대기의 운동으로는 계절풍과 국지풍이 있다.
제트기류는 온도에 중대한 차이를 지닌 인접 공기의 경계에 형성된다. 제트기류는 대류권(온도가 높이에 따라 감소한다.)과 성층권(온도가 높이에 따라 증가한다.) 대류권계면에서 주로 발견된다. 주요 제트 기류는 비록 여름에 적도 영역에 편동 제트가 생성될 수 있지만 북반구에서나 남반구에서나 편서풍이다제트기류는 지구의 자전과 대기의 위도별 불균등 가열로 인해 생긴다. 제트기류는 온도풍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데, 온도경도가 존재하는 한 고도가 상승할수록 서풍이 강해진다. 상층으로 갈 수록 온도경도가 약해지다가 온도경도가 존재하지 않는 고도에 다다르면 가장 서풍이 강력하게 되고, 이 고도에서 부는 바람을 제트기류라 부른다. 온도경도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제트기류는 온도경도가 더 강한(즉, 온도의 경압성이 뚜렷한) 겨울철에 더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적도 쪽으로, 여름철에는 극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제트기류는 교란에 의해 그 굽은 정도가 심해질 수 있는데, 이 때 고위도와 저위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그 지역에서는 한파 등 날씨의 변화가 생긴다. 생성 원인에서 알 수 있듯, 편서풍 파동과 비슷하게 작용하여 남북간의 열과 수증기의 교환에 큰 기여를 한다. 또한 지상의 저기압, 고기압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장 강한 제트기류는 극지방에서 부는 극지기류이며, 해면으로부터 9~12 km 상공, 약 30,000~39,000 ft 상공 또는 그 위에서 나타나고, 그보다 약한 아열대의 제트기류는 해면으로부터 10~16 km, 약 33,000~52,000 ft 상공에 위치한다. 길이는 수천km, 폭은 수백km, 두께는 수km이고 연직 바람 시어가 강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제트류가 잘 나타나는 지역은 극동 지방, 북미대륙 등이다. 중간 권에서의 겨울철 극야제트(polar night jet), 국지적인 전선에 관계된 하층제트(low level jet) 등도 있다. 제트기류의 바람이 가장 강한 곳을 제트 코어(jet core)라고 하는데, 대류권 제트의 경우 겨울철에는 북위 30도 정도에 위치하거나, 경도에 따라서 위도가 달라진다. 또한, 여름철에는 제트기류가 약화되며 제트코어는 보다 북쪽으로 치우치며 편서풍 파동에 의해 적도에 가까운 쪽에서 발달하는 제트는 아열대제트(subtropical jet)라고 불린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각각의 극 제트기류와 아열대 제트기류를 가지고 있다. 북반구의 극지기류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그들이 들러싼 대양들의 중간 부분 또는 북쪽으로 지나는 반면, 남반구의 극지기류는 1년 내내 남극 주위를 돈다. 남극의 해류도 비슷하게 돌기 때문에 최근 지구온난화로 제트기류가 약해지기 전까지 남극은 다른 지역의 기후에 상대적으로 둔감했다.

기상학자들은 대기분석의 방법으로 제트기류의 위치를 이용한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 저위도에서는 편동풍이 분다는 통념과는 달리 제트기류는 ITCZ(적도)를 제외하면 지구 어디에서나 서에서 동으로 분다. 그 이유는 지상에서 기류 수렴 등 여러 이유로 편동풍이 불더라도 상층은 항상 고위도가 기압이 낮고 저위도가 높기 때문에 서풍이 부는 것이다. 대기대순환이 어느정도 영향은 미치겠지만 그것이 상층의 바람 방향을 바꿀 정도는 되지 않는다. 다만 그러한 이유로 제트가 형성되는 위도는 온도(층후)차이가 극심한 위도가 되므로 계절에 따라, 지상 기압(기온)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트기류의 경로는 주로 굽이치는 형태를 지니며, 곡선경로는 동쪽으로 진행하되 흐름 내의 실제 바람보다는 낮은 속도이다. 로스비 파동의 이론은 곡선 경로의 받아들여지는 해설을 제공한다. 로스비 파동은 제트기류가 들어있는 흐름에 대해 서쪽으로 진행하지만 땅에 대해서는 지구를 가로질러서 동쪽으로 이동한다.

6.4. 활강바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활강바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태양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양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실 이름과는 달리 '바람'이 아니다.


[1] 편서풍의 약화로 인해 겨울에는 미세먼지가 잘 안 온다. 반대로 봄바람은 편서풍이 강화되어 미세먼지와 황사가 많이 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 ( 이전 역사)
문서의 r218 ( 이전 역사)

분류